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성흑색종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초

유백피(楡白皮) 추출물이 인간의 피부 세포 재생 및 악성 흑색종 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rtex Ulmi pumilae on Human HaCaT keratinocyte and its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

  • 한진근;박수연;김종한;최정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2-97
    • /
    • 2007
  • Objective : Cortex of Ulmi pumilae(CUP) has been used to treat several diseases including boil, swelling, and scabies etc. Recently, CUP was known to have wrinkle care and whitening actions. But, It's exact mechanisms are unclear. Methods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CUP on Human HaCaT keratinocyte and malignant melanoma cells such as SK-MEL-2 and B16F10 in terms of cell viabilities, proliferation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xygen free radical productions and inhibitory action on elastase activities. Results : CUP accelerated proliferation of HaCaT keratinocytes in the lower concentration. CUP also prevented cell death of HaCaT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hich products oxygen free radicals. On the contrary, CUP did not affect proliferations of SK-MEL-2 or B16F10. Futhermore, CUP showed inhibitory action against SK-MEL-2 proliferation at the concentration of $500{\mu}g/m{\ell}$ In addition, CUP was shown to hav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lso have inhibitory effects on elastase activities too. On the fluorescent examinations, the present author knows that CUP elevated production levels of oxygen free radicals in malignant melanoma cell, SK-MEL-2.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P has possibilities of usage for functional cosmetics which have wrinkle care and whitening activities and related mechanisms are involved in inhibition of elastase action and acceleration of oxidative stress in melanoma cell.

  • PDF

하지의 악성 흑색종에서 슬와 림프절 곽청술 시행례 (Popliteal Lymph Node Dissection in Lower Extremity Malignant Melanoma)

  • 김학영;장학;민경원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485-488
    • /
    • 2009
  • Purpose: Malignant melanoma of the lower extremity is well known to metastasize to the lymph nodes of the groin. However, in rare cases, the initial site of the nodal disease can be the popliteal fossa. As of yet, there has not been any report on cases with popliteal lymph node metastasis in Koreans. In the following report, authors would like to present two cases of popliteal node metastasis. Methods: A 60 - year - 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nodular mass at his left sole. He had popliteal node metastasis detected on preoperativ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 Another 67 - year - old man presented with pigmented lesion at his right heel. He also had popliteal node metastasis detected on the MRI. They underwent wide excision of the primary lesion with popliteal node dissection. Results: In the first case, $2.5{\times}2.5cm$ sized metastatic melanoma in popliteal node was pathologically confirmed.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o date(18 months after the surgery), the patient is alive with no evidence of disease. In the second case, multiple(4) metastatic melanoma in popliteal nodes was confirmed. The patient is alive, but has had interferon therapy for liver metastasis. Conclusion: By increasing the use of lymphoscintigraphy or PET as a preoperative diagnostic work - up for metastasis, even popliteal node metastasis undetectable in a physical exam becomes detectable. When metastatic lymph node is found, node dissection is the standard of care. 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we know the anatomy and surgical technique for popliteal lymph node dissection.

종격동 종양이 주병소인 악성 흑색종 1예 (A Case of Primary Malignant Melanoma in the Mediastinum)

  • 구본삼;정용석;박희백;옥철호;장태원;정만홍;이재성;천봉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3호
    • /
    • pp.409-413
    • /
    • 1999
  • Malignant melanoma develops from the melanocyte and the most common primary site is skin, followed by mucosa and retina. Even though any other tissue where melanocytes reside could be the primary site of the malignant melanoma, the one developed in the mediastinum is rarely reported. We experienced a patients of 54 years old woman whose initial symptom was progressive dyspnea for one month, and proved to have the anterior mediastinal mass with pleural effusion and the small mass in the abdominal soft tissue. The needle aspiration biopsy from the mediastinal mass showed the consistent findings with malignant melanoma. We concluded the mediastinum was the primary site of the malignant melanoma of this patient because we couldn't find any other evidence of primary tumor in skin, oral and gastrointestinal mucosa, and retina. She has been treated with combined chemotherapy with dacarbazine, cisplatin and vinblastine. Her symptom was improved after chemotherapy and follow up chest CT after three cycles of chemotherapy showed the decreased tumor size in the mediastinum.

  • PDF

악성 흑색종 치료를 위한 피판술의 임상적 결과 (The Clinical Outcome of Flap Coverage for the Treatment of Malignant Melanoma)

  • 전우주;강종우;김일환;손길수;박종웅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9권2호
    • /
    • pp.81-87
    • /
    • 2010
  • In surgical treatment of the malignant melanoma, radical resection and a sentinel lymph node biopsy are essential procedures to eradicate the tumor and to minimize the risk of local recurrence. For the reconstruction of skin defect after tumor resection, a skin graft has been generally performed procedure. However, if tendon or bone is exposed after tumor resection, simple skin graft is not enough for the coverage of the defect and additional procedure is mandatory.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clinical results of 16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malignant melanoma of the limb and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defect with various methods. The sentinel lymph node dissection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combined with radical excision of the tumor. In 11 cases of positive sentinel lymph nodes, further elective lymph node dissections were performed. The mean tumor invasion depth was 4.54 mm (2~10 mm), and AJCC stage II was most common (9 cases). The pedicled flaps were performed in 10 cases for the reconstruction of defects. All flaps were successfully survived without significant complications until the last follow up. In conclusion, a pedicled flap coverage is very useful reconstruction strategy for the soft tissue defects after radical resection of malignant melanoma.

  • PDF

피부암 병변 분류를 위한 SCLC-Edge 검출 알고리즘 (SCLC-Edge Detection Algorithm for Skin Cancer Classification)

  • 박준영;김창민;박찬홍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256-263
    • /
    • 2022
  • 피부암은 세계에서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로 국내에선 발병률이 지난 5년 동안 약 100%가 증가했고 미국에선 매년 500만여 명이 피부암을 진단받는다. 피부암은 주로 자외선의 노출로 피부 조직이 오랜 시간 손상되면서 발생하게 된다. 피부암의 악성종양인 흑색종은 피부 위에서 발생하는 멜라닌 세포 모반과 생김새가 유사해 2차 징후가 발생하지 않는 한 일반인이 자각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피부암의 조기 발견과 분류를 위해 피부암 병변 윤곽선 검출 알고리즘과 피부암 병변 분류를 수행하는 딥러닝 모델인 CRNN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윤곽선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할 시 분류 정확도가 97%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Canny 알고리즘의 경우 78%를 보였고 Sobel의 경우 55%, Laplacian의 경우 46%를 보였다.

남자 환자에서 방광암의 유방 전이암: 유방촬영술 및 초음파 영상 소견 (Bladder Cancer Metastasis to the Breast in a Male Patient: Imaging Findings on Mammography and Ultrasonography)

  • 윤인나;차은숙;김정현;이지은;정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687-692
    • /
    • 2022
  • 남성 유방암은 드물며 유방암의 약 1%를 차지한다. 유방 외 악성 종양이 남성 유방으로의 전이는 매우 드물다. 남자에서 유방으로 전이되는 가장 흔한 원발성 종양은 전립선암, 폐암, 위암, 대장암, 흑색종 및 육종이다. 남자에서 방광암의 유방으로의 전이 유방암은 드물게 보고되었고, 종괴가 아닌 침윤성 소견의 전이 소견을 보이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방광암이 유방으로 전이된 59세 남자 환자의 유방촬영술 및 초음파에서의 영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위암조직에서의 MAGE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MAGE in Gastric Cancer Tissues)

  • 최재형;이상호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3호
    • /
    • pp.180-185
    • /
    • 2005
  • 목적: 정상세포와는 달리 종양세포에서만 비교적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을 tumor specific antigens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것은 악성흑색종에서 처음 발견된 MAGE (melanoma antigen)가 있다. 위암조직에서의 MAGE subtype의 발현율은 약 $20{\sim}40%$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진행성 위암은 전체적으로 예후가 불량하기 때문에 면역치료법과 같은 새로운 치료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술 후에 얻은 정상 및 암 조직에서의 MAGE의 발현정도를 각 subtypes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유전자를 Primers로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시경에서 진행성 암으로 진단된 후 수술받은 환자 5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 중 절제된 위에서 정상조직과 암 조직을 얻어 $-70^{\circ}C$에서 보관하였다. 환자는 남자가 35명, 여자가 18명이었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57세였다. 보관된 조직에서 m-RNA를 분리한 후 RT-PCR과 nested PCR로 MAGE의 발현여부를 알아보았다. 기존에 알려진 MAGE gene의 subtypes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oligonucleotides를 일차 primers로 이용하여 증폭시켰다. 그 후 또 다른 primers를 이용한 nested RT-PCR을 시행하여 각 조직에서의 발현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위암환자에서 53예의 암조직 중 13개(24.5%)에서 MAGE gene이 양성으로 나왔고 정상조직에서는 MAGE gene이 모두 음성이었다. 위암의 조직형, ABO type, CEA, CA19-9와 cancer의 위치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위암환자의 $20{\sim}30%$에서 MAGE gene이 발현되었으며, 이에 MAGE gene을 이용한 면역치료법의 시도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이 항암(抗癌) 및 면역조절작용(免疫調節作用)에 미치는 영향(影響)

  • 강재만;강재춘;하지용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7-73
    • /
    • 1996
  • 1. 연구배경 종양은 발생원인과 기전이 밝혀져 있지 않고, 그 생물학적인 성상이 복잡하다. 최근에는 암에 의한 사망이 증가하고 있으며, 종양치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의학계에서도 이러한 경향으로 한의학적인 치료법을 이용한 종양치료를 시도하고 있다. 반하후박탕은 난질비장(蘭窒秘藏)에 복부의 적취에 사용된 처방으로, 실험적인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다. 따라서 항암 및 면역조절에 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험에 임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반하후박탕이 폐암 및 복강암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암을 유발시킨 웅성(雄性) 생쥐에 반하후박탕 엑기스를 투여하여 항암효과 및 면역능을 측정하였다. 측정항목은 시험관내 세포독성을 위하여 MTT 법을 실시하였으며, Sarcoma-180세포를 ICR생쥐에 이식한 후 복강암생쥐의 생존기간 및 고형조양의 저지율, IL-2(Interleukin-2) 생산능, NK(Natural Killer cell)-Activity을 측정하였고, B16세포를 C57BL/6생쥐에 정맥주사한 후 폐에 전이된 악성 흑색종의 집락수를 측정하였다. 3. 연구결과 시험관내 세포독성을 MTT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던 바 반하후박탕의 용량이 $10{\mu}g/ml$, $100{\mu}g/ml$의 경우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는 효과를 보였다(P<0.05). 발암 생쥐의 생존기간 연장효과에 있어서 반하후박탕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6.67%의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종양의 중량을 측정하였던 바 반하후박탕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32.78%의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폐전이 흑색종의 집락수를 측정한 결과 반하후박탕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는 감소를 보였다(P<0.05). IL-2의 생산능은 반하후박탕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7일과 14일째에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고(P<0.05), 21일째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NK-Activity에서는 모든 경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을 종합하면 반하후박탕이 Sarcoma-180세포에 대하여 직접적인 세포독성능을 나타내며, 복강 생쥐의 생존기간을 연장시키고, 고형종양의 성장은 억제하며, 보조 T세포를 자극하여 IL-2의 생산능을 증가시켜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n vitro에서 1-β-D-arabinofuranosyl-cytosine의 염색체 파열 유도 (1-β-D-Arabinofuranosyl-cytosine Induces Chromosomal Breaks in vitro)

  • 전인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2호
    • /
    • pp.1186-1193
    • /
    • 2003
  • 목 적 : 염색체 취약부위는 세포를 특정의 화학물질에 노출시키거나 특수한 배양조건에서 배양 할 때 쉽게 파열되는 염색체상의 특정구역이다. 취약부위는 유전성질환 및 악성종양과 관련이 있으며, 현재에는 분자생물학적 실험기법의 개발로 분자수준에서 이해가 되고 있다. 새로운 취약부위 및 취약부위의 발현을 높이거나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실험실적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암제로 사용되는 Ara-C를 이용하여 염색체파열을 조사하여 보았다. 한편 염색체 취약부위가 종양형성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Ara-C에 의해 발열되는 취약부위와 암유전자가 위치하는 부위 및 종양에서 일정하게 염색체변이가 관찰되는 특정의 염색체 부위와의 상관관계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상 성인 남녀 각각 3명의 말초혈액 내 T-림프구를 세포배양 후 Ara-C를 첨가하고 다시 caffeine을 처리한 뒤 종전에 시행했던 방법과 동일하게 검체 처리하여 염색체파열 부위를 관찰하였다. 염색체 취약부위는 염색체상의 일정부위에서 100개의 염색체파열 당 2회 이상의 염색체파열이 6명 중 4명 이상에서 관찰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 1) T-림프구를 엽산이 부족한 MEN-FA 배지에서 배양 시 Ara-C는 100개의 분열세포 당 252.1개의 염색체파열을 유도하였으며, Ara-C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25.2개가 관찰되어 Ara-C를 처리한 경우에 염색체파열이 의미 있게 많았다(P<0.05). 2) Ara-C에 의한 염색체파열은 엽산이 부족한 MEM-FA 배지에서 엽산이 충분한 RPMI 1640 배지에서 보다 많이 되었다(P<0.05). 한편, 2.0 mM 농도의 caffeine은 엽산만 부족한 배양 배지에서는 염색체파열을 상승시키지 못했으나, Ara-C와 병행사용 시 상승시켰다. 3) Ara-C에 의해 가장 많이 파열된 부위는 3p14.2.이었으며, 발현된 취약부위는 20부위였다. 4) 발현된 취약부위 중 7 부위는 JUN, SKI, REL, N-MYC, FHIT, MET, ETS-1, FOS의 암유전자가 위치하는 부위와 일치하였으며, 15부위는 급성림프구성백혈병, 급성골수성백혈병, 만성림프구성백혈병, 골수이형성성증, 악성흑색종, 신경모세포종, 소세포성폐암, 난소암, 유전성 신장암, 혼합성 지방육종시 염색체상에 이상이 있는 부위와 일치하였다. 결 론 : S기 특이성 항암제인 Ara-C는 정상성인의 T-림프구를 엽산이 부족한 MEM-FA배지에서 배양시 염색체 파열을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유도하였다. 한편으로 Ara-C 특이성 염색체 취약부위는 암유전자가 위치하는 부위 및 특정 종양에서 관찰되는 특이한 염색체변이가 있는 부위와 상당 예에서 일치하여 아직 알려지지 않은 암유전자를 찾거나 분석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뿐 아니라 염색체변화와 종양형성과정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기능성 지표물질 확인을 위한 동양란 심비디움(Cymbidium) 향기 성분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Functional Fragrant Components of Cymbidium (Oriental Orchid) Species)

  • 김성민;장유진;홍종원;송성호;박천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331-341
    • /
    • 2016
  • 본 연구는 기능성 지표물질 확인을 위한 동양란 심비디움(Cymbidium) 향기 성분 비교 분석을 목적으로 하며, GC/MS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춘란(Cymbidium goerigii L.), 중국춘란(C. forrestii R.)과 일경구화(C. faberi R.)의 향기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은 한국춘란으로 '민춘란', '주금화', 중국춘란으로 '취개', '송매', '용자', 일경구화로 '최매', '남양매', '화자'등을 사용하였다. GC/MS 방법을 통해 검출된 성분들을 peak area(%)값 분석을 사용하여 3%이상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분류하였다. 향기 성분 분석 결과 한국춘란에서는 유방암, 자궁경부암, 교모세포종암에 세포독성 기능성을 가진 ${\alpha}$-bergamotene과, 인체 간암 세포(HepG2)의 사멸과 성장 억제, 항진균제 및 바베스열원충, 충치균에 대한 억제 기능성을 가진 nerolidol이 가장 많았다. 중국 춘란에서는 nerolidol과 악성 흑색종 세포(B16-F10), 인체 간암 세포와 백혈병 세포(HL-60, K562)의 사멸과 억제 등의 기능성을 가진 ${\beta}$-bisabolene이 가장 많았다. 일경구화에서는 교모세포종(SF-767)의 억제와 간암세포주(BEL-7402)에 소염작용 억제 효과를 가진 ${\alpha}$-pinene, 위장 보호 효과 기능을 가진 1,8-cineole과 페로몬의 기능을 가진 1,3,7-octatriene이 가장 많았다. 이상에서 동양란의 주요 향기 성분으로 밝혀진 물질들은 인간에게 유익한 다양한 기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