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취 배출 시스템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7초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악취유발물질 배출원의 모니터링 시스템 (Real-time Monitoring Systems for Malodor Compounds Sources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s)

  • 이형돈;임해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856-865
    • /
    • 2012
  • 실시간으로 악취 유발 물진의 배출원에 대한 데이터를 구축하여 악취 민원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악취 정보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 USN)기반의 악취 측정 시스템을 통하여 실시간적으로 수집된 악취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축적 및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조회하여 지도상에 표시함으로서 즉각적인 악취 배출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지도상의 센서노드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서 센서노드 주변의 업체 목록을 지도상 좌표 기준으로 조회, 강한 악취가 발생한 부근의 주변 업체 종류와 배출물질 종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이러한 정보로 부터 업체관리 방안을 계획하여 악취배출 업체에 대한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축사배출가스 정화시스템 개발

  • 김상하;김영권;원승호;김광환;서충원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571-574
    • /
    • 2009
  • 축사 외부로 배출되는 분진을 제거하고, 축사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방지하고, 축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하여 돈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는 배출 가스 정화장치 개발하려 한다. 축사 내부의 환기에도 적용가능하여 무창돈사에 적용가능 하며, 반응시스템이 축사 내부에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내부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아 반응시스템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부 환기가 필요없는 무창돈사에 적용할 수 있다. 앞으로는 돈사 뿐만 아니라 계사, 우사 등에도 적용가능성 타진을 조사하고, 무창돈사 시스템의 확보와, 기타 악취배출 장소에서의 냄새제거에 활용 증대하면 좋을 것 같다.

  • PDF

시멘트공장 소성로 악취 배출특성 (Charaterization of Odor from Cement Kiln)

  • 김지현;임희아;박영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94-703
    • /
    • 2017
  • 최근 시멘트 공장의 소성로 배출가스 악취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는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생활환경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 앞서, 시멘트 공장에서의 악취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사업장 주요 악취발생원으로 예상되는 소성로 배출가스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악취 유발 가스의 대기 흐름과 희석, 확산 효과를 수치적으로 해석하고, 지역생활 환경 개선 및 친환경적 시멘트 생산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일정한 풍향 및 풍속이 지속될 경우 특정 지점에서 악취의 영향이 발생될 수 있으며, 풍향 및 풍속의 변화율이 증가될수록 악취 영향은 감소될 것으로 판단된다.

담체교반시스템을 이용한 바이오필터의 막힘을 자동제어하는 기술

  • 이태호
    • 환경기술인
    • /
    • 제24권통권254호
    • /
    • pp.54-59
    • /
    • 2007
  • 본 기술은 각종 산업시설과 환경 기초 시설로부터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hemicals; VOC)을 미생물의 분해 작용을 활용하여 제거하는 장치로 오염 물질의 분해과정에서 미생물의 과다생장에 의한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장치의 막힘현상을 미생물 고정화 담체의 교반과 살수과정을 통해 담체표면의 생물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 가스속에 함유되어 있는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다. 특히, 미생물 담체의 교반 장치는 미생물 고정화 담체를 교반시켜 생물막을 탈리 시킴으로써 미생물의 생장에 의한 막힘 현상과 이로 인한 압력 손실 증가와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성능의 저하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 PDF

악취 배출 양변기 시스템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alodor exhaust in a water closet system)

  • 김종호;서기원;손종원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71-477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automatic malodor exhaust ventilating methods in a water closet system. Even though these days advanced equipment has been applied into the toilet in a building or house, the odor due to the evacuating the bowels should be carefully removed to maintain clean and pleasant toilet. Therefore, this study thoroughly considered the main causes of the malodor problems and suggested the best applicable methods to the closet system.

  • PDF

악취저감 향상을 위한 스크러버 세정수 처리 시스템 개발연구 (Development of a Scrubber Wastewater Cleaning System to Improve Odor Removal Efficiency)

  • 정구회;임문순;김연수;김덕현
    • 청정기술
    • /
    • 제23권1호
    • /
    • pp.34-41
    • /
    • 2017
  • 스크러버는 적정한 처리효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세정수를 지속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화학업종 대부분은 폐수 처리시설이 없어 스크러버 세정수를 위탁 처리하고 있으며, 처리비용 때문에 자주 교체해 주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악취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거나 배출구 농도가 더 높아지는 역전현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에 세정수를 자체 정화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여과와 흡착 공정으로 구성된 세정수 처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세정수 처리 시스템은 화학업종 두 개 스크러버를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세정수 수질 상태와 악취저감 효과를 평가하였다. 세정수 처리 시스템 적용 결과 50% 이상의 수질개선 효과와 20% 이상의 악취개선 효과를 확인 하였으며, 기존 운영대비 40%의 비용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었다.

OpenMP를 이용한 CALPUFF 모듈 가속화 (CALPUFF Module Acceleration with OpenMP)

  • 유숙현;양진욱;김경호;윤희영;구윤서;권희용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C)
    • /
    • pp.1-4
    • /
    • 2011
  • 악취 유발 사업장 및 지자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악취 관리 모델링 시스템의 핵심 모듈을 최근 Intel에서 발표한 멀티코어(multi-core) 기술과 OpenMP 기술을 이용하여 고성능 병렬처리에 의한 실시간 시스템으로 개선하였다. 기존의 기상 모델인 CALMET 모델과 대기질 모델인 CALPUFF 모델은 배출원 갯수와 모델링 영역의 격자 갯수 증가에 따라 모델링 수행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악취는 그 특성상 모델링 수행시간을 짧게 할수록 악취모델링 결과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모델링 수행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여러 개의 CPU Core를 동시에 사용하여 병렬로 작업을 처리하는 멀티코어 기술을 접목하여, 기존의 CALPUFF를 실시간 모델링이 가능한 고성능 모델링 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 실험 결과 Core의 수가 증가하면 Amdahl의 법칙에 준하여 가속화되었다.

앙상블 기반의 악취 농도 다지역 통합 예측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Ensemble-Based Multi-Region Integrated Odor Concentration Prediction Model)

  • 조성주;최우석;최상현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3호
    • /
    • pp.383-400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대기오염 관련 질병 발병률이 상승하고, 2022년 세계보건기구의 보고에 따르면 매년 약 70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산업 시설 확장과 다양한 배출원 증가, 그리고 악취 물질의 무분별한 방출로 인해 대기오염 문제는 사회적으로 중요성을 띄고 있다. 한국에서도 악취를 독립적인 환경오염으로 정의하며, 지역 주민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로 간주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악취 관리가 미흡하며 악취 관리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악취 관리 시스템 개선을 목표로 충청북도 오창에 설치된 악취 센서에서 수집한 1,010,749개 데이터를 활용하여 앙상블 기반의 악취 농도 다지역 통합 예측 모델을 설계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XGBoost 알고리즘을 사용한 모델의 RMSE가 0.0096로 가장 성능이 좋았으며, 단일 지역 모델(0.0146)과 비교하여 평균 오차 크기가 51.9% 낮았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지역에서 수집된 악취 농도 데이터를 표준화한 후 다지역 통합 예측 모델을 설계함으로써 데이터의 양을 늘리고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통합 모델로 다양한 지역에서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계분톱밥 퇴비화시 악취발생의 최소화를 위한 적정 공기주입을 구명 (Investigation on Optimal Aeration Rate for Minimizing Odor Emission during Composting of Poultry Manure with Sawdust)

  • 강항원;박향미;고지연;이재생;김민태;강위금;이동창;문헌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25-231
    • /
    • 2001
  • 퇴비화시 생물학적 활성을 증대하고 악취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적절한 공기주입율을 구명하고자 밀폐형 bench-scale reartor 퇴비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공기주입율이 증가할수록 생물학적 활성은 증대하여 0.6 L/min/kg dry-solids 처리가 가장 높았고, 퇴비화 35일째의 퇴적물 품질도 가장 양호하였다. 2) 암모니아 평균 배출농도는 0.6 < 0.1 < 0.4 < 0.2 L/min/kg dry-solids 처리 순으로 낮았으며, 0.6 L/min/kg dry-solids 처리시 암모니아 배출농도는 0.2 L/min/kg dry-solids 처리에 비해 약 40% 수준에 불과하였다. 3) 계분톱밥 퇴비화시 주요 악취원인 황화합물 가스는 공기주입율이 낮을수록 배출농도가 높고 배출기간도 길어지는 경향이었으나, 0.6 L/min/㎏ dry-solids 처리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4) 계분톱밥 퇴적물의 초기 수분함량을 60%로 조절하고 0.6 L/min/kg dry-solids의 공기주입율로 퇴비화할 경우 생물학적 활성증대로 인한 양질의 퇴비생산과 황화합물 및 암모니아에 대한 악취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복합발효미생물을 이용한 하천유수지 오염토의 현장적용성 평가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 Brewing Cycle for Contaminated Soil in Water Retention Basin)

  • 신은철;정민교;김경식;강정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11호
    • /
    • pp.35-43
    • /
    • 2016
  • 이 연구는 복합발효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수지 악취 제거와 유수지 토양에 흡착된 오염물질의 정화효과를 확인하고, 현장 적용성 시험을 바탕으로 토양오염 정화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토양 내에 침전된 유기오염물질을 분석하여 악취유발 원인과 토양오염 물질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복합발효미생물과의 혼합발효를 이용하여 악취와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유수지 오염토의 물리 화학적 구성과 토양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확인하여 악취의 원인을 규명하였다. 또한, 복합발효미생물과 유수지토의 혼합실험을 통해 혼합방법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복합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은 한 종류의 미생물을 이용하는 것보다 오염 제거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복합발효미생물을 이용한 방법은 자연정화처리 방법에 비해 악취농도가 2.5배 저감하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토양으로부터 배출된 간극수의 수질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발효미생물과 유수지 혼합토의 교반실험에서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된 구리와 납이 각각 65%와 66%로 저감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유기물인 TPH 성분은 85%의 저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미생물을 이용한 유수지 오염토의 복원은 교반과 혼합비에 대한 기초자료 축적을 통해 악취와 토양오염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장기적인 정화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