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식각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Landslide Prediction with Angle of Repose Prediction Using 3D Spatial Coordinate System and Drone Image Detection (3차원 공간 좌표 시스템과 드론 영상 검출을 활용한 산사태 안식각 예측에 관한 연구)

  • Yong-Ju Chu;Soo-Young Lim;Seung-Yop Lee
    • Smart Media Journal
    • /
    • v.12 no.3
    • /
    • pp.77-84
    • /
    • 2023
  • Forest fires are representative natural disasters resulting from dramatic global climate change in these modern times. When forest formation is insufficient due to forest damage caused by fire, secondary damages such as landslides occur during the winter thawing period and heavy rains. In most countries, only a limited area is managed as CCTV-centered monitoring systems for forest management. For the landslide prediction, markers containing 3D spatial coordinates were located on the slopes of the danger areas in advance. Then 3D mapping and angle of repose were obtained by periodic drone imaging. The recognition range and angle of view of markers were defined, and a new method for predicting signs of landslides in advance was presented in this study.

Implementation of Real-time Vergence Control System for Stereoscopic Camera (스테레오 영상의 실시간 주시각 제어 장치 구현)

  • 백승호;김균수;김석민;김재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475-477
    • /
    • 2002
  • 입체영상을 관측할 때 눈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입체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양안식 카메라의 주시각을 제어하여야 한다.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양안식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를 위해 획득 영상의 edge 정보를 이용한 주시각 제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양안식 입체 카메라로 획득한 좌.우 영상에서 edge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양안시차를 구하고 주시각 제어에 이용함으로써 영상의 변화와 관계없이 양안시차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륵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연산만을 사용함으로써 응답속도가 빠르고, 하드웨어 구성도 매우 간단해 지도록 하였다. 또한 영상의 특성에 맞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도록 2 mode 동작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오차를 최대한 줄이며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연속적인 주시각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 PDF

Extraction of 3D Building Information from Monoscopic High Resolution Images (단안식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부터 3차원 건물정보 추출연구)

  • Lee, Tae-Yoon;Kim, Tae-Ju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23-28
    • /
    • 2005
  •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부터 건물, 도로 등의 인공지물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연구들이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의 경우, 위성영상에서 3차원 건물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영상과 별도의 기준점을 필요로 하며, 영상에서의 측정값을 3차원 정보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센서모델링의 과정을 거쳐야 했다. 이 연구에서는 단안식 (Monoscopic)영상으로부터 이러한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건물의 3차원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개발에 대하여 소개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단안식 영상에서 영상의 방위각 및 촬영지역에서의 태양과 카메라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이용하여 건물의 높이가 주어졌을 때 이에 따르는 건물 수직선과 건물 그림자를 영상에 투영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투영된 건물 그림자가 실제 영상에서 관측되는 건물의 그림자와 일치될 대의 건물의 높이 값을 구하고 건물 지붕 외각선을 구해진 건물의 높이 값에 따르는 건물 수식선 만큼 수평 이동하여 건물의 위치를 구하게 된다. 실제 대전지역을 촬영한 IKONS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이와 같은 방법으로 취득 된 건물 높이값이 약 1m 내외의 정확도를 가지는 것을 나타났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of Sediment Scour Model in FLOW-3D (FLOW 3D모형의 세굴 매개변수 민감도분석)

  • Yeo, Chang-Geon;Lee, Jin-Eun;Lee, Seung-Oh;So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50-1754
    • /
    • 2010
  • 구조물 주변의 국부세굴에 대한 예측은 현장관측 및 수리실험 결과를 이용한 다양한 경험식과 수리모형 실험, 수치 모의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차원 수치모형인 FLOW-3D의 세굴분석 능력 검토를 제고하기 위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FLOW 3D의 입력 매개변수는 평균입경(Average particle diameter), 유사 비중(Density of the sediment particle), 한계 무차원 소류력(Critical Shields number), 세굴 조절개수(Scour erosion adjustment), 한계 유사비(Critical sediment fraction), 점착성 유사비(Cohesive sediment fraction), 유사 항력(sediment drag force), 안식각(Angle of repose)이 있다. 이 중에서 평균입경, 안식각, 세굴조절개수, 한계 유사 fraction 등의 매개변수에 대해 초기값을 중심으로 일정 비율로 구분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결과는 수리실험 결과치와 비교 검토 후에 민감도의 변화 범위와 선행하여 조정할 수 있는 매개변수를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공구조물 주변의 국부 세굴에 관한 해석시 FLOW-3D를 이용한 분석에서 보다 신뢰도 높은 결과 산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Tip Device for Hydraulic Filling Efficiency Improvements (수압식 충전의 효율 향상을 위한 선단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 Yu, Sung-Kon;Kim, Tae-Heok;Shin, Dong-Chu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2 no.6
    • /
    • pp.403-411
    • /
    • 2012
  • In recent, the using of the hydraulic filling method has increased on the underground reinforcement of the abandoned mine in Korea, however it is the lack of research on the efficient filling method. In this study, tank model tests and field tests were conducted for development of tip device for filling efficiency improvements on the hydraulic filling method. In tank model experiments, the filling efficienc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rm and angle of the nozzle on tip device in the same condition. Then tip device model designed by tank model tests was applied to the field experiment. As a result, the amount of filling of nozzle $90^{\circ}$ tube is increased by approximately 18% compared to the common vertical injection pipe. The angle of repose was $30.82^{\circ}$. Filling hole spacing in the field is usually designed from 5m up to 10m assumed to be $40^{\circ}$ of the angle of repo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hat the filling hole spacing expands at least 10m up to 15m applied to be $30^{\circ}{\sim}35^{\circ}$ of the angle of repose.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economical and efficient mine filling.

Physical Properties Analysis for Automated Process Design of Solar Salts (천일염 자동화 공정설계를 위한 물리적특성 분석)

  • Kim, Hoon;Kim, Woong;Lee, Hyo-Jae;Han, Jae-Woong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1 no.4
    • /
    • pp.408-413
    • /
    • 2018
  • In this paper, the particle size, bulk density, friction coefficient and angle of repose were measured for the automatic processing of solar salt, which was classified with 5 levels of moisture content (16.5, 13.2, 8.2, 4.9, 3.7%). Average diameter was 1.98~1.60mm according to moisture content, and bulk dens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moisture conten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the maximum value was shown in the stainless steel plate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ABS plate and acrylic plate were lower in the order. Movement occurred at the moisture content of 8.2% or less, and the empty angle of repose was increased and the filling angle of repose was decreased as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An Efficient Coding Method for Stereoscopic Videos using HEVC (HEVC를 이용한 양안식 영상의 효율적인 부호화 방법)

  • Hwang, Soo-Jin;Ho, Yo-S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6 no.12C
    • /
    • pp.721-726
    • /
    • 2011
  • The compression performance of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is improved 40%, compared to H.264/AVC. Since the existing 3D video CODEC is based on H.264/AVC or MPEG-2, we can improve the compression performance when we use the proposed stereoscopic video coding method based on HEVC. Since the stereoscopic video has the temporal and inter-view correlations, the videos of the left and right cameras encode togeth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Especially, we implemented the proposed technique using HM(HEVC test model) 3.4.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only compare the right view video which is coded using the inter-view prediction. The proposed method which is considered inter-view correlation is improved the performance which BDBR reduce about 36.24% and BDPSNR increase approximately 1.19 dB compared to the separated-coding method.

A Subjective Quality Assessment on the Asymmetric Stereoscopic Video of Mobile-hybrid 3DTV (모바일 융합형 3DTV의 비대칭 양안식 영상에 대한 주관적 화질평가)

  • Lee, Jooyoung;Kim, Sung-Hoon;Jeong, Seyoon;Choi, Jin Soo;Kim, Jin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11a
    • /
    • pp.128-130
    • /
    • 2013
  • 양안식 3DTV 비디오의 효율적인 압축을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었으며, 그 중 좌우영상으로 상이한 해상도의 영상을 사용하는 비대칭 양안식 영상은 인간의 시각시스템이 상이한 해상도의 양안식 양상을 높은 쪽 영상의 품질에 가깝게 인지하는 특성을 이용한 대표적인 비트레이트를 절감 방식이다. 이에 다양한 연구에서 좌우해상도 차이에 따른 화질 저하 정도를 측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으나, 기존 연구에서는 적정 시청거리를 고려하지 않고 좌우 영상의 크기만을 고려하여 실험하였으며 따라서 각 연구별로 상이한 실험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시각 시스템을 고려하여 적정 시청거리를 계산하고, 이에 따라 좌우영상 비율 별 화질평가를 수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좌영상을 IID급 방송콘텐츠로 가정하고, 우영상을 모바일 방송콘텐츠로 가정함으로써, 실험 결과의 방송 서비스 활용가능성을 높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