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성코드 패밀리 분류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악성코드 이미지화를 통한 패밀리 분류 (Visualized Malware Classification Based-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석선희;김호원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197-20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악성코드를 실행시키지 않고 패밀리를 분류하는 방법으로 악성 코드 파일을 8-bit gray-scale 이미지로 시각화 하고 이미지 인식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통해 악성코드를 분류해내는 기법을 제안한다. 9개의 악성코드 패밀리로 분류해 내는 실험의 Top-1,2 예측 정확도는 각각 96.2%, 98.7%을 기록하였고, 27개의 패밀리를 분류하는 실험의 경우 Top-1 예측 정확도는 82.9%, Top-2는 89%로 악성코드 패밀리를 분류할 수 있다.

다중 서열 정렬 기법을 이용한 악성코드 패밀리 추천 (Malware Family Recommendation using Multiple Sequence Alignment)

  • 조인겸;임을규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3호
    • /
    • pp.289-295
    • /
    • 2016
  • 악성코드 개발자들은 악성코드 탐지를 회피하기 위하여 변종 악성코드를 유포한다. 정적 분석 기반의 안티 바이러스로는 변종 악성코드를 탐지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API 호출 정보 기반의 동적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악성코드 분석가의 변종 악성코드 패밀리 분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악성코드 패밀리 추천 기법을 제안하였다. 악성코드 패밀리의 API 호출 정보를 동적 분석을 통하여 추출하였다. 추출한 API 호출 정보에 다중 서열 정렬 기법을 적용하였다. 정렬 결과로부터 각 악성코드 패밀리의 시그니쳐를 추출하였다. 시그니쳐와의 유사도를 기준으로, 제안하는 기법이 새로운 악성코드의 패밀리 후보를 3개까지 추천하도록 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악성코드 패밀리 추천 기법의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이미지와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CNN 기반의 악성코드 패밀리 분류 기법 (Malware Classification Schemes Based on CNN Using Images and Metadata)

  • 이송이;문봉교;김준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12-21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의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학습을 통하여 악성코드를 실행시키지 않고서 악성코드 변종을 패밀리 그룹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먼저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3가지의 서로 다른 방법으로 악성코드 이미지와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CNN으로 학습시킨다. 첫째, 악성코드의 byte 파일을 8비트 gray-scale 이미지로 시각화하는 방법이다. 둘째, 악성코드 asm 파일의 opcode sequence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셋째, 악성코드 이미지와 메타데이터를 결합하여 분류에 적용하는 방법이다. 이미지 특징 추출을 위해서는 본고에서 제안한 CNN을 통한 학습 방식과 더불어 3개의 Pre-trained된 CNN 모델을 (InceptionV3, Densnet, Resnet-50) 사용하여 전이학습을 진행한다. 전이학습 시에는 마지막 분류 레이어층에서 본 논문에서 선택한 데이터셋에 대해서만 학습하도록 파인튜닝하였다. 결과적으로 가공된 악성코드 데이터를 적용하여 9개의 악성코드 패밀리로 분류하고 예측 정확도를 측정해 비교 분석한다.

엔트로피 시계열 데이터 추출과 순환 신경망을 이용한 IoT 악성코드 탐지와 패밀리 분류 (IoT Malware Detection and Family Classification Using Entropy Time Series Data Extraction and Recurrent Neural Networks)

  • 김영호;이현종;황두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1권5호
    • /
    • pp.197-202
    • /
    • 2022
  • IoT (Internet of Things) 장치는 취약한 아이디/비밀번호 사용, 인증되지 않은 펌웨어 업데이트 등 많은 보안 취약점을 보여 악성코드의 공격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CPU 구조의 다양성으로 인해 악성코드 분석 환경 설정과 특징 설계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CPU 구조와 독립된 악성코드의 특징 표현을 위해 실행 파일의 바이트 순서를 이용한 시계열 특징을 설계하고 순환 신경망을 통해 분석한다. 제안하는 특징은 바이트 순서의 부분 엔트로피 계산과 선형 보간을 통한 고정 길이의 시계열 패턴이다. 추출된 특징의 시계열 변화는 RNN과 LSTM으로 학습시켜 분석한다. 실험에서 IoT 악성코드 탐지는 높은 성능을 보였지만, 패밀리 분류는 비교적 성능이 낮았다. 악성코드 패밀리별 엔트로피 패턴을 시각화하여 비교했을 때 Tsunami와 Gafgyt 패밀리가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 분류 성능이 낮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안된 악성코드 특징의 데이터 간 시계열 변화 학습에 RNN보다 LSTM이 더 적합하다.

악성코드 패밀리 분류를 위한 API 특징 기반 앙상블 모델 학습 (API Feature Based Ensemble Model for Malware Family Classification)

  • 이현종;어성율;황두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531-539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악성코드 패밀리 분류를 위한 훈련 데이터의 특징을 제안하고, 앙상블 모델을 이용한 다중 분류 성능을 분석한다. 악성코드 실행 파일로부터 API와 DLL 데이터를 추출하여 훈련 데이터를 구성하며, 의사 결정 트리기반 Random Forest와 XGBoost 알고리즘으로 모델을 학습한다. 악성코드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API와 DLL 정보를 분석하며, 고차원의 훈련 데이터 특징을 저차원의 특징 표현으로 변환시켜, 악성코드 탐지와 패밀리 분류를 위한 API, API-DLL, DLL-CM 특징을 제안한다. 제안된 특징 선택 방법은 데이터 차원 축소와 빠른 학습의 장점을 제공한다. 성능 비교에서 악성코드 탐지율은 Random Forest가 93.0%, 악성코드 패밀리 분류 정확도는 XGBoost가 92.0%, 그리고 정상코드를 포함하는 테스트 오탐률은 Random Forest와 XGBoost가 3.5%이다.

딥러닝 기반의 R-CNN을 이용한 악성코드 탐지 기법 (The Malware Detection Using Deep Learning based R-CNN)

  • 조영복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177-1183
    • /
    • 2018
  • 최근 기계학습의 발달로 인공지능을 구현하는 머신러닝과 딥러닝 같은 기술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R-CNN을 이용한 바이너리 악성코드를 이미지화 하고 이미지에서 특징을 추출해 패밀리를 분류한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에서 두 단계를 이용해 악성코드를 CNN을 이용해 이미지화하고, 악성코드의 패밀리가 갖는 특징을 R-CNN을 이용해 분류함으로 악성코드를 이미지화하여 특징을 분류하고 패밀리를 분류한 후 악성코드의 진화를 자동 분류한다. 제안 기법은 검출율이 93.4%로 우수한 탐지 성능을 보였고 정확도는 98.6%로 매우 높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악성코드를 이미지화 하는 CNN 처리속도가 23.3ms, 하나의 샘플을 분류하기 위해서 R-CNN처리 속도는 4ms로 비교적 빠르게 악성코드를 판별하고 분류가 가능함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API 호출 빈도를 이용한 악성코드 패밀리 탐지 및 분류 방법 (Malware Family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Method Using API Call Frequency)

  • 조우진;김형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605-616
    • /
    • 2021
  • 악성코드는 임의의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하지만, 분류 기법을 이용하는 기존 연구들은 제한된 샘플에만 적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임의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악성코드 패밀리를 탐지하고 분류하기 위해 API 호출 빈도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특정 API에 대한 호출 빈도가 임계값을 넘는지 검사하는 규칙을 정의하고, 해당하는 규칙에 의한 비율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패밀리를 식별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결정트리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학습셋으로부터 특정 패밀리를 가장 잘 식별할 수 있는 값으로 임계값을 결정하였다. 4,443개의 샘플을 이용해 학습셋과 시험셋을 나눠 성능을 측정한 결과 패밀리 탐지의 경우 85.1%의 정밀도와 91.3%의 재현율을 보이고, 분류의 경우 97.7%의 정밀도와 98.1%의 재현율을 보여 악성코드 패밀리를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로컬 특징 기반 글로벌 이미지를 사용한 CNN 기반의 악성코드 분류 방법 (Convolutional Neural Network-based Malware Classification Method utilizing Local Feature-based Global Image)

  • 장세준;성연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22-223
    • /
    • 2020
  • 최근 악성코드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악성코드는 악성코드가 속한 종류에 따라서 대응하는 방법도 다르기 때문에 악성코드를 종류별로 분류하는 연구도 중요하다. 기존에는 악성코드 시각화 과정을 통해서 생성된 악성코드의 글로벌 이미지를 사용해 악성코드를 각 종류별로 분류한다. 글로벌 이미지를 악성코드로부터 추출한 바이너리 정보를 사용해서 생성한다. 하지만, 글로벌 이미지만을 사용해서 악성코드를 각 종류별로 분류하는 경우 악성코드의 종류별로 중요한 특징을 고려하기 않기 때문에 분류 정확도가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악성코드의 글로벌 이미지에 악성코드의 종류별 특징을 나타내기 위한 로컬 특징 기반 글로벌 이미지를 사용한 악성코드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악성 코드로부터 바이너리를 추출하고 추출된 바이너리를 사용해서 글로벌 이미지를 생성한다. 두 번째, 악성 코드로부터 로컬 특징을 추출하고 악성코드의 종류별 핵심 로컬 특징을 단어-역문서 빈도(Term Frequency 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 알고리즘을 사용해 선택한다. 세 번째, 생성된 글로벌 이미지에 악성코드의 패밀리별 핵심 특징을 픽셀화해서 적용한다. 네 번째, 생성된 로컬 특징 기반 글로벌 이미지를 사용해서 컨볼루션 모델을 학습하고, 학습된 컨볼루션 모델을 사용해서 악성코드를 각 종류별로 분류한다.

하이브리드 데이터셋을 이용한 악성코드 패밀리 분류 (Classification of Malware Families Using Hybrid Datasets)

  • 최서우;한명진;이연지;이일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1067-1076
    • /
    • 2023
  • 최근 변종 악성코드가 증가하면서 사이버 해킹 침해사고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지능형 사이버 해킹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악성코드 패밀리를 효과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기계학습 기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분류 모델은 데이터셋이 난독화되거나, 희소한 경우에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ASM 파일과 BYTES 파일에서 추출한 특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데이터셋을 제안하고, FNN을 사용하여 분류 성능을 평가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하는 방법은 단일 데이터셋에 비해 약 4% 향상된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희소한 패밀리에 대해서는 약 30%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이미지 전처리와 앙상블 기법을 이용한 이미지 기반 악성코드 분류 시스템 (Image-based malware classification system using image preprocessing and ensemble techniques)

  • 김해수;김미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15-718
    • /
    • 2021
  •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악의적인 공격을 통해 보안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새로운 악성코드가 유포되어 기존의 시그니처 비교방식은 새롭게 발생하는 악성코드를 빠르게 분석 할 수 없다. 새로운 악성코드를 빠르게 분석하고 방어기법을 제안하기 위해 악성코드의 패밀리를 분류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악성코드의 바이너리 파일을 이용해 시각화하고 CNN모델을 통해 분류한다. 또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LBP, HOG를 통해 악성코드 이미지에서 중요한 특성을 찾고 데이터 클래스 불균형에서 오는 문제를 앙상블 모델을 통해 해결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