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아토피

Search Result 78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몸을 망가뜨리는 인간의 치명적 실수, 무관심 - 아토피와 굿바이 하고 싶으세요?

  • Choe, Min-Hui
    • 건강소식
    • /
    • v.34 no.5
    • /
    • pp.18-23
    • /
    • 2010
  • '현대병' '문명병' '환경병'으로 불리는 아토피, 어린이 3명 중에 한 명이 아토피에 걸려 부모의 마음을 아프게 하고 있다. 아토피는 '기묘한' '비정상적인 반응' '뜻을 알 수 없는' 등의 의미를 가진 그리스어 '아토포스(Atophos)'가 그 어원이다. 어원 그대로 아직까지 아토피는 명확한 원인과 치료법을 찾지 못했다. 다만 면역질환이라는 것만 확실하며, 새집증후군과 환경오염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적인 문제, 화학조미료와 각종 식품첨가물이 포함한 음식문제, 유전적인 문제로 그 원인을 짚어 볼 수 있다. 결국 아토피는 생활관리가 중요한 만큼 가정에서 자녀의 아토피를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방법 다섯가지를 소개한다.

  • PDF

Clinical Assessment of Efficacy, Safety and Usefulness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THM) on Atopic Dermatitis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한약치료의 효과, 안정성 및 유용성에 대한 임상 평가)

  • Koh, Duck-Jae;You, Han-Jung;Lee, Jin-Yong;Kim, Deog-Gon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
    • v.20 no.2
    • /
    • pp.129-137
    • /
    • 2006
  • 목적 : 본 연구를 통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아의 한약치료 후 임상 효능, 안전성을 평가하고, 나아가 효능과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한약치료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속한방병원 한방소아과에 내원한 아토피 피부염 환아 39명의 한약치료 전후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아토피피부염 치료에 대한 한약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치료 후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정도에 대한 부모의 평가를 VA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에 패한 한약치료 후 안정성의 평가를 위하여 치료 전후 혈중 AST, ALT, BUN, creatinine 변화를 검토하여 한약치료의 간신독성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고, 보호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약치료 후 발생한 부작용 및 불편한 증상의 종류 및 정도를 평가하였다. 나아가 한약의 효능 및 안정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한약 치료의 유용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및 결론 : 환아 39명 중 27명 (69%)의 부모가 한약치료가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안정성의 평가에 있어서, 39명의 환자에게서 한약 치료 후 간장과 신장에 미치는 독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2명의 환아가 일시적이고 경미한 복부 불쾌감을 호소하였으나, 한약투여와의 관련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1명의 환아에서 경미한 복통이 발견되었으나, 의학적 치료 없이 증상은 소실되었으며, 치료 과정의 중단 없이 계획되었던 모든 치료 과정을 종료하였다. 치료 후 상기 환아는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 개선 뿐 아니라 변비증상의 완화, 만성적 어지러움의 개선 등 제반 신체 조건의 호전을 보고 하였다.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환아 39명 중 27명 (69%)의 사례에서 한약치료가 아토피 피부염의 유용한 치료수단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근거로 한약치료가 아토피 피부염에 대하여 안전성을 가진 유용한 치료방법이라 사료되며, 향후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대규모의 임상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The Effect of Anti-atopic Cosmetic in Hairless Mice (항 아토피 화장품이 아토피 동물모델 Hairless Mice에 미치는 영향)

  • Kwon, Taek Kwan;Lim, Kun Bin;Kim, Jin-Chul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2 no.1
    • /
    • pp.91-97
    • /
    • 2011
  • The efficacies of anti-atopic preparations were investigated in hairless mice suffering from 2,4-dinitro-chlorobenzene (DNCB)-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lesion. Solid lipid nanoparticle (SLN) containing ceramide and astaxanthin was prepared by a melt-homogenization method using Aminsoft-CT 12 (Cocoyl glutamate) as an emulsifier. And then, the SLNs were coated with silk fibroin (SF) by taking advantage of an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the surface of SLNs and SF. SLNs were included in lotion (FL) and cream (FC) types of preparations. Anti-atopic efficacies of the preparation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appearance of skin surface, spleen index, serum IgE level, and serum cytokine level. SLN-containing preparations suppressed IgE production and IL-4 expression, but promoted $IFN-{\gamma}$ expression.

Market Trends for Atopy Treatment Cosmetics (아토피 화장품 시장동향)

  • Park, Sehkyu;Lee, Bongjin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2 no.1
    • /
    • pp.3-11
    • /
    • 2019
  • 최근 화장품 산업은 제약사들을 중심으로 기업들이 보유한 바이오 및 의약 기술을 접목하여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주목하고 있다. 화장품과 의약품의 경계가 무너지고 코스메슈티컬이 화장품 산업의 블루오션 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현대병으로 알려진 고질적 피부질환 아토피성 피부 인구가 늘면서 아토피 기능성 스킨케어 시장이 급부상하고 있다. 98년부터 시작된 아토피 관련 시장은 국내 약국 아토피성 화장품 시장 100억 원을 포함해 현재 700억원대로 급성장하고 있어 앞으로 확고한 수익 시장으로 자리잡을 것이라 전망되고 있다. 현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는 아토피 피부를 치료할 수 있는 다양한 화장품 제품들이 급증하고 있으므로, 본 기획에서는 아토피 화장품 시장의 현황, 동향 및 전망을 분석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아토피 증상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9 no.12 s.325
    • /
    • pp.24-25
    • /
    • 2005
  • 아토피 피부염이란? '아토피'란 말은 어원상 이상한 반응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얼굴, 팔이 접히는 부위, 무릎 뒤 부위에 흔히 발생하는 습진성 질병이다. 대체로 전신의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게 느껴지며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한다. 처음 발생하는 연령은 90% 이상이 2세 이하지만 최근 들어 정신적 스트레스의 영향인 듯 성인에게서도 나타나고 있다.

  • PDF

Methacholine and adenosine 5'-monophosphate challenge tests in children with atopic asthma and with nonatopic asthma, and their relationships to blood eosinophil markers. (아토피성 천식 환아와 비아토피성 천식 환아에서 메타콜린과 아데노신 기관지 유발 검사의 비교 및 혈중 호산구 염증 지표와의 관련성)

  • Lee, Sun Hee;Kim, Do Kyun;Choi, Sun Hee;Koh, Young Yul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9 no.11
    • /
    • pp.1216-1222
    • /
    • 2006
  • Purpose : Though atopic and nonatopic asthma have different clinical manifestations,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BHR) and airway inflammations ar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m. We investigated BHR to both methacholine and adenosine 5'-monophosphate (AMP),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blood eosinophil markers in nonatopic asthma as well as atopic asthma. Methods : We studied 116 children (82 atopics; 34 nonatopics) with mild to moderate asthma. Methacholine and AMP challenge tests were performed and bronchial responsiveness was expressed as $PC_{20}$ (provocative concentration causing a 20 percent fall in $FEV_1$); blood eosinopil counts (ETCs) and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levels were gauged. Results : In atopics, 95.1 percent and 90.2 percent showed hyperreactivity to methacholine ($PC_{20}$<16 mg/mL) and AMP ($PC_{20}$<200 mg/mL), respectively. Meanwhile, in nonatopics, 94.1 percent and 52.9 percent displayed hyperreactivity to methacholine and AMP, respectively. The geometric mean of AMP $PC_{20}$ was lower in atopics (31.6 mg/mL) than in nonatopics (125.9 mg/mL); that of methacholine $PC_{20}$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AMP $PC_{20}$ correlated with blood ETCs in both atopics(r=-0.30, P<0.01) and nonatopics (r=-0.57, P<0.01), and correlated with serum ECP levels (r=-0.23, P<0.01) in atopics, but not in nonatopics. Apart from AMP, methacholine $PC_{20}$ was not associated with blood eosinophil markers in either group. Conclusion : Atopics more frequently displayed BHR to AMP than nonatopics. Furthermore, BHR to AMP was associated with not only blood ETCs, but serum ECP levels in atopics but was correlated with only blood ETCs in nonatopics. Those results suggest that BHR to AMP reflects airway inflammation in asthma and is more related to atopy.

Diagnosis of Atopy in Dogs : A Review of the Need for Conceptual and Diagnostic Refinement I (개들의 아토피 진단 : 개념적 및 진단학적 순화의 필요성 검토 I)

  • Perkins Jacqueline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8 no.4
    • /
    • pp.376-382
    • /
    • 2002
  • 호주의 많은 소동물 임상수의사들이 최근에 관심을 갖고 있는 부분은 개의 아토피(Canine Atopy)에서의 알러지-특이성(Allergen-specific)IgE에 쓰이는 혈청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테스트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것이다. 희망사항은 개 아토피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도움이 되도록 접근할 수 있는 시험(Accessible test)일 것이다. 아토피(Atopy)는 진단과 치료를 실패시키는 질병이며, 새로운 ELISA라도 이 문제를 쉽게 해결하여 주지 못한다. 개의 아토피에서 알려진(Allergens)들을 분석하는 데 쓰이는 혈청 ELISA처럼 아주 정확하게 특성화되어져야 한다. 해당 개는 아토피성(Atopic)으로서 진단되어져야만 되고 그 다음에 치료에 지침이 되도록 개별 알러진 동정(Individual allergen identification)용 ELISA로 개의 혈액을 스크린하는데 적합하여야 한다. ELISA와 피내접종시험(Internal testing)방법은 상관도가 낮고 그렇기 때문에 어떤 시험이 더 신뢰할 수 있는 것일까? 이러한 사실은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이상의 2가지 시험들이 옳다면 각각의 상응하는 각각 다른 아형(Subtypes)의 아토피라고 볼 수있다. 아마도 알러진들은 경피적으로 흡수되어 아토피성피부염으로 되어진다. 그것은 인체에서 건초열(Hay fever)이나 천식(Asthma)과 같이 흡입에 의해 일으키는 유사한 증후군동종 (Syndrome akin)과 같은 접근의 초기양식(Primary mode of access)으로부터 생기는 다른 유사한 질병과정이 되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2가지 증후군은 함께 병발하는 경우가 있다. 의학에서는 피부 반점시험방법의 예비조사연구(Preliminary research with skin patch testing in medicine)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야기하는 알러진들의 경피흡수경로의 개념을 지지해준다. 흡인 알러진들을 사용한 개들에서의 도전 시험(Challenge tests)들은 거의 대부분이 비-피부학적 임상증상들을 발현하였다. 모든 증거가 분명히 나타나도록 미래의 조사연구를 인도해 주는 게 필요하며 개 아토피의 정의와 진단을 둘러싼 수수께끼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n Atopic Dermatitis (아토피 피부염에서 황색포도상구균 분포에 관한 연구)

  • Kim, Mi-Rye;Woo, Seung-Eun;Shin, Sun-Oh;Hong, Sung-Mi;Yang, Si-Yo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32 no.2 s.57
    • /
    • pp.93-97
    • /
    • 2006
  • Staphylococcus aureus is found on the skin of $78{\sim}100%$ of children and adults with atopic dermatitis (AD) but only on the skin of $2{\sim}25%$ of healthy subjects. It is known that S. aureus and their endotoxins as superantigen have important roles in the exacerbation and prolongation of AD.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detection of S. aureus in the skin of AD, age, sex, outbreak age of AD, treatment duration, aggravation season, and the relation of ooze and S. aureus. Most patients (84%) with AD show colonization of the skin with S. aureus a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colonization and the serous exudate. It seems likely that the inhibition of S. aureus is associated with improvement in the skin of AD patients.

An overview of the regulatory effect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atopic dermatitis (비타민 D의 기능성: 아토피피부염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 연구)

  • Sung, Dong Eu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3 no.2
    • /
    • pp.139-148
    • /
    • 2021
  • Atopic dermatitis is a chronic, recurrent, inflammatory skin disease that is a well-known allergic disease with severe itching, making daily life difficult. Since the immunomodulatory action of vitamin D has been reported, several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itamin D and atopic dermatitis. In this review, 41 articles meeting the in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and reviewed from the articles published to date.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low vitamin D levels are associated with the onset of atopic dermatitis and severe atopic dermatitis, but the opinions remain conflicting. Similarly,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on the improvement effect of oral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atopic dermatitis, but some possibilities have been suggested. To apply vitamin D as a therapeutic agent for atopic dermatitis, a more systematically designed experiment should be conducted, and an appropriate intake dose for an immunomodulatory function should be obtained.

Development of atopy diagnostic system based on computer vision technology (비전 인식 기술을 이용한 아토피 진단 검사 시스템 개발)

  • Kwon, Sun-Min;Kim, Jeong-Rae;Jung, In-B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512-515
    • /
    • 2010
  • 환경오염으로 인해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국내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아토피 진단 서비스는 많다. 하지만 단순한 설문조사 형식으로 진단에 대한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신뢰도가 낮다. 이에 본 논문은 컴퓨터 비전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컴퓨터에서 처리가능한 아토피 환자의 환부 영상을 수집 및 진단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아토피 진단 시스템은 환부 영상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색상값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만들어 정규화한다. 다음으로 정규화된 히스토그램의 확률적 분포를 이용해 역투영한 결과 영상을 만들어 내게 되며 이 역투영 영상을 바탕으로 피부색을 제외한 부분을 아토피 침범 영역이라 판단하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입력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침범 영역, 문진을 이용한 점수를 이용하여 SCORAD 지수 스코어링 하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