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파트 평면유형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3초

단위세대의 개방형 평면구성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pen Floor Plan Design Property on Apartment Price)

  • 배상영;이상엽
    • 부동산연구
    • /
    • 제27권1호
    • /
    • pp.17-32
    • /
    • 2017
  • 주거공간의 개방성은 채광, 조망, 환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특성으로, 단위세대의 개방성 확보를 위해 아파트의 평면유형이 다양화되고 있다. 그러나 개방형 평면유형과 주택가격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는 개방형 평면 유형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개방형 평면유형과 베이수, 발코니비율, 공간 당 외부접면비율 등의 평면개방정도와 형태를 변수화하고,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20개월간 강남구에서 거래된 아파트 자료를 기반으로 헤도닉 가격모형과 인공신경망 모형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베이수, 공간 당 외부접면 비율이 높을수록 아파트 가격은 상승하며, 개방형 평면 유형은 3면 개방형 평면, 직각 개방형 평면, 양면 개방형 평면, 1면 개방형 평면, 복합 개방형 평면 순으로 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신축 및 재건축시 사업자가 평면설계에 있어 소비자의 선호를 반영하고 구매자의 경우에도 평면유형에 따른 가치파악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노형래
    • 건축사
    • /
    • 2호통권382호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아파트 부부공간 존 유형에 따른 거주자 사용행태 및 선호도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Using behavior of Residents According to Plan types of Master Room in Apartment Housing)

  • 최유미;강순주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50-356
    • /
    • 2008
  • Recently, house market is focusing to consumer because competition between contractors is getting more deeply. So they are suppling various plans and changing space to confront lifestyle of consumers. This study has researched types of master rooms and analyzed the Preferences of users, so offers a basic material of master room zoning plan.

  • PDF

아파트 단지 내 경로당의 평면유형에 따른 공간변용 (Spatial Transfigurations by Floor Plan Type of Elderly Center in Apartment Complex)

  • 양세화;류현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1호
    • /
    • pp.29-37
    • /
    • 2013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try configuring categorization of floor plans of elderly centers located in apartment complexes and to find out the spatial transfigurations regarding floor plan types. The data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56 elderly centers of apartment complexes in Ulsan by observations and interviews from July 3 through 13, 201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loor plans of the elderly centers were categorized into six types, which were 2R+L+K, 2R+LK, 1R+L+K/1R+LK, 1RL+K, 1RLK, and 2R+K/1R+K(no living room). Secondly, there were no salient differences among the plan types for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enters. The types of 2R+L+K were relatively big in size and two thirds of the centers had gender-segregated rooms. Lastly, spatial transfigurations was found in sixty-percent of the centers, which included change of spatial arrangement, functional change, and functional addition. Interestingly, the more the spaces were segregated, the more the spatial transfigurations were performed in the way for the integration of functions of the rooms.

아파트 평면유형별 가구보유 실태 및 요구 - 부산 해운대 지역 아파트를 중심으로 - (Furniture Use and Needs of Apartment Residents in Haeundae, Busan)

  • 김민경;오찬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9-7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rniture use pattern and needs for built-in furniture of apartment residents. The subjects were 289 housewives who live in apartment houses in Haeundae, Busan. The size of apartments was 60 $m^2$ or 85 $m^2$.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here was no any furniture pattern which can be categorized as the specific one. That is, each family has different kinds of furniture pattern in living room and master bedroom. Also, some subjects wanted to have builted-in furniture in master bedroom.

  • PDF

아파트 실내디자인 다양화를 위한 거주자 선호에 관한 연구 - 실내이미지 및 실내마감재 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idents' Preference for the Diversity of Interior Design in Apartment Houses - Focused on Interior Images and Finishing Materials -)

  • 오찬옥;박수빈;김석태;양세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8호
    • /
    • pp.125-133
    • /
    • 2003
  • The apartment hous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housing types in Korea. However, it has not met the diverse and individualized needs of their residen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residents' preference of interior design in apartment houses and suggest the guidelines for the diversity of Intoner design In apartments. The subjects were 412 apartment residents who lived in Haeundae, Busan. They were asked about their preference for interior images of each room and finishing material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apartment interior images were composed of nine main factors. 2) The residents preferred to 'practical' interior image in apartment and different interior images for each room. 3) The residents preferred interior images were different by their housing sizes and space organization types. 4) The residents preferred to different finishing materials for each room..

거주자가 선호하는 아파트 평면구성 유형 - 컴퓨터 미디어와 컨조인트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 (Occupants' Preferences for Housing Unit Plan by Using Computer Media and Conjoint Analysis)

  • 오찬옥;김석태;최병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09-119
    • /
    • 2004
  • This study was intended to grasp the housing unit plan which the residents preferred. The subjects were 100 housewives who lived in 85$m^2$ sized housing units in the New Apartment Complex, Gimhae. First, four elements of unit plan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POE which was carried out for the same subject the size of master bedroom and living room, the openness of dining/kitchen from living room, the openness of living room from entrance, and whether or not a bathtub or a shower booth is in bathroom. Then, eight design alternatives of unit plan made by combination of these four elements according to orthoplan were visualized by computer media. This visualized tool was used for collecting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important determinants of the residents' preferences for unit plan were the size of master bedroom and living room and the openness of living room from entrance. The residents preferred the unit plan which living room was large and the view from living room to dining/kitchen was open. Also, the important elemen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Therefore, the housing alternatives which are flexible and optional would be desirable.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한동수
    • 건축사
    • /
    • 2호통권382호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아파트 공적공간 구성방식에 대한 거주자 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needs for the public space in apartment dwelling units)

  • 방정훈;박수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9-3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dentifying the user needs for the planning of public space in apartment dwelling units. 298 apartment residents in Haeundae, Pusan responded to the structural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the residents' satisfaction for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living room, the kitchen and the dining room, the space usage of the living room and the dining room, and preferred layout of the public spac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important household characteristics to consider are identified as family life cycle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2) The levels of residents' satisfaction were differed by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the types of apartment. 3) Activities related to recreation, entertainment, and family meals in living room and formal and informal entertainments in the dining room were occurred in different way as to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the types of apartment. 4) The younger families in the smaller sized apartments had more diverse preference to the layout of the public sp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