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전활동

검색결과 2,240건 처리시간 0.028초

자발적 레저활동 기반 재난안전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Disaster & Safety Education Based on Voluntary Leisure Activities)

  • 김재현;김윤희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9-36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접근성과 기회를 확대하고 시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레저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였고, 이를 가지고 여러 기관과 단체는 사회문제 또는 특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레저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프로그램과 행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 중 '플로깅'은 달리기를 하는 사람들에게 달리기 활동에 쓰레기를 줍는 활동을 녹여 자연스럽게 쓰레기를 줍도록 만들었다. 위와 같은 사례를 응용해 레저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안전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모델을 통해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접근성과 기회가 확대될 것이며, 사람들은 레저활동을 즐기며 자연스레 재난안전교육을 받게 될 것이다. 또한 재난 안전에 대한 인식이 늘고, 활동의 전이 및 확산을 통해 타인까지도 재난안전교육의 현장으로 이끌어 올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건설현장 안전관리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활동 개선방안 (A Safety Management Activity Improvement in Construction Sites through Analysis of Success Factors)

  • 홍정석;배대권;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5호
    • /
    • pp.148-15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현행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구성 요소를 파악하고 이러한 선행연구들이 제시한 주요항목을 건설현장 안전관리활동에 반영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1)본사는 안전보건경영체제 중심으로, 건설현장은 근로자를 배려하는 활동 위주의 체계가 중요함 2)성공적으로 안전관리 활동을 추진한 건설현장에 대한 실제 안전관리활동 주요요인들을 건설현장 안전관리활동의 실천방안으로 일반화 시키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주장하고 있는 건설현장의 성공요인 분석과 국내의 27개 안전관리활동 우수사례 현장에 대한사례조사를 통해 건설현장의 안전관리활동 주요요인(위험성 관리방법,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안전교육의 실시, 안전점검, 작업장 환경개선, 안전활동)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6가지 주요요인에 대한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시선집중, 안전경영우수기업 -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 박병탁
    • 안전기술
    • /
    • 제203호
    • /
    • pp.18-20
    • /
    • 2014
  • 많은 기관들이 안전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비용 문제 때문이다. 안전관리 활동이 많아질수록 들어가는 비용은 증가하게 되고, 일부 기관은 비용을 이유로 안전관리활동을 축소하기도 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가 해소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영진의 의식개선과 안전활동에 대한 안전관리자의 적극적인 노력이 절실하다.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는 이 점에서 하나의 모범사례와도 같다. 경영진의 뒷받침 속에 안전예산확보, 다양한 안전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재료연구소를 찾아가 안전환경 조성을 위해 어떠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지 이야기를 들어봤다.

  • PDF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for Nursing Students)

  • 송미옥;문정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379-388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교육 내 환자안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 수준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 3-4학년 35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과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환자안전역량, 수행자신감, 대처 능력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유의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회귀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유의한 영향요인은 환자안전역량, 수행자신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대처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자안전역량, 수행자신감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증진을 위해 환자안전역량, 수행자신감을 고려한 교육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Special Theme - 어린이 안전교육의 중요성과 방향

  • 강경화
    • 안전기술
    • /
    • 제178호
    • /
    • pp.6-10
    • /
    • 2012
  • 가을철은 기온이 선선해지면서 사람들의 활동량이 늘어나는 계절이다. 어린이들도 학교나 가정 등, 실내외 활동이 왕성해지면서 각종 안전사고에 노출되기 쉬워진다. 특히 어린이들은 주변 사물에 대한 호기심이 크고 활동량이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주의력과 판단력 등 인지능력이 아직 성숙하지 못한 까닭에 위험에 대처하는 능력이 미숙하다. 띠라서 상시 안전사고 예방교육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위험요소들에 대한 주의와 대처 능력을 키워주어야 한다. 어린이들의 활동량이 늘어나는 계절 10월, 이번호에서는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교육의 중요성과 각종 안전사고 사례, 예방과 응급처치 등에 대한 특집을 마련한다.

  • PDF

건설공사 안전보건관리활동과 안전교육의 관계에서 안전행동강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Safety Behavior Reinforc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and Safety Education in Construction Works)

  • 김용훈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8-159
    • /
    • 2022
  • 최근 건설현장에서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전 산업에서 건설업 재해율은약 50%로 여전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22년 1월 27일)과 4차산업 발달에 따른 IOT기반 안전관리 등 안전규제와 안전관리기술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지만 건설현장 안전관리의 접점에 있는 실무자 및 근로자가 실효성 있게 안전관리활동을 하고 실질적으로 안전행동을 강화시키는 안전사고 예방적 안전관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안전보건활동, 안전교육, 안전행동강화, 안전성과와의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제시하고 관계 분석하였다. 건설현장 실무자 및 근로자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구조방정식에 적용하여 관계를 분석한 예측결과, 분석결과에 의해 검증된 가설이 시사하는 부분을 해석하고, 가설검증을 기반으로 외생변수로부터 안전행동강화에 도달하는 경로를 탐색하고 주요 논점을 논의한다.

  • PDF

시각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f Safety Awareness and Safety Behaviors of Personal Assistant for the Visually Impaired)

  • 윤기봉;오윤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73-181
    • /
    • 2022
  • 연구목적: 활동지원사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은 시각장애인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 활동지원사들이 갖고 있는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2021년 5월 ~ 6월까지 서울의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수행기관 9곳의 모집문건을 통해 참여의사를 밝히고 서면동의를 한 시각장애인 활동지원사 26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분석을 위해 차이검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화기 실제 연습경험이 있고 재난상황의 행동요령에 대한 교육을 받은 활동지원사들이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이 높았다. 또한 응급구조법을 교육받은 경우 활동지원사의 생활안전의식과 소방안전의식이 높았으나 재난안전의식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안전행동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모든 안전의식은 안전행동과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셋째, 시각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생활안전의식, 소방안전의식, 재난안전의식이 높을수록 안전행동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이 보다 안전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활동지원사에게 적절한 안전교육을 제공하고 안전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함을 밝혔다.

소프트웨어 라이프사이클 동안의 안전성 활동 (Safety Activities on The Software Life-cycle)

  • 성경배;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32-437
    • /
    • 1998
  • 컴퓨터 시스템들이 인간 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사용되어지면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안전성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가 가지는 특성이 다르므로 안전성 활동들도 그 활동 관점이나 방법이 달라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프트웨어의 안전성 평가의 방법론, 안전성을 분석하기 위한 결함분석 기법들에 대한 고찰을 본 연구의 기반으로 하여 소프트웨어 라이프사이클 동안에 안전성 확보를 위한 최선의 활동의 방안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공공기관의 중대재해처벌법과 KOSHA-MS 연계 방안 (Connection pla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and KOSHA-MS)

  • 우상선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3-20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공공기관에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으로 KOSHA-MS를 구축하여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2년 1월 27일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준비와 대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공공기관 안전활동 수준평가,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제 등 여러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에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MS) 규정에 중대재해처벌법과 관련법규의 연계와 공공기관 안전활동 수준평가,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제까지 연계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연안역 수상레저활동 안전사고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Actual Analysis and Solution of Aquatic Leisure Activity Safety Accident Around Coast)

  • 정종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7-251
    • /
    • 2006
  • 다양화 개성화로 확산되고 있는 21세기 고도화된 산업사회에 진입하면서 소득수준의 향상과 토요일 휴무제에 따른 여가활용 시간의 증대에 수반하여 수상레저활동의 인구가 증가한 동시에 그 내용은 매우 활동적이다. 종래 여가활동이라고 하면 정적인 옥내활동이 주류였으나, 현시점의 여가활동은 사회발전과 더불어 옥외활동, 나아가서는 스스로 활동하고 경험하는 쪽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수상 레저는 안전한 수상활동으로 성취될 수 있는데, 수상레저활동의 급성장으로 인하여 수상안전사고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수상 레저기구 활동자의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위하여 종합적인 육성과 관리대책 마련하고자한 결론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위해서는 소양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안전검사 및 등록을 의무화하여 제도권에서 활동하도록 하여야하며 수상레저활동 안전사고에 대한 피해보전을 위해서 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강력한 제도적 보완장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