• Title/Summary/Keyword: 알고리즘

Search Result 41,608,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Efficient and Secure Pairing Algorithm over Binary Fields (안전하고 효율적인 이진 필드상의 페어링 알고리즘)

  • Choi, Doo-Ho;Han, Dong-Guk;Kim, Ho-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2a
    • /
    • pp.69-72
    • /
    • 2008
  • 최근 PKI-less 공개키 암호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척되면서, 페어링(Pairing) 기반의 암호 시스템이 주목을 받고 있다. 페어링 기반의 암호 시스템은 두 개의 타원 곡선 상의 점을 유한체의 값으로 보내는 양방향 선형성(Bilinearity)을 가지는 페어링 함수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암호 시스템이다. 페어링 기반의 암호 시스템 구현을 위해서는 페어링 연산 알고리즘이 필수적이며, 효율적인 페어링 연산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페어링 알고리즘에도 기존의 타원곡선 스칼라곱 알고리즘에서 야기되었던 부채널 공격이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안전한 페어링 알고리즘을 위해서는 부채널 공격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부채널 공격에도 안전하면서 비교적 효율적인 이진 필드 상의 페어링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본 페어링 알고리즘은 기존의 부체널 공격 저항성을 갖는 페어링 알고리즘 중 가장 효율적인 알고리즘에 비해 효율성이 17% 정도 향상되었다.

  • PDF

Algorith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ggregator Using Fuel Cell (연료전지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Aggregator 알고리즘)

  • Park, Seung-Gil;Ryu, Jeong-Hun;Seo, Woo-Seok;Kim, Woo-Joong;Hwang, Chang-Hyun;Yoo, Young-Sang;Kang, Sang-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596-59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 예상되는 선로 과부하 문제와 전압강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료전지를 이용한 충전 Aggregator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충전Aggregator 알고리즘은 충전부하 투입 알고리즘과 충전부하 제거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전부하 투입 알고리즘은 충전부하 투입 전 선로전력과 전압강하를 예측하여 예측 된 값들이 허용범위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충전을 시작하는 알고리즘 이고 충전부하 제거 알고리즘은 전기자동차 충전 중 일반부하의 증가로 문제 발생 시 충전부하를 제거하는 알고리즘이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PSCAD/EMTDC를 이용해서 연료전지가 연계된 특정지역의 배전계통을 모델링하여 검증하였다.

  • PDF

Color Gamut Compression Algorithm Development (색역폭 압축 알고리즘 개발)

  • Kang, Byoung-Ho;Cho, Maeng-Su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687-690
    • /
    • 2000
  • 특정 칼라 디바이스가 최대한 표현할 수 있는 색공간을 색역 (Color Gamut) 이라 한다. 색역폭 압축 알고리즘이란 색역폭이 큰 (예. CRT 모니터) 디바이스에서 표현되던 이미지 색들을 프린터와 같이 색역폭이 작은 디바이스에서 최대한 일치되는 색이 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색역폭을 가진 이미지를 상호 비교함으로 관찰자 색역 압축 성향을 취합, 분석하는 도구를 개발 22 명의 관찰자로 하여금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으로 도출된 관찰자 데이터를 기반 3 개의 새로운 색역폭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3 개 알고리즘은 기존 6개 알고리즘과 11 명의 관찰자를 이용 Pair comparison방법을 이용 성능평가, 1 개의 가장 우수한 알고리즘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 알고리즘이 어떠한 디바이스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의 일반화 (Algorithm Generalization)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압축 알고리즘도 개발하였다.

  • PDF

Parallel Priority Queuing Algorithm for Cell Scheduling In ATM Multiplexers (ATM 다중화기에서 셀 스케쥴링을 위한 병렬 우선순위 큐잉 알고리즘)

  • 유초롱;김미영;권택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405-407
    • /
    • 1999
  • WFQ(Weighted Fair Queuing)은 지연이나 공평성의 특성에 있어서 이상적인 트래픽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간주되었다. N세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WFQ 스케줄러의 스케줄링 연산은 각 패킷 전송 시간당 O(n)의 계산 복잡도를 가지며, 구현 또한 복잡하다. Self-Clocked Fair Queuing과 같은 WFQ 알고리즘의 구현을 간단히 하고자 하는 노력은 지연범위나 특성에 영향을 주게 되어 다양한 트래픽이 제공되는 경우 각 트래픽의 공평성을 지원해주지 못한다. 그러므로 지연이나 지연 변이 측면에서 공평성을 지원하고 구현상의 계산 복잡도를 줄인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필요하게 되었다. ATM 다중화기의 셀 스케줄링 알고리즘 역시, ATM의 특성상 다양한 특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특성의 트래픽에 대한 공평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ATM 스위치 내의 다중화기에서 사용되는 새로운 셀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이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 알고리즘은 여러 개의 우선 순위 큐를 갖고, 각 우선순위 큐마다 스케줄링 연산이 O(1)의 계산 복잡도를 갖는 Parallel Priority Queuing 알고리즘이다.

  • PDF

LLL Algorithm Aided Double Sphere MIMO Detection (LLL 알고리즘 기반 이중 스피어 MIMO 수신기)

  • Jeon, Myeongwoon;Lee, J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377-380
    • /
    • 2012
  • 격자 감소 (lattice reduction) 알고리즘은 주어진 기저 벡터를 직교에 가까운 기저 벡터로 바꾸어 준다. 그중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 LLL (Lenstra, Lenstra & Lovasz) 알고리즘이 있다. 격자 감소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다중 안테나 입출력 (MIMO) 통신시스템의 선형 수신기(linear detector)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스피어 복호 알고리즘 (sphere decoding algorithm)은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복호기중 최대 우도 복호기 (Maximum Likelihood Detector)와 비슷한 BER(bit error rate)성능을 가지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어서 많이 연구되어 왔다. 이때 스피어의 반지름의 설정이나 트리 검색 구조 방식 등은 복잡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LLL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스피어의 반지름 설정 및 트리 검색 노드 수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스피어 복호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크게 낮추면서도 비트 오류률 (BER) 성능 열화를 최소한으로 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전산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 PDF

Video 트래픽 제어를 위한 장면 전환의 검출 연구

  • 한승균;서덕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155-159
    • /
    • 1997
  •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은 광대역망에서 여러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요즘 통신망으로 ATM의 채택이 증가하고, 이 망들이 멀티미디어 통신을 하기 위해 많은 데이터들이 오고 갈 때, 영상을 효율적으로 트래픽 제어함으로써 통신망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면 전환 검출에 관해 State(상태) 알고리즘, Standard deviation(표준편차) 알고리즘, Percentage(가중치) 알고리즘 등을 이용한 장면 전환 검출의 성능 시험을 했다. Stage 알고리즘은 n상태로 나누어서 이루어지고, Standard deviation 알고리즘은 통계적 측면을 다룬 것이고, Percentage 알고리즘은 비례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 중에 Percentage를 이용한 장면 전환 검출 알고리즘은 다른 알고리즘에 비해 능동적이고 효율적임을 보여 이를 제안한다. GCRA(Generic Cell Rate Algorithm)를 통해 트래픽 관련 파라미터의 지정에 관련한 Nonconforming 셀률에 의한 CDVT와 PCR의 분석을 시도한다. 이 때에도 마찬가지로 Percentage 알고리즘과 GCRA를 장면 전환 검출 데이터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파라미터를 정하여 트래픽 관련 GCRA 알고리즘에 적용할 수 있다.

  • PDF

Performance-based Channel Scheduler for AMC/TDM Wireless Network System (AMC/TDM 무선 데이터 통신에서의 성능보장형 채널스케줄러)

  • 이종훈;김동구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7 no.6B
    • /
    • pp.586-592
    • /
    • 2002
  • In this paper, new channel scheduling algorithms which reduce transmission delay caused by wireless network are proposed in AMC/TDM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e concept of the Proposed algorithms is based on the proportional fairness, M-LWDF, and performance-guaranteeing algorithm proposed by Xin Liu.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applied to QoS guaranteeing services as well as best-effort service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new algorithm reduced transmission delay upto 11.5% in case of proportional fairness algorithm and also decreased transmission delay unto 9% in case of M-LWBF algorithm.

A Study of Character Recognition using Adaptive Algorithm at the Car License Plate (적응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동차 번호판 인식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 Jang, Seung-Ju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7 no.10
    • /
    • pp.3155-3163
    • /
    • 2000
  • In the recognitionsystem of car license plate, it is very important to extract the character from the license plate and recognize the extrated character. In this paper, I use the adaptive algorithm to recognize the charactor of licensse plate image. The adaptive algorithm is compounded of thinning algorithm template matching,algarthm, vector algorithm and so on. The adaptive algorithm was used to recognize the character from license image. In the result of expenment, character recognition is about up to 90% with the adaptive algorithm for the character region.

  • PDF

Improved Parallel Computation for Extended Edit Distances (개선된 확장편집거리 병렬계산)

  • Kim, Youngho;Sim, Jeo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62-65
    • /
    • 2014
  • 근사문자열매칭 알고리즘은 검색엔진, 컴퓨터보안, 생물정보학 등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근사문자열매칭에서는 거리함수를 이용하여 오차를 측정한다. 거리함수로는 해밍거리, 편집거리, 확장편집거리 등이 있다. 이때 확장편집거리는 mn) 시간과 공간에 계산할 수 있으며, 최근 m개의 쓰레드를 이용하여 O(m+n) 시간과 O(mn) 공간을 이용한 병렬알고리즘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확장편집거리를 계산하는 병렬알고리즘을 개선한 효율적인 병렬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기존의 병렬알고리즘을 최적화하고, 기존의 병렬알고리즘, 전역메모리만 사용한 최적화된 병렬알고리즘, 공유메모리를 활용한 최적화된 병렬알고리즘의 수행시간을 비교한다. 실험 결과, 개선된 병렬알고리즘이 기존의 병렬알고리즘보다 전처리단계에서 16 ~ 63배 이상, 모든 단계에 대해 19 ~ 24배 이상 빠른 수행시간을 보였다.

Fast Wavelet Transform Adaptive Algorithm Using Variable Step Size (가변스텝사이즈를 적용한 고속 웨이블렛변환 적응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이채욱;오신범;정민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79-182
    • /
    • 2004
  • 무선통신분야에서 LMS5(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은 식이 간단하고 계산량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간영역에서 처리할 경우 입력신호의 고유치 변동폭이 넓게 분포되어 수렴속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snform)나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로 변환하여 신호간의 상관도를 제거함으로써 시간영역에서 LMS알고리즘을 적용할 때 보다 수렴속도를 크게 향강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렴속도 향상을 위해 시간영역의 적응 알고리즘을 직교변환인 고속웨이브렛(wavelet)변환을 이용하여 변환영역에서 수행하며, 짧은 필터계수를 가지는 DWT(Discrete Wavelet Transform)특성에 맞는 Fast running FI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WTLMS(Wavelet Transform LMS)적응알고리즘을 통신시스템에 적용한다. 적응 알고리즘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시간에 따라 적응상수의 크기를 가변시켜 수렴 초기에는 큰 적응상수로 따른 수렴이 가능하도록 하고 점차 적응상수의 크기를 줄여서 misadjustment도 줄이는 방법의 적응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실제로 적응잡음제거기(adaptive noise canceler)에 적용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하였으며, 각 알고리즘들의 계산량, 수렴속도를 이용하여 각각 비교, 분서하여 그 성능이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