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모의 심미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안면비대칭과 치은퇴축이 심한 환자의 심미치료 (Aesthetic treatment of patient with facial asymmetry and severe gingival retraction)

  • 최문식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0-63
    • /
    • 2016
  • 전치부 심미 보철에서의 성공은 안모에서의 심미와 구강 내 주의 치아와 치주 조직간의 조화라 할 수 있다. 정상적인 교합평면을 가진 안면대칭의 환자에서는 여러 심미 책에 나오듯 기준을 잘 정하고 그 기준에 맞게 제작하면 별 탈없이 조화롭고 심미적인 보철을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안면 비대칭 환자의 경우 안면 대칭의 환자의 기준에 억지로 맞추어 제작하게 되면 심미적이지도 않을뿐더러 기능적이지도 않은 결과로 끝나기 쉽다. 또한 치은 퇴축이 심한 환자의 경우 달라진 치아주위 환경에 맞게 보철의 형태를 부여해야만 치주조직에 조화롭고 심미적이며 자정작용이 뛰어난 보철제작이 가능하다.

저위교합환자의 보철적 접근법과 이론 : Pseudo Class III 교합환자 증례 (The prosthetic approach and principle for an collapsed VDO ; A clinical case of pseudo Class III patient)

  • 권긍록;최대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0권2호
    • /
    • pp.121-134
    • /
    • 2004
  • 진단과 치료과정을 통해서 후천적으로 습득된 부정교합을 가진 부분무치악자 성인에게서, 교합고경을 회복해 줌으로써 3급 부정교합 안모에서 정상교합상태의 안모와 기능을 부여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부분무치악자에서 치조골의 위축, 그리고 감소된 교합고경 인해 이루어진 부정교합자에게서 교합고경의 수복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적절한 안모의 심미는 대체로 interlabial gap이 약 0-2mm일 때 얻어진다. 이것과 함께, 제한된 입술 지지도(lip competence)가 교합고경 수복과 적절한 안모의 심미를 위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소개된 증례의 경우는, 7년 이상의 계속 관찰 결과, 성공적인 치료였다고 판단된다. 교합고경을 증가시킨 경우이긴 하지만, 사실은 원래의 정상 교합고경으로 회복 시켜주었다고 하는 것이 더욱 옳은 표현일 것 같다. 교합고경을 증가시키는 작업은 안모의 수복, 절치부의 외상성 교합을 수정하고 하악을 후퇴시키는데 매우 어렵고도 중요한 일이다. 최종적으로, 3급 부정교합이 수정되고, 적절한 교합고경을 가지게 되었으며, 위축된 구치 무치악부가 rigid support 개념으로 제작된 가철성 의치로 수복되었다. 부분 무치악부를 가진 후천적 부정교합자의 치료의 결과로 획득한 치아 및 안모의 심미와 이것의 장기간 안정성은 다음의 관계를 잘 고려함으로써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 이상적인 교합고경에서의 교합수복, 2) 상,하악골 관계에서 기능적으로 유도되는 최종 교합의 허용, 3) lip competence (입술 적응) 한계 내에서 기능적으로 유도되는 최종교합.

안면비대칭 환자의 전악임플란트 수복 (Full Mouth Implant Rehabilitation in Facial Asymmetric Patient)

  • 김진환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6-35
    • /
    • 2022
  • 전악 임플란트 수복시 기능적인 부분 뿐 아니라, 심미적인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들이 많다. 무치악 혹은 부분 무치악 상태에서 전악 수복이 이루어지게 되면, 하안모의 큰 변화를 불러 일으킨다. 하안모의 변화뿐 아니라 안모 전체의 변화로 인하여 인상이 많이 달라 지게 된다. 이러한 안모의 변화들은 교합 고경의 회복과 치아들의 3차원적 위치, 전후방과 좌, 우 위치에 의해 안모들 싸고 있는 근육들의 변화로 인하여 일어 나는 것이다. 악골의 비대칭과 함께 안모 비대칭이 있는 환자에 있어서, 전악 임플란트 수복을 통하여, 안모 비대칭을 개선한 치료 증례를 살표 보도록 하겠다. 하악 과두의 흡수로 인하여 짧아지고 과 긴장된 근육들을 임시치아 과정에서 교합을 높여 가면서, 근육을 훈련시켜서, 좌, 우균형을 맞추어 준 증례가 되겠다. 골격적 부조화를 좌,우 근육의 균형을 통화여 보상하여, 하안모 뿐 아니라, 안모전체, 두경부 쪽의 균형을 이루는 것을 살펴 보도록 하겠다.

하안면 고경 변화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Level of perception related to changes in lower facial height)

  • 박승현;김영진;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4-181
    • /
    • 2005
  • 교정치료 결과 나타나는 안모의 개선에 대하여 환자들이 느끼는 인지도에 관한 정보를 교정의사들이 이해하여야 하며,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 시 이에 대한 기준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하악의 수직적 변화를 통해서 야기되는 측모 및 정모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직적 변화량을 알아보고자 보기 좋은 안모를 갖는 가상의 안모를 컴퓨터 영상으로 정모와 측모를 만들고 하안면부인 stomion에서 chin까지 1, 2. 3, 4mm 변화시킨 디지털 영상을 이용하여 40명의 미술학도를 관찰자로 인지도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는 환자가 수직고경의 변화를 인지하게 하기 위해서는 측모에서 최소한 2mm 이상, 정모에서 3mm 이상의 변화가 필요하였으며, 하악의 수직적 변화에 대한 인지도는 정모의 변화보다는 상대적으로 측모의 변화에서 높았다. 또한 치료 전이나 치료과정에서 환자가 접하게 될 수 있는 안모 변화에 대한 사전 정보는 변화에 대한 인지율을 현저하게 높여 주었다.

국소의치에 있어서의 인공치 선택

  • 진태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7권6호통권241호
    • /
    • pp.527-530
    • /
    • 1989
  • 국소의치에 있어서 인공치는 기능적 관점에서와 심미적 관점에서 중요한 구성요소중의 하나이다. 구치는 저작기능을 회복시켜주며 악궁간 거리를 유지하여 주며 상실된 안모의 형태를 회복시켜준다. 전치는 저작기능의 회복뿐만 아니라 심미성을 회복시켜주며 발음 기능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공치의 기능을 위해서는 인공치는 여러 요구조건을 갖게되는데, 무치악 공간에 잘 맞아야 하며 metal framework에 잘 맞아야 하고 깨지지 말아야 하며 마모되지 않아야 하고 유해한 작용이 없이 어떤 교합형태를 갖거나 어떤 재료로 되어 있는 치아이던지 잘 교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상적인 인공치는 없으나 국소의치의 요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인공치의 이용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인공치의 장점과 단점을 이해하여 국소의치 제작시 가장 적당한 인공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심미적 측모 판단에 미치는 성별과 문화의 영향력 (The Influence of gender or culture on determining esthetic facial profile)

  • 고수진;김현순;김영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01-309
    • /
    • 2001
  • 교정치료를 받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중요한 동기중의 하나가 미적 안모의 추구이기 때문에, 미적 안모를 평가하는 기준이 성별이나 환자가 속해있는 문화권에 따라서 달라진다면,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치료목표의 설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이나 문화가 매력적인 측모를 판단하는데 영향력을 발휘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4개의 평가 군으로 하여금 133명의 일반인 사진 중에서 좋은 측모를 가진 사람의 사진을 채점방식에 의해 선택하게 하였고, 좋은 측모 군을 평가하는 경향이나 평가점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4평가 군 사이에 좋은 측모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Bonferroni's multiple comparison과 randomized block designed ANOVA를 통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4개의 평가 군은 한국에 거주하는 10명의 20대 남자 군과 10명의 20대 여자 군, 10명의 20대 재미한국인 남자 군, 그리고 10명의 20대 재미한국인 여자 군으로 구성되었으며, 선택된 좋은 안모 군의 연조직 형태는 두부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사용하여 선계측, 각계측, 그리고 비율계측을 함으로써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심미적인 측모를 판별하는데 있어서의 개인적인 차이 여부를 통계적으로 입증한 결과, 아름다움에 대한 개념이 지극히 주관적이라는 통념과 일치하는 것으로 사료 된다. 2. 동일한 문화권에 살고있는 한국인에서, 성별의 차이는 심미적 측모의 평가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3. 다른 문화권에서 생활하는 같은 민족적 동질성을 가진 두 집단의 한국인간에 심미적 측모를 선택하는데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미의 기준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 문화가 더 큰 변수임을 입증하고 있다. 4. 좋은 안모 군과 좋지 않은 안모 군에서의 연조직 분석에서 하안면부 수직 고경의 비율, 안면 돌출도 및 상하순의 전후방적 위치 관계에서 특징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3-11세 아동의 두개 및 연조직의 성장변화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SEMI-LONGITUDINAL STUDY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CRANIO-FACIAL SOFT TISSUE OF CHILDREN AGED FROM 3 TO 11)

  • 박영철;최광철;한희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91-904
    • /
    • 1997
  • 현대 교정의 치료 목표는 기능 교합과 안모의 심미성에 있다고 하겠으나 이중 심미적 외모에 대한 중요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경조직과 연조직의 성장과 발육에 대한 지식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전의 연구는 주로 두부방사선적 연구를 통한 골격적 분석에 치중하여 왔다. 하지만 안모의 심미성에 관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악안면 연조직은 하부경조직의 영향을 받지만 긴밀한 연관 관계를 구하기는 어렵다는 연구들이 근래에 보고되었다. 이에 본 저자는 성장기 한국인 3-11세 아동 중에 전신 질환이 없고 발육 상태가 양호하며 교합 상태가 정상인 남자 137명과 여자 106명을 대상으로 만 2년간 두부 방사선 사진을 채득하여 연조직의 분석을 facial form, lip position & posture, Nose, Thickness의 4 부분으로 나누어 성장과의 관계를 연구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Facial Form Facial convexity가 남자 아동에 있어서 약간의 증가량을 보였는데 이는 A-Sn의 증가율이 남자 아동에서 큰 것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또한 안면 하방 구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방 구조보다 더 많은 성장이 일어났다. 2. Lip position and posture Nasolabial angle은 연령에 따라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이 평균값은 남자 93.11, 여자 97.56으로 서양인의 102보다는 예각을 보였으며 Esthetic line에 대한 돌출도는 대체로 큰 변화가 없었다. 남자 아동이 여자 아동보다 입술의 돌출도가 더 큰 값을 보였는데 이는 심미적 이유로 발치를 고려할 때 차이를 보일 수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상악 전치의 노출도는 남녀 공히 2-3mm의 값을 보였다. 3. Nose 비저의 절대적 길이는 성장에 따라 증가하는데 비해 Sn-N'-Pn은 연령 증가의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코의 성장이 전하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4. Thickness A-Sn의 길이는 남녀 아동에 있어서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그중 남자 아동에 있어서 변화폭이 컸다. 상순 후경과 하순 후경 역시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Pogonion의 연조직 두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

  • PDF

이부기형을 동반한 부교교합에서의 이부골성형술의 응용 (Application of genioplasty in malocclusion with chin deformity)

  • 장영일;서정훈;남동석;이하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1-246
    • /
    • 1996
  • 턱은 인간의 성격을 나타내는 요소의 하나로 적절하게 돌출된 턱은 심미적인 안모를 위해 대단히 중요하다. 이부골성형술은 턱의 형태재형성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교정치료 목적의 하나인 안모의 심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부골성형술은 수직, 수평적으로 턱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축조이부골성형술과 축소시키는 축소이부골성형술로 나눌수 있으며 그활용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1. 후퇴된 턱의 전진 2. 전방 돌출된 턱의 후퇴 3. 수직고경의 조절 4. 비대칭의 개선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