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취성분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9초

도심지역의 환경 대기 중 악취성 환원황 화합물의 농도분포: ppt 영역의 분포특성 연구 (The Distribution of Major Reduced S Gases in Urban Air)

  • 최여진;김기현;오상인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9-280
    • /
    • 2003
  • 지구상의 대기환경 중에 가스상의 형태로 존재하는 황화합물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인류의 산업활동과 같은 여러 유형의 인위적 배출원을 통해 배출되는 황화합물의 절대적인 부분을 차지하며 가스상 산화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이산화황과 같은 성분은 인위적 기원의 황성분을 대표한다 (Spiro et al., 1992). 그런데 이들과 달리 자연적인 조건에서 생물활동의 결과로 지구의 대기환경 중으로 유입되는 황화합물들은 그 종류가 다양할 뿐 아니라, 산화도가 낮은 환원황화합물 (reduced sulfur compounds)의 형태로 존재한다. (Andreae, 1990). (중략)

  • PDF

매립장 배출공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계절(겨울과 여름철)간 배출특성에 대한 연구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VOC Emission in Landfill Site)

  • 오상인;김기현;최여진;전의찬;사재환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5-326
    • /
    • 2003
  • 매립지 내부에서 진행되는 혐기성 분해로 인한 폐기물의 부패현상은 일반적으로 악취와 관련한 직접적인 대기오염문제에서부터 메탄과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기체의 발생 등과 같이 기후환경변화와 관련된 문제에 이르기까지 매우 심각한 오염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매립지 내부의 가스상 오염물질들의 누적을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배출공에서는 이산화탄소나 메탄과 같은 온실기체 이외에도 약 80여 종에 이르는 다양한 휘발성유기화합물질 (Volatile Organic Compound, 이하 VOC) 성분들이 검출되기도 하였다 (Young and Parker, 1983). (중략)

  • PDF

BIO-CLOD를 이용한 소화슬러지의 악취저감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dor Removal of Digested sludge using BIO-CLOD)

  • 성일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665-867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의 소화슬러지(digest sludge)를 대상으로 악취제거 및 유기물제거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BIO-CLOD를 넣은 반응조와 넣지 않은 반응조에 대하여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 ammonia, methyl mercaptan(MMC) 및 $H_2S$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BIO-CLOD를 침적시킨 반응조(BIO-CLOD)에서 24시간 내에 ammonia는 48%인 것에 비해 $H_2S$와 MMC는 98%이상의 높은 제거율을 보인 반면에 BIO-CLOD를 침적시키지 않은 반응조(Non BIO-CLOD)에서는 24시간 내에 ammonia가 45%, $H_2S$는 71%, MMC는 84%로서 악취제거 가능성을 보였다. 암모니아 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면서 질산성질소농도는 증가하는 질산화 현상을 보였으며, 소화슬러지내의 유황계 악취성분들이 호기성 미생물들에 의해 산화 분해되어 용액 중의 황산염농도를 증가시키는 데는 BIO-CLOD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황산염농도증가와 대기중의 $H_2S$ 제거율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반응조 유출수에서 유기물의 감소는 짧은 시간 내에서는 BIO-CLOD가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HRT 12시간과 HRT 24시간으로 운전하였을 때 경제적인 면에서 HRT 12시간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월공단내 주요 산업시설물들의 대기배출시설을 중심으로 한 주요 악취성분의 배출특성 및 배출원별 악취인자 선별 방식에 대한 예비연구 (Source Characteristics of Odorous Compounds in the Ban Wal Industrial Complex and a Preliminary Study of Industry- specific Odor Indices)

  • 김기현;최여진;홍윤정;사재환;박종호;전의찬;최청렬;구윤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5-226
    • /
    • 200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mission concentrations of 31 odorous compounds from various emission sources of 37 individual companies located within the Ban Wal industrial complex of Ansan city, Korea. In the course of our study, we attempted to evaluat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industrial activities and relative significance of different odorous components . Based on our measurements of odorous compounds, we were able to find a line of evidence to draw a conclusion that a number of odorous compounds can be used as indices to specifically point out the influence of certain industrial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hydrogen sulfide and trimethyl amine record the highest contribution from leather industry. Likewise, acetaldehyde showed its maximum contribution from food-beverage sector, while ammonia for paper-mill, pulp production sector.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styrene and most YOC including BTEX were not useful, as their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high enough to judge from such respect.

볏짚과 계분(鷄糞)의 혼합물로 부터 Thermoactinomycetes vulgaris에 의한 생물비료(生物肥料)의 제조(製調) (Production of Biofertilizer from the Rice Straw Mixed with Hen Feces with Thermoactinomycetes vulgaris)

  • 최무영;강신정;이재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100-105
    • /
    • 1988
  • 계분(鷄糞)과 볏짚 혼합물을 Thermoactinomycetes vulgaris로 처리하므로써 악취가 나지 않고 작물(作物) 생육(生育)을 촉진시키는 생물비료(生物肥料)를 제조하였다. 비료(肥料) 제조(製調)의 처리조건은 온도 $50^{\circ}C\;pH\;8.0{\sim}8.5$, 수분함량(水分含量) 60% 였으며 발효(醱酵) 2일(日) 후에는 악취 성분으로 알려진 휘발성 지방산이 사라졌으며 결과적으로 계분(鷄糞)의 악취가 제거되었다. 제조(製調)된 비료(肥料)의 비료실험(肥效實驗)은 pot에서 Brassica rapa var. previdis의 생육(生育)을 조사(調査)함으로서 행하였다. 생물비료(生物肥料)는 황산암모니아, 건조계분(鷄糞), 평지깻묵 보다 작물생육(作物生育)을 촉진 시켰으며 다량(多量)의 시용(試用)으로도 생물(生物)의 생육(生育)저해가 작았다. 질소함량으로 pot당(當) 0.8g에 해당하는 생물비료(生物肥料)를 함유(含有)하는 시용구(試用區)에서 작물(作物)의 최대생산량(最大生産量)을 보였다.

  • PDF

사료 및 보조사료로서의 생균제 급여에 따른 돈사 환경개선과 돼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 and Probiotic Feeding on the Improvement of Hoggery Environment and the Productivity of Swine)

  • 이은영;임정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00-209
    • /
    • 2011
  • 동물은 고기, 우유, 및 달걀과 같은 중요한 산물을 생산한다. 현대사회의 도시화과정 및 고도 성장은 보다 많은 동물성 산물을 요구하고 작은 농장에서 밀집화된 사육이 이루어지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가축 분뇨생산량이 증가되었으며, 그에 따른 악취문제도 필연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분뇨로 인한 악취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축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환경개선을 이루는 큰 장애가 될 것이다. 축산환경으로 생산되는 악취는 휘발성지방산, 암모니아와 휘발성아민, 인돌과 페놀, 그리고 황화합물 네 종류로 분류된다. 질소성분의 절반이상은 뇨로 배설되기 때문에 동물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저단백 사료와 합성아미노산을 급여시키고, 소화효소나 미생물제제 혹은 생균제를 사료에 첨가시켜줄 경우 질소원의 배출량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축산환경의 개선과 축산분야의 생산성을 향상시켜주기 위하여 사료 및 보조사료를 급여하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폐수거품에 의한 hexadecane의 생분해 가능성 평가 (Biodegradation Potential of Hexadecane by Sewage Foam)

  • 정근욱
    • 환경위생공학
    • /
    • 제15권1호
    • /
    • pp.69-76
    • /
    • 2000
  • 폐수거품은 전 세계의 폐수처리장에서 악취생산과 BOD의 증가 및 부유고형물의 원인과 같은 수많은 문제들을 야기시킨다. Actinomycetes가 폐수거품에 존재하는 주요 미 생물군으로 알려져있다. Hexadecane은 폐수, 토양, 바닷물과 같은 자연환경에서 오염물질로 고려되는 복잡한 기름 성분의 대표적인 구성성분이다. Hexadecane은 폐수로부터 얻어진 폐수거품에 의한 분해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대표적인 모델 화합물로서 사용되었다. Gas chromatography (GC)/mass (MS)가 시료중에 있는 hexadecane의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hexadecane은 폐수거품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멸균시킨 폐수거품시료를 포함하고 있는 control시료에서, hexadecane은 거의 분해되지 않았다. 반면에, 같은 방법에 의해 멸균되지 않은 폐수시료에서, hexadecane은 급속히 분해되었다. 덧붙여서, 농축폐수거품이 들어있는 시료는 3주 동안 건조된 폐수거품의 시료보다 hexadecane을 분해하는 데 더욱 효과가 높았다. 그러나, 3주 후에는 농축폐수거품의 시료에 남아있는 hexadecane의 농도는 건조된 폐수거품시료의 농도와 유사하였다. 요약컨대, 농축된 폐수거품시료와 건조된 폐수거품시료는 control시료와 비교했을 때, hexadecane의 급속한 분해를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통해서 건조된 폐수거품시료가 hexadecane을 비롯한 다른 chemical들로 오염된 장소를 정화하는 데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악취가스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 산화를 위한 백금계 촉매의 코팅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ating Method of Platinum based Catalyst for Odor Gas and VOCs Oxidation)

  • 신중훈;정민기;홍성창
    • 공업화학
    • /
    • 제32권5호
    • /
    • pp.497-50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악취가스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산화 제거하기 위한 백금/티타니아를 허니컴 및 메탈폼 담체에 코팅하는 방법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방법 중 파우더 코팅과 나노 코팅에 대한 비교를 수행하였다. SEM/EDX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분석은 허니컴 및 메탈폼의 표면 상태 및 노출된 백금 성분비를 조사하는데 사용되었다. 또한, 촉매 코팅 방법에 따른 톨루엔, 트리메틸아민,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의 제거 성능을 비교하였다.

분석기법의 차이에 따른 현장시료의 VOC 분석결과 비교연구: 분석오차의 발생 양상과 원인 (A comparative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levels in field samples between different gas chromatographic approaches)

  • 안지원;수딜 팬디;김기현
    • 분석과학
    • /
    • 제23권5호
    • /
    • pp.465-47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기환경시료 및 현장조건에서 채취한 현장시료들 중, 악취성분 및 주요 VOC 성분들 중에서 여러 유형의 관리대상으로 지정 중인 benzene, toluene, p-xylene, styrene, methyl ethyl ketone의 농도분석 방식들을 비교하였다. 이때, GC/FID와 튜브를 연계한 F-T 분석방식과 GC/MS와 백(bag)을 연계한 M-B방식으로 같은 시료를 각각 분석하고 이들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상관분석결과, toluene과 pxylene에서 F-T와 M-B방법간의 결과에서 큰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 < 1.4E-08). 양 기기간의 오차를 percent difference (PD)와 같이 산술적으로 구하여 평가한 결과, benzene과 toluene의 농도는 상대적으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분석대상 성분들 간에 양 방식의 차이는 평균적으로 35%가 넘으면서 F-T와 M-B간의 오차가 일정 수준이상으로 존재하였다. 그리고 F-T/M-B ratio가 대부분 1 이하로 나타나면서, M-B의 결과 값이 F-T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양 분석기기로부터 산출한 결과 값을 통계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95% 신뢰수준에서 toluene, pxylene, styrene, methyl ethyl ketone 성분에서는 두 시스템간의 결과 값에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43).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 분석기법의 차이에 따른 오차는 상당 부분 선택한 표준시료의 성상 및 백내부의 시료손실 등과 같은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몰지 조기 안정화를 위한 유용 미생물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Efficient Microorganism for Early Stabilization of the Burial Sites)

  • 김현숙;박수정;정원화;;이상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43-352
    • /
    • 2013
  • 본 연구를 통해 유용 미생물을 적용하여 악취 저감 효과 및 조기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기물 분해능과 악취 제어능이 뛰어난 유용 미생물 KEM을 개발하고, 이미 현장에 사용 중인 EM과 바실러스를 각각 적용하였다. 랩 스케일의 매몰지 모형 반응기를 제작하여 유용 미생물을 각각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미생물을 적용하지 않고 사체만 매몰한 경우, 배지만 적용한 경우, 사체만 적용한 경우)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주기적인 수분 공급을 해줌으로써 가축 사체의 분해속도가 빨라진 것을 확인하였고, 유용 미생물을 적용한 반응기의 사체분해속도가 대조군 보다 빠른 것을 확인하였다. 가스는 총 8개의 성분(암모니아, TMA,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DMS, DMDS, $CO_2$, $CH_4$)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유용 미생물을 적용하였을 경우 암모니아와 메틸머캅탄에 대하여 악취 저감 효율을 보였다. 연구에 사용되었던 토양 내에 많은 토양 미생물과 가축 사체에도 많은 미생물들이 존재하고 있어, 유용 미생물을 투입하였을 때의 뚜렷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일정 부분에 한하여 악취 저감 효과와 부패 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