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성 코드

검색결과 817건 처리시간 0.031초

OneNote 에 유포된 Emotet 악성코드 분석 (Analysis of Malicious Code Emotet circulated in OneNote)

  • 박보경;하소희;한성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78-179
    • /
    • 2023
  • 이 논문은 OneNote 악성코드의 증가 추세와 그에 따른 Emotet 악성코드의 유포 방식 및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OneNote 는 페이지 내 어디든 자유롭게 콘텐츠를 삽입할 수 있는 특징 때문에 악성코드 유포에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Emotet 악성코드는 OneNote 파일을 이메일 첨부 파일로 유포하고, 문서 열람 시 클라우드 연결 버튼을 클릭하면 악성 스크립트 파일이 다운로드 되어 감염이 일어난다. 이러한 악성코드 유포 방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교육과 함께 보안 솔루션 강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Intermediate 드라이버를 이용한 변종 악성코드 탐지 및 차단 모델 (Model for detecting and blocking metamorphic malware using the Intermediate driver)

  • 허주승;김기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33-536
    • /
    • 2012
  • 인터넷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컴퓨터 통신 이용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여러 악성코드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악성코드는 시스템의 비정상 동작 유발, 네트워크 성능 저하, 개인정보유출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현재의 악성코드 분석은 Signature 분석이 대부분이며, Signature 분석은 특정 패턴의 악성코드는 빠르게 탐지하나, 변조된 코드는 탐지하지 못하며, 이미 피해가 널리 퍼진 뒤 분석 및 차단이 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NDIS(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를 이용하여 악성코드에 대해 수동적인 Signature 분석의 단점을 보완 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 상태 분석모델을 제시 하여 보다 능동적인 탐지 및 차단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모델 구현을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유사성 해시 기반 악성코드 유형 분류 기법 (Method of Similarity Hash-Based Malware Family Classification)

  • 김윤정;김문선;이만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945-954
    • /
    • 2022
  • 매년 수십억 건의 악성코드가 탐지되고 있지만, 이 중 신종 악성코드는 0.01%에 불과하다. 이러한 상황에 효과적인 악성코드 유형 분류 도구가 필요하지만, 선행 연구들은 복잡하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여 많은 양의 악성코드를 신속하게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유사성 해시를 기반으로 복잡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 없이 악성코드의 유형을 분류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악성코드의 유사성 해시 정보를 바탕으로 XGBoost 모델을 학습하며, 평가를 위해 악성코드 분류 분야에 널리 활용되는 BIG-15 데이터셋을 사용했다. 평가 결과, 98.9%의 정확도로 악성코드를 분류했고, 3,432개의 일반 파일을 100% 정확도로 구분했다. 이 결과는 복잡한 전처리 과정 및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최신 연구들보다 우수하다. 따라서 제안한 접근법을 사용하면 보다 효율적인 악성코드 분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한 악성 행위 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licious Behavior Pattern Analysis Using System Monitoring)

  • 김은영;오형근;배병철;박중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999-1002
    • /
    • 2002
  • 기존의 바이러스 및 악성 코드 백신의 탐지 기법은 대부분 시그너쳐 기반의 패턴 매칭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법의 단점은 새로운 악성 코드가 발생하면 사용자가 매번 시그너쳐를 업데이트를 해야 탐지가 가능하며, 시그너쳐의 업데이트 없이는 알려지지 않은 바이러스 및 악성 코드를 탐지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패턴 매칭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각각의 악성 코드 종류에 따른 시그너쳐를 이용한 탐지 기법이 아닌 악성 행위별 패턴를 이용하여 탐지를 한다면 기존의 기능을 포함한 알려지지 않은 바이러스 및 악성 코드 등을 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모니터링을 통하여 악성 행위별 패턴 분석 및 결과에 대해 기술한다.

  • PDF

정보유출 악성코드 분석을 통한 개선된 탐지 규칙 제작 연구 (Study on Improved Detection Rule Formation via Information Leakage Malware Analysis)

  • 박원형;양경철;이동휘;김귀남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8
    • /
    • 2008
  • 최근 해킹 기법들은 기존보다 정교한 기술을 바탕으로 악성화 되어 그 피해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자의 확대와 맞물려 그 위력은 커지고 있다. 특히 정보유출을 목적으로 제작한 해킹메일에 첨부된 악성코드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정보유출형 악성코드를 효과적으로 분석, 탐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하여 연구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악성코드의 탐지규칙과 해킹메일 악성코드 탐지규칙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해킹메일 악성코드 뿐 아니라 새로운 악성코드와 변종들에 대해서도 탐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 PDF

악성코드로부터 빅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이미지 기반의 인공지능 딥러닝 기법 (Image-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to Protect the Big Data from Malware)

  • 김혜정;윤은준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4권2호
    • /
    • pp.76-82
    • /
    • 2017
  • 랜섬웨어를 포함한 악성코드를 빠르게 탐지하여 빅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의 딥러닝으로 학습된 이미지 분석을 통한 악성코드 분석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악성코드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2,400여개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공신경망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으로 학습하고 데이터를 이미지화 하였다. 추상화된 이미지 그래프로 변환하고 부분 그래프를 추출하여 악성코드가 나타내는 집합을 정리하였다. 제안한 논문에서 추출된 부분 집합들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해당 악성코드들이 얼마나 유사한지를 실험으로 분석하였으며 학습을 통한 방법을 이용하여 빠르게 추출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인공지능의 딥러닝을 이용한 정확한 악성코드 탐지 가능성과 악성코드를 이미지화하여 분류함으로써 더욱 빠르고 정확한 탐지 가능성을 보였다.

지능형 악성코드 분석을 위한 리얼머신 기반의 바이너리 자동실행 환경 (Automatic Binary Execution Environment based on Real-machines for Intelligent Malware Analysis)

  • 조호묵;윤관식;최상용;김용민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39-144
    • /
    • 2016
  • 최근 악성코드를 이용한 위협은 사이버 상에서 가장 위협적이고 점차 지능화되고 있다. 하지만 안티 바이러스 제품이나 기존의 탐지 솔루션은 복잡해지고 정교해지는 악성코드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 환경 회피 기술을 갖는 악성코드를 보다 효과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실제 컴퓨터 환경을 기반으로 악성코드의 동작 및 상태를 감지하고 악성코드의 요구사항을 동적으로 핸들링하는 환경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리얼머신 기반의 바이너리 자동실행 환경과 가상머신 환경에서의 악성코드 악성행위 활동성을 비교하여 지능형 악성코드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동적 분석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실험하여 보였다.

AutoEncoder 기반 역난독화 사전학습 및 전이학습을 통한 악성코드 탐지 방법론 (Malware detection methodology through on pre-training and transfer learning for AutoEncoder based deobfuscation)

  • 장재석;구본재;엄성준;한지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05-907
    • /
    • 2022
  • 악성코드를 분석하는 기존 기법인 정적분석은 빠르고 효율적으로 악성코드를 탐지할 수 있지만 난독화된 파일에 취약한 반면,, 동적분석은 난독화된 파일에 적합하지만 느리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두 분석 기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난독화에 강한 정적분석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원본 코드 및 난독화된 파일을 grayscale 이미지로 변환하여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AutoEncoder 를 사전학습시켜 encoder 가 원본 파일과 난독화된 파일로부터 원본 파일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 이후, encoder 의 output 을 fully connected layer 의 입력으로 넣고 전이학습시켜 악성코드를 탐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한 방법론은 난독화된 파일에서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성능을 F1 score 기준 14.17% 포인트 향상시켰고, 난독화된 파일과 원본 파일을 전체를 합친 데이터셋에서도 악성코드 탐지 성능을 F1 score 기준 7.22% 포인트 향상시켰다.

Intel VT 기술을 이용한 Xen 기반 동적 악성코드 분석 시스템 구현 및 평가 (Development and Analyses of Xen based Dynamic Binary Instrumentation using Intel VT)

  • 김태형;김인혁;엄영익;김원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7권5호
    • /
    • pp.304-313
    • /
    • 2010
  • 악성코드를 분석하기 위한 기법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기존의 악성코드 분석 기법으로는 악성코드들의 동작들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분석 시스템들이 악성코드의 안티-디버깅 기술에 의해 감지되기 쉽고, 실행속도 등 여러 가지 한계점을 보임에 따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분석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코드 분석을 위한 기본 요구사항인 명령어 단위 분석 및 메모리 접근 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동적 코드 분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그리고 DLL 로딩 추적을 통한 API 호출 정보를 추출하여, 다양한 실행 코드들을 분석 할 수 있는 기반 환경을 구축한다. 제안 시스템은 Intel의 VT 기술을 이용하여 Xen 기반으로 전가상화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게스트에서는 윈도우즈 XP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악성코드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제안 시스템 각각의 기능들의 활용을 살펴보고, 제안 시스템이 악성코드들을 정확하게 분석 및 탐지함을 보여준다.

CNN 기반 MS Office 악성 문서 탐지 (MS Office Malicious Document Detection Based on CNN)

  • 박현수;강아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439-446
    • /
    • 2022
  • 웹사이트나 메일의 첨부 파일을 이용해 문서형 악성코드의 유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문서형 악성코드는 실행 파일이 직접 실행되는 것이 아니므로 보안 프로그램의 우회가 비교적 쉽다. 따라서 문서형 악성코드는 사전에 탐지하고 예방해야 한다. 이를 탐지하기 위해 문서의 구조를 파악하고 악성으로 의심되는 키워드를 선정하였다. 문서 내의 스트림 데이터를 아스키코드값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셋을 만들었다. CN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문서의 스트림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악성 키워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인접 정보를 활용하여 이를 악성으로 분류했다. 파일 내의 스트림 단위로 악성코드를 탐지한 결과 0.97의 정확도를 보였고, 파일 단위로 악성코드를 탐지한 결과 0.92의 정확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