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시설물 필요성

Search Result 23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Empirical Study on Development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for Safe Autonomous Vehicle Operation in Construction Areas (자율주행자동차의 공사구간 안전주행 지원을 위한 교통안전시설물 개발 실증 연구)

  • Jiyoon Kim;Jisoo Ki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5
    • /
    • pp.163-181
    • /
    • 2023
  • Improving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facilities corresponding to the sensors of autonomous vehicles helps driving safety. In the road and transportation fiel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improve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sensors by road infrastructure or facilities. As part of this on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driving support infrastructure, the shape of traffic cones and drums to ensure sufficient LiDAR detection performance even rainy conditions and maintain the line-of-sight guidance function in construction zones improvement effect. The principle was to increase reflection performance and ensu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hape from existing facilities. Traffic cones were manufactured in square pyramid shapes instead of cones, and drums were manufactured in hexagonal and octagonal pillar shapes instead of cylinders. LiDAR detection data for the facility was confirmed on a clear day and with 20 mm/h and 40 mm/h rainfall.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square pyramid-shaped traffic cone and octagonal column-shaped drum was to the existing facility. On the other hand, deviations occurred due to repeated measurements, and significance could not be confirm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By reflecting these results, future studies will seek a form in which data can be obtained uniformly despite the diversity of measurement environments.

해상풍력단지 및 단지내 통항로의 항로표지 설치 기준에 관한 연구

  • 장유락;국승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7-8
    • /
    • 2022
  • 국내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증가함에 따라 소형선박의 단지 내 위험통항이 증가하고 있으며, 제한된 시계 또는 야간항해 시 해양풍려발전단지 부근을 항해하는 선박들의 안전항행 우도 및 해양풍력단지 시설물 보호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등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항로표지가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국제항로표지협회의 권고안과 주요국가의 국내규정 그리고 국내관련 규정을 비교·분석하여 항로표지의 기능 및 규격에 관한 기준의 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Photovoltaic Operation Efficiency (태양광발전 운영효율 향상을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 Yoon, Yongh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9 no.4
    • /
    • pp.113-118
    • /
    • 2019
  • A solar power plant is a facility that produces electricity. As the risk of fire and electric shock accidents is diversified, the risk of workers, surrounding people, and facilities is increase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and promptly responding to safety accidents Is emerging. In light of the necessity of such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olar power genera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diagnose and maintain the problems of the power generation system in real time by developing technologies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data produced by the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As a result, the utilization rate and the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predict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in the present state, to diagnose the abnormality of the current power generation state and to grasp the abnormal position, and to use the model considering economical efficiency when the abnormal position is grasped, And the time and other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 심사체계 개선방안 연구

  • Jo, Ik-Sun;Kim, Yeong-Du;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530-532
    • /
    • 2013
  •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가 도입된 이후 다수의 안전진단이 수행되고, '11년 6월 '해사안전법'으로 전부 개정된 후 진단시행지침의 전부 개정을 통해 미비사항을 개선하고, 진단전문기관을 지정하는 등 정착 단계에 이르렀다. 하지만, 안전진단제도가 운영되는 단계에서 심사과정에 대한 다양한 개선요구사항이 대두되고 있다. 즉, 당연직 중심의 심사위원회 운영으로 해상교통안전만을 중시한 보완요구, 다단계의 보완지시에 따른 전반적인 심사처리기간 장기화 등으로 자칫 제도자체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사위원회 운영상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또한, 시설물 안전진단, 해역이용협의평가, 환경영향평가 등 유사제도의 심사체계 사례분석 및 영향평가제도에 대한 감사원 감사결과를 분석하여 원활한 업무처리 및 합리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과제로는 고시(지침)에 근거한 전문기관 설립근거를 해사안전법에 반영하고, 원활한 심사진행을 위해 사업특성 및 해상교통에 미치는 영향정도에 따라 심사과정을 이원화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 PDF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Irrigation Facilities and water Management (수리시설 및 물 관리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 Kim, Jin-Taek;Oh, Seoung-Tae;La,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3-443
    • /
    • 2012
  • 최근 지구 온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하여 국지적 집중호우에 의한 농지 침수 및 유실 피해가 점차 증가 추세에 있으며 가뭄에 의한 물 부족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홍수 및 가뭄 피해에 대비하기 위하여 농업용 저수지와 수문 그리고 농수로와 같은 농업수리시설물이 신축 운영되고 있으나 이들 시설물은 비교적 규모가 작은 대신에 그 수가 매우 많고 또한 지역적으로 널리 산재해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이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이들 시설물은 물과 항상 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균열발생과 철근부식과 같은 노후화 현상이 뚜렷하게 진전되어 정기적 안전점검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농업수리시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농업용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확보 운영하기 위하여 물관리 자동화 사업이 추진되어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아직까지 현장업무가 관리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농촌 용수의 정확한 정보가 제때에 제공되지 못하는 등 농업수리시설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농촌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농업수리시설 가운데 하나인 농수로의 수위 및 유량 정보를 자동으로 측정하며 농업수리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App을 개발하였다. 안드로이드 OS 기반의 스마트폰을 활용하였으며 여기에는 시설물 고유정보가 포함된 QR코드 및 Active 태그를 통하여 시설물의 상태정보를 원격에 있는 서버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는 원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농업수리시설물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현장관리자가 기존에 수기방식으로 시설물을 관리해 오던 것을 휴대단말 상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를 함으로써 시설물 유지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 PDF

Orientation Analysis between UAV Video and Photos for 3D Measurement of Bridges (교량의 3차원 측정을 위한 UAV 비디오와 사진의 표정 분석)

  • Han, Dongyeob;Park, Jae Bong;Huh, J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6 no.6
    • /
    • pp.451-456
    • /
    • 2018
  • UAVs (Unmanned Aerial Vehicles) are widely used for maintenance and monitoring of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acquire a high-resolution image for evaluating the appearance state of the facility in safety inspection.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acquire the video data in order to acquire data over a wide area rapidly. In general, since video data does not include position information,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actual size of the inspection object quantitatively.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utilization of 3D point cloud data of bridges using a matching between video frames and reference photos. The drones were used to acquire video and photographs. And exterior orientations of the video frames were generated through feature point matching with reference photo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ccuracy of the video frame data is similar to that of the reference photos. Furthermore, the point cloud data generated by using video frames represented the shape and size of bridges with usable accuracy. If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is verified through the matching test of various condition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video-based facility modeling and inspection will be effectively conducted.

A Study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Facility Safety Inspection Work Using Images (영상을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작업 효율성 향상 방안 연구)

  • Jeon, Kyungsik;Kim, Jintae;Lee, Byoungk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9 no.3
    • /
    • pp.179-186
    • /
    • 2021
  • In general, the daily safety inspection activities, which investigate damages in structures and measures the size of the damage, have been relied heavily on the visual inspection so far. Since the probe of the condition and performance of facilities by such personnel is often dependent on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investigator, the consistency and repeatability of the probing results may reduce. Particularly, damage located in a difficult-to-reach place depends mainly on experience with the naked eye, and an unsafe method using a ladder has mainly applied when necessary.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propose a way of using images that can reduce the deviation between safety inspection investigators, enhance objectivity, and improve the safety of workers. In this study, we have applied homographic transformation as a method of correcting the imag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ze of the damage in the corrected image of the test subject, it confirms that the accuracy of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damage can satisfy the target levels of 5.0mm and 0.005m2, the target accuracy levels. As a result of the field verification test to which the proposed image correction technique applie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crack length in the structure decreased from 5.4~7.0% to 0.072~0.12%, and that of the damaged area from 10.9% to 1.6%. It confirms that the measurement accuracy is improv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on the image utilization technique in safety inspection activities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damage measurement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afety inspection reports and exterior survey drawings.

항로표지 시뮬레이터 구축방안 연구

  • Gong, In-Yeong;Kim, Y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71-373
    • /
    • 2012
  • 항로표지는 선박이 운항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해 주는 중요한 시설물이다. 과거에는 이러한 항로표지 배치를 설계함에 있어 도상 및 경험에 의한 설계가 주로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 선박의 대형화 및 물동량 증가와 함께 해역의 복잡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면서, 항로표지 배치에 보다 과학적인 설계 기법을 도입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항로표지 시뮬레이터는 우리나라 주요 해역의 지형적, 환경적 특성, 그리고 여기에서 운항하는 선박들의 특성, 해상교통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시뮬레이션 환경을 항로표지 설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가진 항로표지 설계, 항로표지 최적 배치계획 등에 대한 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시스템이 가진 기본적인 기능외에 추가적인 기능 설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항로표지 시뮬레이터에 대한 개발 및 구축 계획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 PDF

Study on Establishment Criteria of Dam Emergency Action Plan (댐 비상대처계획(EAP) 수립기준 연구)

  • Park, Ki-Chan;Choi, Ky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7-257
    • /
    • 2017
  • 본 연구는 기상이변의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댐 저수지 붕괴에 대한 원인 분석과 기존의 관련 연구 및 지침 등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 실무에서 적용되고 있는 댐 저수지 비상대처계획(EAP) 수립 대상 기준에서 제외되는 시설물의 붕괴 가능성 평가를 통해 EAP 수립 대상의 적정 범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붕괴 가능성에 대한 정량적 판단 기준을 각 요인별로 제시하고, EAP 수립 대상에서 제외되는 댐 저수지를 대상으로 붕괴 가능요인을 적용하여 3개 이하의 붕괴요인에 해당될 경우 저위험군, 4개 및 5개의 붕괴요인에 해당될 경우 중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각각 분류하여 시설물 붕괴 위험성 정도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댐 저수지 붕괴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붕괴 가능성의 주요 요인으로는 저수용량, 제체 높이, 준공 경과연수, 우심피해 및 지진피해 잠재지역이 포함되며, 각 요인별 객관적인 판단기준은 댐 저수용량의 경우 EAP 법적 수립기준 및 과거 붕괴사례 등의 분석을 토대로 붕괴사례 61개소 중에서 약 88%를 차지하는 저수용량 10만톤을 선정하였으며, 댐 높이의 경우 댐의 파괴양상(이종태, 1987)에서 제시한 댐 붕괴부 특성과 미국주댐안전협회(ASDSO: American Society of Dam Safety Official) 학술지인 Dam Safety(2006) 등에서 제안한 기준을 기존의 댐?저수지 붕괴사례에 적용하여 댐 붕괴폭과 댐 높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댐 높이 8m 이상을 적정 범위로 고려하였다. 준공 경과연수의 경우에는 국민안전처 "재해위험저수지 댐 관리 지침" 타당성 평가기준인 '시설노후도' 기준과 한국시설안전공단 사회간접자본 노후화 기준에 해당하는 경과연수 기준을 토대로 30년 이상을 기준으로 선정하였으며, 우심피해 및 지진피해 잠재지역은 국민안전처 재해연보(2014)를 기준으로 과거 10년 동안의 우심피해 발생 지역과 기상청 국내 지진 규모 10위권 내에 포함되는 지역을 고려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설물 붕괴 가능성에 대한 판단기준을 국민안전처에서 고시한 EAP 수립 대상에서 제외되는 지자체 재해위험저수지 354개소에 적용해 본 결과, 저위험군 16개소, 중위험군 5개소, 고위험군 2개소로 각각 조사되었다. 저위험군은 전문 시설물 관리자에 의한 주기적인 시설물 점검 및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중 고위험군에 속하는 시설물의 경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물 하류지역의 실질적인 인명 및 경제적 피해 가능성에 대한 보다 면밀한 조사를 통해 EAP 수립 대상 포함여부를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ablishment of a Standard Procedure for Safety Inspections of Bridges Using Drones (드론 활용 교량 안전점검을 위한 표준절차 정립)

  • Lee, Suk Bae;Lee, Kihong;Choi, Hyun Min;Lim, Chi S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2
    • /
    • pp.281-290
    • /
    • 2022
  • In Korea, the number of national facilities for which a safety inspection is mandatory is increasing, and a safer safety inspection method is needed. This study aim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bridge safety inspection by enabling rapid exterior inspection while securing the safety of inspectors by using drones to perform the safety inspections of bridges, which had mainly relied on visual inspections. For the research, the Youngjong Grand Bridge in Incheon was selected as a test bed and wa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warren truss, suspension bridge main cable, main tower, and pier.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five-step standard procedure for drone safety inspections. The step-by-step contents of the standard procedure obtain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are: Step 1, facility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Step 2, analysis of vulnerable parts and drone flight planning, Step 3, drone photography and data processing, Step 4, condition evaluation by external inspection, Step 5, building of external inspection diagram and database. Therefore, if the safety inspections of civil engineering facilities including bridge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is standard procedure, it is expected that these inspection can be carried out more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