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골성장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5초

Inverted labial bow appliance를 이용한 전치부 반대교합 치험례 (INVERTED LABIAL BOW APPLIANCE FOR ANTERIOR CROSSBITE CORRECTION : REPORT OF A CASE)

  • 박진아;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94-699
    • /
    • 2001
  • III급 부정교합은 유치열기나 혼합치열기에 이미 그 증상을 예측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많은 경우 그 증상의 악화를 예방할 수도 있다. III급 부정교합의 원인으로는 단순한 상하악 치아의 위치 이상에 의한 치아 치조성 혹은 기능성 III급 부정교합과 상악골과 하악골의 비정상적 성장발육에 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특히 초기의 기능적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경우 방치되면 다양한 환경적 유전적 요소와 함께 골격성 부정교합으로 전이될 수 있고 많은 경우 악골의 비대칭적 성장에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정교합의 일차적 조기치료는 소아치과 치료영역에서 중요한 관심 분야라 할 수 있다. Inverted labial bow appliance는 통상적인 active plate의 장점과 activator와 같은 양악장치의 장점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장치로 상악치아의 개별적인 치아이동이 용이하고 동시에 기능적으로 전방 변위된 하악을 쉽게 정상위치 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특히 구호흡 등의 기질적 원인을 가지는 환자나 복잡한 양악장치를 착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협조도가 부족한 환자의 경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과의 정확한 감별진단이 선행되야 함은 물론이다. 본 증례는 기능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7세 여아에서 Inverted labial bow appliance를 이용하여 전치부 반대교합을 해소한 경우로 치료결과는 상하악 전치부의 치아 치조성 이동에 의해 주로 이루어졌다.

  • PDF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전략 (Treatment strategies on Class III malocclusion based on Long term follow up study)

  • 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5-139
    • /
    • 1996
  • 저자는 성장기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후 성장완료시까지 장기관찰 기록을 통하여 III급 부정교합치료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를 얻었다. 장기 관찰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전치부 반대교합의 조기 개선시에 상악에서 상당한 전방성장이 많은 증례에서 관찰되었다. 둘째, 악골에 대한 정형적 치료에 의한 성장조절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제한적인 효과만 인정되었다. 셋째, 반대교합을 가진 어린 환자에서 얻은 어떤 자료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그 환자의 치료후 안정성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없었다. 그러나 gonial angle은 어느 정도 예측의 가능성을 보였다. 넷째, 성장이 된 연령에서 하악에 대한 정형적 후방력이나 하악의 급작스런 위치 변화는 악관절에 좋지 못한 영향을 줄 수 있었다. 따라서 저자는 다음과 같이 III급 치료 전략을 제시한다. ${\cdot}$반대교합은 가능하다면 조기에 개선하는 것이 좋으며, 정형적 치료는 10세 이전에 1-2년 정도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cdot}$ 이후에 바로 phase II 치료에 들어가지 말고 성장이 어느 정도 끝나는 시점까지 기다린다. 즉 여자는 14세, 남자는 17세 경까지 기다린 후에 교정치료로 마무리할 것인지 악교정 수술을 할 것인지 결정한다. 관찰 기간 동안에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도문제, 혀자세, 습관, 제3대구치의 발육 등을 감독하고, 성장에 관한 자료를 채득한다. 이렇게 하므로서 앞에서 관찰한 치료 완료 후의 재발로 인한 재치료 문제를 줄일 수 있고,실제적인 치료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환자나 술자에게 모두 유익하다고 생각한다.

  • PDF

I급 부정교합자의 안면수직고경 및 교합평면경사도에 관한 치료전후 두부X-선 계측학적 연구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FACIAL HEIGHT AND OCCLUSAL PLANE INCLINATION IN CLASS I MALOCCLUSION GROUP)

  • 강상훈;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1-128
    • /
    • 1995
  • 교정치료후 안면의 수직고경변화는 교정의에게 지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켜 왔다. 특히 제1소구치발치증례와 비발치증례에서 수직고경변이로 인한 악관절상의 문제도 선학들에 의해 연구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악골의 전후방적인 골격부조화를 배제한 I급 부정교합자의 수직피개정도 및 연령군에 따른 안면수직고경의 변화를 관찰하고 수직고경변화에 따른 교합평면경사의 변화양상을 비교하여 향후 치료결과의 예측, 분석에 도움을 얻고자 한다.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하여 I급 부정교합자로 진단되어 상하악 제1소구치를 발치하여 치료를 받은 환자 35명, 비발치로 치료를 받은 환자 30명 중 수직피개량을 기준으로 I군(피개도<0mm), II군(0<피개도<4mm), III군(피개도>4mm)으로 분류하여 두부 X-선 계측사진을 계측,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연령에 따라 성장진행군 및 성장완료군으로 분류하여 역시 비교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발치군과 비발치군 모두에서 치료후 전안면고경의 증가를 보였으나, 두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치료전후, 성장진행군의 교합면경사도는 세군에서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성장완료군에서는 각 군에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3. 발치군과 비발치군 모두에서 성장진행군은 전안면고경과 후안면고경의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성장완료군에 비해 후안면고경의 증가가 우월하였다. 4. 교정치료후 제1대구치는 모든 군에서 교합평면에 대해 유의성 있게 직립하였다(p<0.05).

  • PDF

라론 증후군의 구강 악안면 증상 (ORAL AND MAXILLOFACIAL MANIFESTATIONS OF LARON SYNDROME)

  • 신차욱;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9-144
    • /
    • 2009
  • Growth hormone insensitivity(GHI) 증후군은 Laron에 의해 처음 보고된 질환으로 성장 호르몬 결핍증과 유사하게 악악면 양상과 심각한 성장 지연을 보이지만, 이와는 달리 혈중 성장호르몬은 정상이거나 증가되어 있고 혈중 Insulin like growth factor-I(IGF-I)과 성장 호르몬 결합 단백질은 감소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 중에서 원발성으로 GHI 증후군을 보이는 경우를 라론 증후군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약 200여 증례가 보고되고 있으나, 치의학적인 보고는 극히드물다. 본 증례는 라론 증후군을 보이는 두 증례를 관찰한 바 작은 두개저와 상하악골, 왜소치, 구근상 치관, 침상 치근 등의 치아형태 이상 등의 다양한 구강 악안면 이상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성인 III급 부정교합자의 SELLA TURCICA의 형태 및 크기에 관한 연구 : SELLA TURCICA부피의 III급 부정교합 예측 지표로서의 가능성 (THE EVALUATION OF SELLA TURCICA ON THE SHAPE AND VOLUME IN CLASS III PATIENTS : The Possibility of Sella Turcica as Class III Growth Prediction Indicator)

  • 양원식;하태헌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3-217
    • /
    • 1998
  • Sella는 오랜 동안 교정학에 있어 필수적인 landmark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그러나 sella turcica는 그 안에 성장호르몬을 비롯한 많은 중요 호르몬을 분비하는 뇌하수체를 함유하고 있는 구조물로서 sella turcica의 크기는 뇌하수체의 크기를 비교적 정확히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만일 뇌하수체의 크기와 그 기능이 서로 비례한다면 두부방사선 사진에서 관찰되는 sella turcica의 크기와 성장호르몬을 비롯한 여러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 기전간에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며 만일 그렇다면 악안면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 분비 차이에 의한 악골부조화와 이로 인한 III급 부정교합과의 상관관계도 의심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0명의 정상교합자 남녀와 50 명의 III급 부정교합자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측모 두부방사선사진과 전후방 두부방사선 사진에서 관찰되는 sella turcica의 부피를 구하고 두부방사선 분석을 통해 IIII 부정교합간의 상관 관계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정상교합군보다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sella turcica의 부피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01),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여성이 남성 보다 더 큰 sella turcica부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III급 부정교합을 반영하는 APDI, ANB, effective mandibular length등의 항목에서 sella turcica부피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전두개저 길이에 대한 sella turcica 부피의 비를 표시하는 Sella Index 는 sella turcica 부피 자체보다 III급 부정교합을 더 정확히 반영하였다. 따라서 악안면 발육에 대한 성장호르몬의 효과나 sella turcica부피와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량과의 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sella turcica부피에 따른 악안면 성장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Sella Index를 III급 부정교합을 예측하는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reacher Collins 증후군 환아에서 급성 기도 폐색 (ACUTE AIRWAY OBSTRUCTION IN AN INFANT WITH TREACHER COLLINS SYNDROME: REPORT OF A CASE)

  • 유선열;서일영;황웅;김선국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5호
    • /
    • pp.422-427
    • /
    • 2004
  • 안검열의 외하방 편위, 관골 형성부전, 하악골 형성부전, 하악 후퇴증, 소이증, 설하수, 구개열 등의 소견으로 간헐적인 청색증, 흉곽 함몰, 급성 기도 폐색에 의한 호흡곤란과 연하곤란 등의 임상 소견을 나타낸 Treacher Collins 증후군을 가진 환아에서 출생직후에 구강저골막하박리술과 설구순접합술을 이용한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 결과 급성 기도 폐색에 의한 호흡곤란과 수유장애의 해소 뿐만 아니라 혀의 전방 재위치 등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향후 성장이 완료될 때까지 주기적 경과 관찰을 시행할 예정이며, 성장과정 중에 발생할 두개안면기형에 대해서는 정신사회학적 측면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조기에 교정해주고, 어느 일부분에 국한된 수술보다는 안면윤곽을 고려하여 복합적인 수술을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악골 신장술 후 신생 골막조직에서의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및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수용체 발현에 대한 연구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ITS RECEPTORS IN THE DISTRACTED PERIOSTEUM AFTER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 황등욱;변준호;박봉욱;김종렬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6호
    • /
    • pp.549-558
    • /
    • 2006
  • During distraction osteogenesis, the angiogenic activity is crucial factor in the new bone form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ct the autocrine growth activity in the cellular components of the distracted periosteum with observation of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its receptors following the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Unilateral mandibular distraction (0.5 mm twice per day for 10 days) was performed in six mongrel dogs. Two animals were sacrificed at 7, 14, and 28 days after completion of distraction, respectively. The distracted lingual periosteum was harvested and processed for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s. After then, we observed the expression of VEGF, Flt-1 (VEGFR-1), and Flk-1 (VEGFR-2) in the osteoblasts and immature mesenchymal cells of the distracted periosteum. At 7 days after distraction, the expression of VEGF and its receptor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ellular components of the distracted periosteum. Up to 14 days following distraction, the increased expressions were maintained in the osteoblastic cells. At 28 days after distraction, the expression of VEGF and its receptors decreased, but VEGF was still expressed weak or moderate in the osteoblastic cells of distracted periosteum. The expression pattern of VEGF and its receptors shown here suggested that VEGF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osteogenesis, and these osteoblastic cell-derived VEGF might act as autocrine growth factor during distraction osteogenesis. In the other word, the cellular components in the distracted periosteum, such as osteoblasts and immature mesenchymal cells, might have autocrine growth activity during distraction osteogenesis.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두개저 성장 양상에 따른 악골 성장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axillofacial Growth in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by Cranial Base Growth)

  • 손도경;박성원;이재민;김은자;최상문;김용운;최문기;오승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3권6호
    • /
    • pp.483-489
    • /
    • 2011
  • Purpose: Craniofacial structure form results from the adaptation to morphologic and functional changes in their neighboring structures for a mutual bal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lassification of maxillomandibular complex growth pattern follow by cranial base growth pattern. And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xilla-mandibular complex growth pattern and orthodontic criteria. Methods: 142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had orthognathic surgery at Wonkwang University Dental Hospital during April 2004 to October 2010. Pati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ranial base and maxillomandibular growth patterns were evaluated. Result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ranial base and maxillomandibular growth patterns.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occlusal plane, 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mandibular plane, positioning of pogonion and the saddle angle, indicating maxillary growth patterns. Nega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SNA, SNB, maxillary incisor angle and saddle angle.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ratio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cranium, positioning of pogonion and the percentage of cranial depth indicating mandibular growth patterns. Nega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occlusal plane, maxillary incisor angle, mandibular plane, mandibular angle and cranial depth. Conclusion: Cranial base and maxillofacial growth patterns were correlated and the classification should be adjusted before orthognathic surgery.

금속 이식물을 이용한 악관절 강직증의 치험례 (RECONSTRUCTION OF UNILATERAL TMJ ANKYLOSIS WITH METALLIC CONDYLAR PROSTHESIS;REPORT OF A CASE)

  • 이동근;임창준;강문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40-46
    • /
    • 1989
  • 출생 전${\cdot}$후 악관절의 외상 또는 감염은 과두 성장을 방해하며 편측으로 발생하는 경우 하악골의 비대칭 성장을 초래하여 심한 안모 변형과 부정교합을 유발하거나 악관절 유착의 주된 원인이 된다. 역사적으로 관절 유착은 과두절단술에서부터 연골이식, 진피이식, 금속과두 이식, 관절 성형술, 관절과 이식물 삽입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방법에 의해 치료되어 왔으며 하악운동이 보장되고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는데는 어떤 술식이라도 만족스런 결과를 가져다줄 수 있다. 이에 저자는 편측성 악관절 강직증 및 비대칭 안모를 가진 환자에서 과두절제술 후 금속 과두이식을 이용한 악관절 재건과 하악 골체부 절단술 및 C-sliding 절단술, 하악지 수직 골절단술, Medpor를 이용한 증식술로 개구기능과 비대칭 안모를 개선하여 비교적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그 치험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성장기 아동의 상하악골 성장 및 제1대구치 위치적 변화에 대한 연구 (A STYDY ON GROWTH CHANGES OF MAXILLA AND MANDIBLE AND POSITION CHANGES OF FIRST PERMANENT MOLARS OF GROWING CHILDREN)

  • 조대희;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11-320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nges of maxilla and mandible and position changes of first permanent molars of growing children The author analyzed the data using cephalometric roentgenogram of 43 boys and 39 girls age of 6 to 11 with normal occlusio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ruption path of maxillary and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superimposed on TM-ANS and mandibular plane shows individual variation 2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changes of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but positive correlation in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3 As the eruption, the forward changes of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4 As the ages were increased, there were irregular growth changes of maxilla and mandible 5 Growth changes of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was relatively stable 6 N-S-${\bar{6}}$ was stable after age 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