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 통항

Search Result 34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중대형 시운전 선박의 운항 현황 및 설문조사 기반 위험요소 분석

  • Kim, Jong-Seong;Park, Yeong-Su;Kim, J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128-130
    • /
    • 2014
  • 우리나라 연안해역에는 약 11개의 주요 해상교통흐름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세계 5위의 컨테이너 처리항만이 있으며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항행선박의 통항이 빈번하고, 선박통항의 교차지점이 다수 발생하여 해양사고 발생 잠재성이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해역에서 속력 및 기관성능시험 등을 수행하는 6천톤 이상의 시운전선박의 통항패턴은 예상하기가 쉽지 않고 일반적인 교통흐름과 상이하여 타선박의 오인 야기로 충돌위험이 잠재되어 있다. 이러한 중대형 시운전선박이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존재하고 있는지에 대한 운항 현황을 살펴보고, 이러한 운항시 안전을 저해하는 위험요소를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분석 시운전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기초연구로 하고자 한다.

  • PDF

울산신항 남항지구 동북아오일허브 남방파제 선박 통항안전성 분석

  • Kim, Se-Won;Lee, Yun-Seok;Yun, Gwi-Ho;Park, Yeong-Su;Jo, Ik-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93-495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울산신항 오일허브 1-2단계 20부두 계획안 중에서 대상선박 20만 DWT급, 30만 DWT급 유조선의 제4항로와 신항 북쪽과 남방파제 사이에서의 교행통항 등에 대하여 최악의 자연환경조건을 설정하여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선박통항 안전성 평가의 결과에 따른 대상선박 및 항행여건의 개선방안 등에 대하여 제안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cope of Passenger Vessels and Dangerous Goods Carriers Subject to Maritime Traffic Safety Audits (해상교통안전진단 대상 여객선 및 위험화물운반선 범위에 관한 고찰)

  • Lee, Hong-Hoon;Kim, Sung-Cheol;Kim, Deug-B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3 no.7
    • /
    • pp.767-774
    • /
    • 2017
  • Maritime traffic safety audits (MTSA) were enacted in order to ensure marine traffic safety throughout changes or the construction of water facilities, port facilities, etc. After the introduction of MTSA, the scope of subject vessels was restricted to an LOA of more than 100 m or a maximum speed of more than 60 knots as of 2014. In this study, the scope of subject vessels was re-examined in comparison with specific marine traffic safety areas and tanker prohibited areas identified in the maritime safety act. Furthermore, the state of subject vessels and exception cases for MTSA were also analyzed. As a result of these analyses, MTSA were deemed necessary for dangerous goods carriers of more than 1,000 G/T in specific marine traffic safety areas and dangerous goods carriers of more than 794 G/T in tanker prohibited areas. Finally, the necessity of further review was suggested given the present scope of subject vessels.

Evaluation of the Navigational Risk Level in Coastal Waterway using Fuzzy Logic (퍼지로직을 이용한 연안해역의 통항 위험성 평가)

  • Keum Jong-Soo;Jang Woon-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2 no.1 s.24
    • /
    • pp.53-59
    • /
    • 2006
  • The prevention of marine accidents has been a major topic in marine society and various policies and countermeasures have been developed, applied to the industries. The coastal VTS and navigational aids are considered a,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to promote marine safety but they need relatively huge amount of budgets to build. Thus prior to establishing these coastal VTS and navigational aids, it should be evaluated the navigational risk level in the coastal waterways from the Environmental Stress. So far as human beings are concerned, there are many types of fuzziness in the evaluation of navigational safety level. In order to reflect these fuzziness on this evaluation, this paper introduces the fuzzy integral suggested by Choquet to represent the fuzziness in the evaluation process.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method for this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 of mariner's operational stress using the fuzzy logic and Choquet integral. In this paper, Korean coastal area is divided into 8 sectors and evaluated the priority for the needs of coastal VTS and navigational aids.

  • PDF

A Study on the Traffic Stream and Navigational Characteristics at the Adjacent Sea Area of Busan Central Wharf (부산 중앙부두 주변해역의 교통흐름 및 통항특성에 관한 연구)

  • Kim Se-Won;Lee Yun-Sok;Park Young-Soo;Kim Jong-Sung;Yun Gwi-Ho;Kim Dae-He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0 no.1 s.107
    • /
    • pp.9-15
    • /
    • 2006
  • At the adjacent sea area of Busan Central Wharf, a variety of vessels, such as middle-large passenger ships, small hugh speed crafts, container ships, cargo ships and working boats as well as small miscellaneous vessels are freely sailing comparatively without special rules and marine traffic control.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raffic stream and navigational characteristics cf main traffic route based on statistics and distribution of tracks by ship's type and tonnage cf the passing vessels after conducting marine traffic survey twice using exclusive software. We examined the traffic safety of the passing vessels by classifying the sea area by each function based on the analysis about this traffic situation, and analyzing the effect by designating 'Inner passage'. We also studied the plan for the effective rearrangement cf Central Wharf considering basically the traffic safety of arrival and departure in a point of view of navigators.

A Study on the Traffic Stream and Navigational Characteristics at the Adjacent Sea Area of Busan Central Wharf (부산 중앙부두 주변 해역의 교통 흐름 및 통항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Se-Won;Lee Yun-Sok;Park Young-Soo;Kim Jong-Sung;Yun Gwi-Ho;Kim D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5.10a
    • /
    • pp.103-109
    • /
    • 2005
  • At the adjacent sea area of Busan Central Wharf, a variety of vessels, such as middle-large passenger ships, small fast sailing ships, container ships, cargo ships and working ships as well as small miscellaneous vessels are freely sailing comparatively without special steering and sailing Rules and marine traffic control because exclusive wharfs in accord with their purpose and use have been arranged in each wharf.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raffic stream and navigational characteristics of main traffic route based on statistics and distribution of tracks by ship's type and tonnage of the passing vessels after conducting marine traffic survey twice using exclusive software by targeting the sea area during the period of time. We examined the traffic safety of the passing vessels by classifying the sea area by each function based on the analysis about this traffic situation, and analyzing the effect by designating 'Buknea passage'. We also studied the plan for the effective rearrangement of Central Wharf considering basically the traffic safety oif arrival and departure in a point if view of navigators.

  • PDF

해상교통관제제도가 적용된 연안해역에서 정보제공활동이 통항흐름에 미치는 영향

  • Kim, Ok-Seok;Kim, Mun-Hong;Lee, Gye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94-19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통관제제도(VTS)가 적용된 연안해역에서 해상통항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상교통환경조사는 2007년도부터 2012년까지 어장, 어로활동 및 해양구조물에 대한 마로해 인근해역에 대해 현지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VT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종류에 대해 국제표준과 국내 적용 규정을 비교하고 2011년 연안해역에서 제공된 서비스에 대해 분석하였다. 동 해역의 해상교통흐름은 레이더와 선박자동식별장치 정보를 시공간적으로 중첩시켜 최근 6개월간 흐름패턴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해역은 서남해 진도 인근해역($3,800km^2$)으로 통항분리제도와 탱커선통항금지해역 및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을 포함하고 있다. 연구결과 연안해역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해 해양사고를 18% 감소시켰다. 서비스 제공수준은 비정규분포를 보이며 공정능력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해상교통환경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연안해역 모니터링 및 관리체계의 확립에 대한 대응이 요구된다.

  • PDF

해상풍력단지 및 단지내 통항로의 항로표지 설치 기준에 관한 연구

  • 장유락;국승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7-8
    • /
    • 2022
  • 국내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증가함에 따라 소형선박의 단지 내 위험통항이 증가하고 있으며, 제한된 시계 또는 야간항해 시 해양풍려발전단지 부근을 항해하는 선박들의 안전항행 우도 및 해양풍력단지 시설물 보호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등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항로표지가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국제항로표지협회의 권고안과 주요국가의 국내규정 그리고 국내관련 규정을 비교·분석하여 항로표지의 기능 및 규격에 관한 기준의 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VTS 관제 최소안전거리에 관한 연구

  • Kim, Jong-Seong;Park, Yeong-Su;Park, Jun-Mo;Kim, Dae-Won;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114-116
    • /
    • 2011
  • 해상교통 관제 서비스는 해상교통량의 폭주, 위험화물의 증가와 잠재적인 환경오염의 위험 등에서 항만의 안전 또는 항만운영 효율성 제고하기 위해 실시하는 통항서비스로 VTS 구역 내에서 주변상황 및 해상교통상황을 적시에 제공하여 선박에서 항해의사 결정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보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실제로 안전한 해상교통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 전 연안 및 항만에서 운영하고 14개소의 VTS 및 연안 VT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VTS 관제사는 선박운항자와 마찬가지로 관제하고 있는 항만이나 연안의 지형적 특성에 따라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선박과 선박 사이 및 선박과 육지(장해물)와의 최소안전거리를 두고 관제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각 VTS 관제사들이 관제하는 안전이격거리를 개인별로 조사함으로써 VTS 관제사간의 안전이격거리를 조사함에 그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 결과 같은 VTS 소속임에도 불구하고 개인별로 관제하는 최소안전거리가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