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전교육교재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5초

Special Theme 02 - NFPA의 화재안전교육 전략

  • Gamache, Sharon
    • 방재와보험
    • /
    • 통권143호
    • /
    • pp.12-15
    • /
    • 2011
  • Sharon Gamache는 National Safety Council, NFPA에 근무하면서 대민화재안전교육 업무를 수행하여 왔다. NFPA의 High-Risk Outreach 프로그램을 총괄하며 다수의 대민화재안전교육 교재 제작을 지휘하였다.

  • PDF

도시철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유아·어린이 대상 표준 매뉴얼 개발 (Standard Manual Development for Infants and Children's Urban Railway Accident Prevention)

  • 강수희;권영종;김연규;고승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587-594
    • /
    • 2016
  • 도시철도 역사 내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혼자만의 사고가 아닌 주변인들에게 피해를 주며, 사소하게 보이는 주의 행동을 통해서 충분한 예방이 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교육의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는 유아 어린이를 대상으로 도시철도 역사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감소를 위한 행동요령과 안전수칙을 교육할 수 있는 안전교재를 개발하고, 부모 및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의견수렴의 목적이 있다. 유아 어린이를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국내외 안전 매뉴얼에 대한 사례조사 및 비교분석을 진행하며, 교육효과 및 도서 선호도를 기준으로 도시철도를 이용하기 위한 탑승부터 하차까지의 단계별로 안전수칙을 학습하여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동화책 형태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안전교육 교재를 제시하여 부모 및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긍정적인 평가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추후 발전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안전교재는 유아 어린이가 안전하게 도시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재이며, 동화책 형태로 제작됨으로서 이용자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고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아용 교재․교구 인증에 관한 유아교육현장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on Authent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for Young Children)

  • 강영식;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93-800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용 교재 교구 인증에 관한 유아교육현장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대전광역시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교사와 원장 350명을 대상으로 2013년 9월 21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용 교재 교구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먼저 전체 59.4%가 유아용 교재 교구 평가인증이 필요하며, 32.9%는 교육현장 인식도가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39.4%가 교육현장 요구도가 높다고 하였으며, 45.1%가 유아용 교재 교구 평가인증에 대한 제도의 도입 시 기대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인 유아용 교재 교구 평가인증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교육적 측면, 기능적 측면, 영역적 측면 순으로 요구도가 나타났다. 또한 각 영역별로 교육적 측면에 있어서는 사회적 발달 중점, 기능적 측면에 있어서는 안전성 중점, 영역적 측면에 있어서는 언어발달 중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유아용 교재 교구의 다양성으로 인해 교육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에서 사회적 발달촉진과 안전성 측면에서 평가인증된 교재 교구를 사용함으로써 유아들의 쌓기놀이, 읽기자료, 조작자료, 만들기 도구 등 실험관찰 도구의 사용이 높아지면서 품질보증이 가능한 교재 교구에 대한 높은 평가인증이 요구됨을 실증해 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국민 안전교육 진흥 기본법 개요 (National Safety Fundamentals of Education Act Summary)

  • 이수현;김충겸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년 정기학술대회
    • /
    • pp.171-174
    • /
    • 2016
  • 각종 크고 작은 재난이 반복되면서 안전에 대한 국민 요구가 증가하고 스스로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안전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민은 각종 재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교육을 받을 기회가 거의 없기 때문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국민에게 안전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사업자가 영업행위를 함에 있어서 국민의 안전을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보호해야하는데, 2016년 5월 19일 제19대 국회 본회의에서 '국민 안전교육 진흥 기본법'이 의결되어 2017년 5월 30일에 시행된다. 이 법은 안전교육기본계획 수립 시행, 안전교육에 대한 점검 평가, 안전교육 교재와 프로그램 개발 보급, 학교 다중이용시설 사회복지시설 등에서의 안전교육, 안전교육 전문 인력 양성 활용 등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현행 각종 안전교육에 관한 사항을 하나의 단일 법안에 규정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지원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 PDF

연에 의한 폴피린.햄 대사장해에 대하여

  • 대한산업보건협회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43호
    • /
    • pp.9-13
    • /
    • 1991
  • 본 종합정도관리사업 강습교재의 내용은 현재 일본에서 실시하고 있는 일본의 작업환경 측정사에 대한 교육을 위한 교재로서 이 내용은 일본의 산업안전보건법과 그 시행령, 규칙의 개정에 따라 건강진단 및 환경측정 항목이 추가 또는 개정되었는 바 이의 실행에 있어서 측정치들의 정도를 관리하고자 하는 방안의 일환이다. 일본과 유사한 규정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참고가 되겠기에 그 내용을 간추려 소개하는 바이다.

  • PDF

국내 유아교육기관의 정보윤리교육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 Domestic Institu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하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459-46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유아대상으로 무분별한 스마트폰 기기 노출 등으로 인한 피해의 심각성을 알고 유아교육에서 인터넷 윤리 및 스마트폰 기기의 올바른 사용이 제대로 이루어 질수 있도록 교육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연령과 상관없이 과도하게 스마트기기에 많이 노출되고 있다. 따라서, 유아기때부터 올바른 정보 윤리 의식 및 적절한 컴퓨터 사용을 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며, 유아 스마트폰 증후군을 예방하여 건전하고 안전한 사이버 세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유아교육분야에서 정보 윤리 및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프로그램이 특강형태로 이루어지고 교재교구들이 부족하며, 다양한 활동이 개발되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부차원에서 각 센터와 기관들과 잘 협업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며, 전문가들에 의해 다양한 활동이 개발되고 교재교구가 제작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유아용 교재 · 교구 활용에 대한 품질인식과 인증평가제도 적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ived Quality and Application of Authentication Evaluation System of Teaching Materials and Implements for Children and the tren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 강영식;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601-5609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유아용 교재 교구 활용에 대한 품질인식과 인증평가 제도적용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2013년 4월 20일부터 30일까지 충남, 대전지역 어린이집에 종사하는 3년차 이상된 영유아반 지도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재 교구 활용실태는 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교재 교구의 질 중요성은 전체 96.1%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대다수 교사가 교육, 보육과정을 고려한 교재 교구사용시 수량과 품질에 대한 높은 인식을 보였다. 또한 현장에서 유아교사와 교구간의 사용시 가장 불편한 점으로는 발달의 적합성(47.3%)이 가장 높고, 유아에 대한 사용의 편리성은 평균 3.54점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놀이와 교구의 사용시 유아들의 교구활용에 대해 평균 3.89점으로 유익하다고 나타났으며, 현재 유아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유아 교구에 대해 평균 3.29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재 교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평균 3.99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이같은 결과는 유아의 어린이집에서의 교재 교구활용에 따른 교재 교구의 질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음을 입증시켜 주었다. 이는 교재 교구의 중요성과 유용성을 고려할 때 품질기준과 시설평가와 함께 교재 교구도 평가인증제도를 도입하여 품질이 보증된 제품의 공급으로 유아들의 안전과 사용에 따른 편익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정책의 도입이 요구됨을 시사해 준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해사안전 전문인력 양성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동향

  • 조익순;김인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7-158
    • /
    • 2022
  • 최근 자율운항선박, 무인선박 등 해사분야의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고 있으나 이에 대비한 해사안전분야 전문인력 양성체계는 없었다. 선장, 안전관리자, 선박소유자의 안전관련 책임 및 의무를 강화하고, 안전관리의 전문성 및 책임성 제고를 위해 선박안전관리사 자격제도가 신설되었다. 법률개정에 따라 안전관리자의 교육과정, 기존 안전관리자의 자격취득 교육 및 평가과정 등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사안전분야 전문인력 양성 지원을 위한 전문연구용역 진행 및 추진상황을 소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