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력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9초

재가노인을 위한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 in the resident elderly)

  • 권상민;권말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85-491
    • /
    • 2016
  • 본 연구는 신체활동증진을 위한 방문운동을 통해 재가 허약노인의 신체적 기능(악력, 정적균형), 심리적 기능(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대조군 전후설계연구이다. 대상자는 D광역시에 거주하는 허약노인으로 방문요양서비스를 받는 자로 실험군 25명, 대조군 24명이다. 실험군은 A어르신 마을의 방문요양서비스를 받은 재가노인으로 2016년 3월 28일부터 2016년 5월 14일까지 8주간 총 16회의 방문운동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중성적 처치로 2회 걸쳐 건강교육 자료를 나누어주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오른쪽 악력, 왼쪽 악력, 정적균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우울은 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주관적 건강상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방문운동은 재가허약노인들의 신체적 기능향상과 심리적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방문운동의 기간과 강도를 연장하여 그 효과의 지속성을 검정할 수 있는 반복연구와 시설이나 장소를 달리한 비교연구를 제안한다.

지적장애인에 대한 10주간 놀이운동처치가 신체구성과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playing exercise program for 10 weeks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the mentally handicapped)

  • 손원일;조성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548-1556
    • /
    • 2014
  • 본 이 연구는 S시 지적장애인센터의 지적장애인 19명(남12명, 여7명)에게 10주 동안 주 1회(120분), 놀이운동프로그램 처치가 기간별(사전·사후검사) 신체구성(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근육량, 세포량)과 건강관련체력[심폐지구력, 근력(악력, 배근력), 유연성(좌전굴)〕요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치를 산출하였고, 놀이운동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기간별 신체구성 및 건강관련체력의 변화에 대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alpha}=.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신체구성 변화 중 유일하게 근육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건강관련체력은 배근력, 좌악력, 우악력, 좌전굴, 심폐지구력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인들의 놀이운동프로그램이 신체구성 및 건강관련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성인병 예방에도 기여 할 수 있는 에너지 소비적 활동으로 활용가능하다고 본다.

스마트폰 사용 시 팔의 지지 각도가 손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and Function on the Angle of Holding a Smartphone)

  • 김수현;김현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364-5371
    • /
    • 2015
  • 본 연구는 스마트 폰 사용 시 팔의 지지 각도에 따라서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손가락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2014년 4월 21일부터 27일 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21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지지대 없이 90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스마트 폰 타자를 실행한 그룹, 슬링을 이용하여 90도 각도를 유지하고 스마트 폰 타자를 실행한 그룹, 슬링을 이용하여 120도 각도를 유지하고 스마트 폰 타자를 실행한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각 그룹은 7명씩 나누었다. 손의 통증을 측정하기 위하여 핀켈스타인 검사를 하였으며, 시각 통증 척도를 이용하여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손의 악력과 엄지손가락의 핀치 그립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은 왼손과 오른손을 측정하였으며, 시작 전, 30분, 1시간, 1시간30분으로 총 4번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왼손과 오른손의 통증, 악력, 핀치 그립의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오른손의 악력에서는 시기와 군의 교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 결과로 인하여 팔의 지지는 손의 스트레스를 줄여 손의 기능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된다.

신체능력향상프로그램이 다운증후군 성인의 작업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ysical Fitness Improvement Program on Work Intensity of Adults With Down Syndrome)

  • 김은주;이기업;박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52-260
    • /
    • 2009
  • 본 연구는 신체능력향상프로그램이 다운증후군 성인의 작업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다운증후군 성인이 신체능력향상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작업강도를 측정하였다. 신체능력 향상프로그램은 악력, 들어올리기, 운반 운동으로 구성되었으며, 주 1회 2시간 씩 12주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비교해 보면, 참가자들은 우측 악력과 들어올림 능력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고 운반 능력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들어올림에서는 2명의 작업강도 수준이 보통 작업에서 힘든 작업의 수준을 나타냈다. 운반에서는 1명은 아주 가벼운 작업에서 보통 작업으로 그리고 2명은 가벼운 작업에서 보통 작업 수준으로 변화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능력향상프로그램이 다운증후군 성인의 작업강도 향상에 유용함을 제시하고 있다.

12주간의 순환근력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ircuit weight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of middle-aged women for 12 week)

  • 윤기용;김용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363-370
    • /
    • 2016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순환근력운동이 신체구성성분과 기초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최근 6개월 동안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지 않았으며, 질병 및 신체적 이상소견이 없는 중년여성 34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순환근력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신체구성성분검사와 기초체력검사항목으로 평가하였다. 결과에서 신체구성성분검사는 체중, 체지방률, 허리둘레 모든 항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기초체력측정에서는 악력과 제자리멀리뛰기에서 어느 정도의 향상을 보이기는 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상대악력, 앉아윗몸 앞으로 굽히기, 교차윗몸일으키기, 10m왕복달리기, 20m왕복오래달리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보았을 때, 12주간의 순환근력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구성성분과 기초체력에서 효과를 보여 비만 개선과 체력증진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으로 권장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모델전공 여대생과 일반 여대생의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Composition and Basic Physical Strength between Model Majored Female College Students and General Female College Students)

  • 김원현;김승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597-60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델전공 여대생과 일반 여대생의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을 비교분석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취지를 충분히 설명하고 자발적 참여의 동의서를 작성한 D대학교의 모델전공 여대생 15명과 일반 여대생 15명이었으며, 과거병력과 현재 특별한 질환이 없고, 규칙적인 운동경험이 없는 자들로 구성하였다. 이들은 신체조성검사 및 기초체력검사인 좌 우악력, 배근력, 유연성, 순발력, 근지구력을 실시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 차이 검증은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모델전공 여대생과 일반 여대생의 체중, 골격근, 체지방량, BMI 및 좌 우악력 및 배근력, 순발력에서 집단 간 유의(p.<05)한 차이를 보였으며, 유연성 및 근지구력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Effects of Low-density Exercise in the Frail Elderly)

  • 권상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643-650
    • /
    • 2013
  • 본 연구는 재가 허약노인을 대상으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적 기능(악력, 정적균형, 복합적 이동능력), 심리적 기능(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대조군 전후설계연구이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악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복합적 이동능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정적 균형은 운동 수행 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우울은 운동수행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은 허약노인들의 신체적 기능 향상과 심리적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의 빈도와 강도를 연장하여 그 효과의 지속성을 검정할 수 있는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재가노인의 일상활동 어려움, 악력, 일상생활동작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Difficulty on Daily Activities, Grip Strength,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Perceived Health in Community-living Older Adults)

  • 홍손귀령;이윤경;박영선;오은미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2-202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ctive relationships between predictors [(difficulty on daily activities due to arthritis, falls, and pain, grip strength,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and perceived health in community-living older adults in Korea. Method: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Data were obtained from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conducted in 2006. A stratified sample was selected of 5,545 older adults who were over 60 years old for analysis of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Result: Mean age was 70.27 years (SD=7.27) ranged from 60 and 105 years old. Perceived health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ip strength, and ADL. With multiple regression, all main variables explained 22.1% for perceived health. Difficulty on daily activities due to pai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n perceived health. Grip strength, ADLs, gender, and difficulty on daily activities due to arthritis and falls were also significant predictors on perceived health. Conclusion: Whe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perceived health in older adults, their difficulties on daily activities, grip strength, and ADLs should be assessed.

VR 기반의 상지 재활 훈련용 멀티플레이 콘텐츠 (Multi-player Contents for Upper Limb Rehabilitation based on VR)

  • 신성욱;이혁민;문호상;정성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15-120
    • /
    • 2019
  • 뇌졸중 후 편마비(Hemiplegic) 환자들의 상지기능 저하는 손을 많이 쓰는 일상생활 수행에 있어서 신체적 동작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불편함이 매우 크다. 본 논문에서는 편마비 환자들의 상지기능 개선을 위하여 자체 제작한 상지 재활 보조장치를 이용하였다. 이 장치는 팔이 움직일 수 있는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와 손의 악력 크기를 사용하여 훈련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장치를 이용한 훈련 콘텐츠는 환자의 흥미와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VR(Virtual Reality)로 구현되었으며, 환자 혼자서 훈련하는 심리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멀티플레이 환경으로 구성하여 환자의 재활훈련에 간병인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장치와 훈련 콘텐츠를 사용하여 손의 악력 크기와 팔의 관절가동범위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환자나 간병인이 쉽게 상지기능 개선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자료를 활용한 구강건강관련요소와 악력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related factors and grip strength using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 강현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43-752
    • /
    • 2019
  • Objectives: Grip strength is a measure for assessing overall muscle strength, muscle mass, and nutritional status, and is a useful tool for early examination of a person's general health.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related factors and grip strength, using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Method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version 25.0 (IBM Co., Armonk, NY, USA) software with a complex sampling analysis of stratified and clustered variables, all with weighted values, applied for every analysis conducted. From the 6th KNHANES data, a total of 26,101 people were selected as the study population. A complex sample generalized linear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for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use of oral care products, and factors such as adult mastication and speaking habits. Results: Grip strength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men compared to women. Grip strength was the highest in the 20-39 year old group. Furthermore, grip streng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among married and employed individuals, and in the right hand (p<0.001). Grip streng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among people who perceived themselves to have good health and among those who did not have health-related problems in the past two weeks (p<0.001). It was also higher among those who used interdental brushes and electronic toothbrushes (p<0.001), but decreased with greater discomfort in mastication and speaking among adults (p<0.05). Conclusions: Grip strength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oral health-related factors and therefore, these could be helpful tools in evaluating both general and subjective health statuses. In general, oral care products are small in size with oral care involving the use of hands and certain precise motions and action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oral cavity. As shown in the findings, grip strength declines with increased age and as a result, the use of oral care products should be strongly recommended in order to promote better gener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