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vel of perception related to changes in lower facial height

하안면 고경 변화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 Park, Seung-Hyun (Department of Orthodontics,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al Scien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Young-Jin (Department of Orthodontics,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al Scien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ook, Yoon-Ah (Department of Orthodontics,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al Scien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박승현 (가톨릭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치과교정과) ;
  • 김영진 (가톨릭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치과교정과) ;
  • 국윤아 (가톨릭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치과교정과)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Understanding the level of a person's perception of changes that have occurred on the face after orthodontic treatment is critical to the process of orthodontic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perception of profile and frontal changes in lower facial height. Forty students attending art school participated in a study evaluating the level of a participant's perception of changes in the lower facial height. Participants compared computer-graphic frontal and profile photographs with balanced proportions and photograph simulations of 1, 2, 3, and 4mm changes in lower facial height from stomion to the chin. At least a 2 mm change in lower facial height for the profile view and 3mm in the frontal view was needed to be perceive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The level of a person's perception of the change in lower facial height was more sensitive in the profile view than in the frontal view, and information about facial changes given prior to evaluation enhanced the level of perception.

교정치료 결과 나타나는 안모의 개선에 대하여 환자들이 느끼는 인지도에 관한 정보를 교정의사들이 이해하여야 하며,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 시 이에 대한 기준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하악의 수직적 변화를 통해서 야기되는 측모 및 정모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직적 변화량을 알아보고자 보기 좋은 안모를 갖는 가상의 안모를 컴퓨터 영상으로 정모와 측모를 만들고 하안면부인 stomion에서 chin까지 1, 2. 3, 4mm 변화시킨 디지털 영상을 이용하여 40명의 미술학도를 관찰자로 인지도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는 환자가 수직고경의 변화를 인지하게 하기 위해서는 측모에서 최소한 2mm 이상, 정모에서 3mm 이상의 변화가 필요하였으며, 하악의 수직적 변화에 대한 인지도는 정모의 변화보다는 상대적으로 측모의 변화에서 높았다. 또한 치료 전이나 치료과정에서 환자가 접하게 될 수 있는 안모 변화에 대한 사전 정보는 변화에 대한 인지율을 현저하게 높여 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Proffit WR, Fields HW Jr. Contemporary Orthodontics, 3rd ed. St Louis: Mosby; 2000
  2. Papel ID. Quantitative facial aesthetic evaluation with computer imaging. Facial Plast Surg 1990;7:35-44 https://doi.org/10.1055/s-2008-1064662
  3. Holdaway RA. A soft-tissue cephalometric analysis and its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Part I. Am J Orthod 1983;84:1-28 https://doi.org/10.1016/0002-9416(83)90144-6
  4. Holdaway RA. A soft-tissue cephalometric analysis and its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Part II. Am J Orthod 1984;85:279-93 https://doi.org/10.1016/0002-9416(84)90185-4
  5. Sarver DM. The esthetic impact of orthodontics: planning treatment to meet patients' needs. J Am Dent Assoc 1993;124:99-102
  6. Romani KL, Agahi F, Nanda R, Zernik JR. Evalua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differences in facial profiles by orthodontists and lay people. Angle Orthod 1993;63:175-82
  7. Arpino VJ, Giddon DB, BeGole EA, Evans CA. Presurgical profIle preferences of patients and clinician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8;114:631-7 https://doi.org/10.1016/S0889-5406(98)70194-5
  8. Farkas LG, Katic Mj, Hreczko TA, Deutsch C, Munro lR. Anth-ropometric proportions in the upper lip-lower lip-chin area of the lower face in young white adults. Am J Orthod 1984;86:52-60 https://doi.org/10.1016/0002-9416(84)90276-8
  9. Farkas LG, Sohm P, Kolar JC, Katic MJ, Munro lR. Inclinations of the facial profile: art versus reality. Plast Reconstr Surg 1985;75:509-19 https://doi.org/10.1097/00006534-198504000-00011
  10. 우제경, 권오원, 성재현. 한국인 젊은 여성의 심미적인 안연 연조칙 형태에 관한 두부 X-선 계측학적 연구. 대치교정지 1997;27:245-58
  11. 고수진, 박창진, 김영진. 한국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일반대중의 안모와 심미적인 안모의 비교연구. 대치협회지 2001;39:136-42
  12. 강상훈, 남동석. I 급 부정교합자의 안면수직고경 및 교합평연경사도에 관한 치료전 후 두부 X-선 계측학적 연구. 대치교정지 1995;25:111- 28
  13. Ahn JG, Schneider BJ, Cephalometric appraisal of posttreatment vertical changes in adult orthodontic patien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0;118:378-84 https://doi.org/10.1067/mod.2000.109312
  14. 백형션, 김경호, 박열.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의 분포 및 경향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5;25:87-100
  15. 양원식. 최근 10년간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환자에 관한 고찰(1985년-1994년). 대치교정지 1995;25:497-509
  16. 경승현, 임중기, 박영철. Miniscrew를 고정원으로 이용한 교정치료. 대치교정지 2001;31:415-24
  17. Umemori M, Sugawara J, Mitani H, Nagasaka H, Kawamura H. Skeletal anchorage system for open-bite correct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9;115:166-74 https://doi.org/10.1016/S0889-5406(99)703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