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환경

Search Result 12,045,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Development of a Parts Evaluation Framework Using a Construction Site Digital Platform (건설현장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 Shin, Yeon-Cheol;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1-102
    • /
    • 2023
  •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 산업재해의 약 20~30%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위험성평가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모든 관리자 및 근로자들이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근로자들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에 있다. 이를 통해 종합적인 안전관리를 실현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며,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높이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에 적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과 안전사고 미연에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가능하다.

  • PDF

No.1 Safety Engineer - 평택에너지서비스(주) 이수영 과장

  • Park, Byeong-Tak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98
    • /
    • pp.24-25
    • /
    • 2014
  • 환경을 생각하는 발전소가 있다. 경기 남부지역의 주요 에너지 공급원 역할을 하고 있는 평택에너지서비스(주)가 그곳이다. SK E&S가 운영하는 국내 6개 발전소 가운데 하나이기도 한 이곳은 LNG연료를 사용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있다. SK E&S는 안전 보건 환경경영을 실천하며, 깨끗하고 안전한 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평택에너지서비스(주)도 이러한 기치 아래 운영되면서 상용발전 이후 단 한 차례의 환경 안전사고 문제가 불거진 적이 없다. 안전경영의 산실인 이곳에서 안전관리 업무를 맡고 있는 이수영 과장이 오늘의 주인공이다. 그를 찾아가 안전에 대한 신념과 철학 등을 들어봤다.

  • PDF

KISA 초대석 - '안전경영'은 안전 선진국을 향한 필수 조건, 이영순 매경안전환경연구원장

  • Yeon, Seul-Gi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81
    • /
    • pp.14-15
    • /
    • 2013
  • 지난 18일 매경안전환경연구원은 고용노동부와 함께 '제20회 안전경영대상'을 개최해 '안전경영'을 모범적으로 실천해온 한국가스공사 인천기지본부, 현대오일뱅크 대산공장 등의 업적을 치하했다. 안전경영, 즉 경영진의 확고한 안전의식은 우수한 안전관리 기법 실행, 노 사의 적극적인 참여, 안전보건 관련법의 철저한 준수 등과 힐께 안전사업장을 만드는 필수조건이다. 특히 상명하복의 문화가 짙은 우리나라 사업장의 특성을 감안하면, 경영진의 안전 신념에 따라 안전관리의 성패가 좌우되기 때문에 '안전경영'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안전 선진국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앞장서서 '안전경영문화'를 확산시키고 있는 매경 안전환경연구원의 이영순 원장을 만나봤다.

  • PDF

Effect of Construction Officials' Perception of Risk on Work Environment and Safety Culture (건설관계자의 위험인식이 작업환경과 안전문화에 미치는영향)

  • Kim, Yeon-Gun;Shin, Yeon-Cheol;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97-9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위험인식이 작업환경과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안전관리활동과 공사기간이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인식은 작업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작업환경은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안전관리 활동은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넷째, 공사기간은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안전관리 활동과 위험인식 간의 상관관계는 r=.61로, 위험인식과 공사기간은 r=.71로 안전관리 활동과 공사기간의 상관관계는 r=.59로 관계의 강도를 확인하였다.

  • PDF

환경.안전보건경영시스템-환경.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으로 업무의 질적 향상 및 가치 상승 효과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9 s.218
    • /
    • pp.43-50
    • /
    • 2008
  • 고도로 발전하고 있는 건설산업과 소비자의 요구가 점차 세분화 되면서 객관적인 평가기능을 갖추고 있는 품질경영시스템이 지난 1992년부터 건설업계에 도입됨에 따라 건설업계는 시공의 표준화가 정착되어 가는 중이다. 최근에는 환경 및 안전.보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설업계는 환경.안전보건경영시스템 획득으로 기업경영의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인증 받는 추세이다. 설비건설업계의 경우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을 인증 받은 업체가 36개사,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HSMS 18001)은 2개사, 안전경영시스템(KOSHA 18001, 건설업)은 3개사가 인증을 받는 등 아직 초기단계에 있으나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환경.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인증 받을 경우 금융기관의 기술신용평가시 가산점 부여, 시공능력평가시 가산점 부여, 기술비 세액공제, 인증획득 자금지원, 융자신청시 가산점 부여, 기업실무자 교육비지원 등의 혜택이 주어지나, 무엇보다도 지속적인 관리로 업무의 질적 향상과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 가능한 것을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본지는 환경·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절차 및 인증시 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 PDF

삼성전기(주) 공정안전 개선우수사례

  • 윤여송;이통영;김성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53-158
    • /
    • 2002
  • 산업용 및 가정용 전자, 전기기기 및 부품을 생산하는 삼성전기(주)는 수원본사를 포함 국내 공장 3개소, 해외 8개 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으로서 환경 및 안전보건이 경영의 주요한 요소임을 인식하고 환경보호와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환경 구축 및 무재해 달성을 위해 안전보건 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중략)

  • PDF

Risk Assessment of Urban Patrol Robots Using CPTED (CPTED를 활용한 도시순찰로봇 위험성평가)

  • Kim, Hae-Do;Jeon, Jin-Woo;Lee, Jong-Kuk;Park, Kyo-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73-27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순찰로봇이 도시 환경을 주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CPTED 및 문헌 연구를 통해 순찰 경로를 선정하였으며, 발생 가능한 위험 요소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였다. 로봇과 함께 도보를 사용하는 시민은 로봇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하며, 위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또한 도시환경의 경우 돌발적 상황 및 환경관리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현재 순찰로봇 안전평가를 하기 위하여 순찰로봇과 관련된 기업들은 ISO 13482 국제표준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개인 서비스 로봇의 안전 관련 국제 표준이며 순찰로봇의 특징과 주행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순찰로봇이 주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과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순찰로봇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초기연구 목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Safety Behavior of Distribution Center Workers (물류센터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상관관계 분석)

  • Park, Heejin;Jeong, Myeongjin;Jeong, Ryunnam;Heo, Joohy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4
    • /
    • pp.155-16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behavior of delivery man and safety awareness, work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stress, to derive factors for enhancing safety behavior, and to manage them with priority. It seek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factors. In this study, with the help of a community site for delivery man,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a total of 119 delivery man working at distribution centers. Questionnaires were created using safety behavior, safety awareness, work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stress measurement tools created using survey questions from other stud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fety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of accidents associated with working period.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afety behavior due to conflicts related to occupational stress, safety awareness and safety behavior, and safety behavior due to the safety system in the work environment. As a result, we investigated whether it was an accident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safety behavior, and concluded that appropriate improvements were needed.

A Study on Improvement of Site Selecting Indicators for Safe Pedestrian Environment (안전한 보행환경 사업 대상지 선정지표 개선방안 연구)

  • Lee, Jong Nam;Heo, Joon;Cho, Won Cheol;Lee, Tae Sh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6 no.1
    • /
    • pp.79-86
    • /
    • 2013
  • As car-oriented road policies have been made forward so far, relatively pedestrians' walking conditions are so in poor environments that more than two thousand pedestrians die from car accidents every year. Pedestrians' walking right has been severely invaded like that. Pedestrians' walking right is a right that people are able to walk safely and comfortably in pleasant surroundings as long as they don't threaten the public safety, order maintenance, and welfare. The government has an obligation to provide safe, comfortable, and pleasant environments to pedestrians. Recently interests in pedestrians' safety are increasing, government-driven supports have been made to make safe, pleasant, and healthy walking surroundings. As poor walking condition improvement projects cost high, they should be progressed to accomplish maximal effects using finite finances efficiently, and post feasibility evaluations of the projects should be severely estimated. However site selecting indicators which satisfy with the goal for composing safe working surroundings have not been decided yet, though currently it has a legal basis to specify walking condition improvement sites by the Law for Pedestrians' safety and Comfort Increasement.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suggesting improved ways for selecting sites where pedestrians' safe environment project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When project sites are selected, evaluation indicators related to awareness survey of residents and history should be excluded, and disaster safety assessments for walking safety facilities, latent human hazards and natural disasters like a strong wind are proposed besides evaluations on pedestrians' safety and walking environment for matching with the purpose of the project to make safe working surrou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