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아킹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69 seconds

RF 플라즈마 아킹의 PM-tube를 이용한 광량 측정

  • Kim, Yong-Hun;Jang, Ho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125-126
    • /
    • 2010
  • 플라즈마 아킹은 PECVD, 플라즈마 식각 그리고 토카막과 같은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여러 공정과 연구 분야에서 문제점을 야기시켜왔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아킹 현상의 불규칙성과 과도적인 행동으로 인해 미비한 상태이다. 특히, RF 방전에서의 아킹 연구는 DC 방전에서의 아킹 연구에 비해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플라즈마 아킹은 집단전자방출(collective electron emission)에 의한 스파크 방전(spark discharge)현상이다. 집단전자방출은 전계방출(field emission)이나 플라즈마와 쉬스를 두고 인접한 표면위에서의 유전분극(dielec emission)에 의해 발생한다. 이렇게 방출된 집단 전자들은 쉬스에서 가속되어 에너지를 얻게 되고 원자와의 충돌로 전자 아발란체를 일으킨다. 이렇게 배가된 전자들은 아킹 스트리머(arcing streamer)를 형성하게 되고 아킹 발생 시 높은 전류와 공정 실패의 원인이 된다. 우리는 $30cm{\times}20cm$ 크기의 사각 전극을 위 아래로 가진 챔버에서 Ar 가스를 RF(13.56 MHz)파워를 이용해 방전시켰다. 방전 전압과 전류는 파워 전극 압단에서 High voltage probe (Tektronix P6015A)와 Current probe (TCPA300 + TCP312)를 이용해 측정했다. 플라즈마 아킹시 변하는 플라즈마 플로팅 포텐셜은 챔버 중앙에 위치한 랑뮈프 프로브에 의해 측정되고 챔버 옆의 뷰포트 앞에 위치한 PM-tube를 이용해 아킹시 변하는 광량을 측정한다. RF 방전에서의 플라즈마 아킹은 아킹시 플로팅 포텐셜의 변화에 의해 크게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아킹 발생과 동시에 급격히 감소하는 감소부분 (약 2us) 그리고 감소한 포텐셜이 유지되는 유지부분 (약 0~10ms) 그리고 감소했던 포텐셜이 서서히 원래 상태로 회복되는 회복부분(약 100 us)이다. 아킹 초기시 방출된 집단 전자들과 원자들간의 충돌에 의해 형성된 아킹 스트리머는 플라즈마 전체를 단락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플로팅 포텐셜은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감소한 플로팅 포텐셜은 아킹 스트리머가 유지되는 한 계속 감소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플라즈마를 섭동했던 아킹 스트리머가 중단되면 플라즈마는 섭동전의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 하기 때문에 플로팅 포텐셜은 서서히 증가하면서 원래 상태로 회복된다. 플라즈마 아킹 발생시 생성되는 아킹 스트리머는 순간적으로 많은 전자들을 국소적으로 생성하게 되고 이 전자들에 의해 광량이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PM-tube (750.4 nm)에 의해 측정된 아킹시 광량은 정상방전 상태의 두배 가량이 된다. 그리고 이 순간적으로 증가된 광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게 되고 정상방전 일때의 광량이 된다. 광량이 증가한 후 정상방전 상태의 광량에 이르는 부분은 플로팅 포텐셜이 감소한 상태에서 유지되는 부분과 일치하고 이는 플로팅 포텐셜의 유지부분동안 아킹 스트리머가 발생하고 있다는 간접적인 증거가 된다. 그리고 정상 방전 상태 일때의 광량이 되면 아킹 스트리머가 중단되었다는 것이므로 그 시점부터 플로팅 포텐셜은 정산 방전상태 일 때의 포텐셜로 복구되기 시작한다. 이처럼 PM-tube를 이용한 아킹 광량 측정은 아킹 스트리머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게 하고 아킹 스트리머를 이용해 아킹시의 플로팅 포텐셜의 변화를 설명하게 해 준다. 응용적인 측면에서 아킹 광량 측정을 이용한 아킹 판독은 방전 전류와 방전 전압과 같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한 아킹 판독에 비해 여러가지 장점을 가진다. 우선, 전기적 신호를 이용한 아킹 판독처럼 매칭 회로나 플라즈마를 섭동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원하는 부분의 아킹만을 판독하는 것도 가능하며 photo-diode를 이용할 경우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 PDF

CCP에서의 마이크로 아킹 Fast-imging을 통한 마이크로 아킹 방전 메커니즘 조사

  • Kim, Yong-Hun;Jang, Ho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276-277
    • /
    • 2012
  • 플라즈마 아킹은 PECVD, 플라즈마 식각 그리고 토카막과 같은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여러 공정과 연구 분야에서 문제가 되어왔다. 하지만, 문제의 중요성과 다르게 아킹에 대한 본질적인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플라즈마 아킹은 집단전자방출(collective electron emission)에 의한 스파크 방전(spark discharge) 현상이다. 집단전자방출은 전계방출(field emission)이나 플라즈마와 쉬스를 두고 인접한 표면위에서의 유전분극(dielec emission)에 의해 발생한다. 우리는 CCP 플라즈마를 이용해 micro-arcing(MA)을 일으키고 랑뮈르 프로브를 이용해 MA 동안의 플로팅 포텐셜의 변화를 측정한다. MA시 PM-tube를 이용해 광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플로팅 포텐셜을 fast-imaging과 동기화 시켜 MA 발생 메커니즘을 유추한다. 우리는 $30{\times}20$ cm 크기의 사각 전극을 위 아래로 가진 챔버에서 Ar 가스를 RF (13.56 MHz) 파워를 이용해 방전시켰다. 방전 전압과 전류는 파워 전극 앞단에서 High voltage probe (Tektronix P6015A)와 Current probe (TCPA300 + TCP312)를 이용해 측정했다. 플라즈마 아킹시 변하는 플라즈마 플로팅 포텐셜은 챔버 중앙에 위치한 랑뮈프 프로브에 의해 측정되고 챔버 옆의 뷰포트 앞에 위치한 PM-tube를 이용해 아킹시 변하는 광량을 측정하고 Intensified CCD를 이용해 fast-imaging을 한다. 또한 CCD 앞에 band pass filter를 부착하여 MA의 발생 메커니즘을 유추한다. RF 방전에서의 플라즈마 아킹은 아킹시 플로팅 포텐셜의 변화에 의해 크게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아킹 발생과 동시에 급격히 감소하는 감소부분(약 2 us) 그리고 감소한 포텐셜이 유지되는 유지부분(약 0~10 ms) 그리고 감소했던 포텐셜이 서서히 원래 상태로 회복되는 회복부분(약 100 us)이다. 아킹 초기시 방출된 집단 전자들은 쉬스를 단락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플로팅 포텐셜은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감소한 플로팅 포텐셜은 아킹 스트리머가 유지되는 한 계속 감소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플라즈마를 섭동했던 집단전자방출이 중단되면 플라즈마는 섭동전의 원래 상태로 회복된다. 플라즈마 아킹 발생시 생성되는 순간적으로 많은 전자들을 국소적으로 생성하게 되고 이 전자들에 의해 광량이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PM-tube (750.4 nm)에 의해 측정된 아킹시 광량은 정상방전 상태의 두배 가량이 된다. 그리고 이 순간적으로 증가된 광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게 되고 정상방전 일때의 광량이 된다. 광량이 증가한 후 정상방전상태의 광량에 이르는 부분은 플로팅 포텐셜이 감소한 상태에서 유지되는 부분과 일치하고 이는 플로팅 포텐셜의 유지부분동안 집단전자방출이 있다는 간접적인 증거가 된다. 그리고 정상 방전 상태 일때의 광량이 되면 집단전자방출이 중단되었다는 것이므로 그 시점부터 플로팅 포텐셜은 정산 방전상태 일때의 포텐셜로 복구되기 시작한다. 이처럼 PM-tube를 이용한 아킹 광량 측정은 아킹 스트리머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게 하고 집단전자방출을 이용해 아킹 시의 플로팅 포텐셜의 변화를 설명하게 해 준다.

  • PDF

A study on the flashover characteristics of arcing horn fittings (아킹혼 금구류 섬락특성 연구)

  • Kim, Tae-Hoon;Kwak, Joo-Sik;Jung, Moon-Gyu;Jung, Jae-Se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53-454
    • /
    • 2015
  • 낙뢰에 대한 전력계통의 적절한 보호를 위해서 피뢰기/아킹혼의 적절한 보호작동 설계가 필요하다. 피뢰기/아킹혼은 낙뢰에 의해 이상전압 발생시 섬락 동작을 통하여 계통을 보호하므로, 절연파괴 특성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피뢰기/아킹혼의 섬락동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절연갭의 미세조정에 따른 절연파괴 특성에 대한 연구를 실험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갭간격이 증가할수록 절연파괴전압은 증가하고, 그 증가폭은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전형적은 방전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상세한 변화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표준 갭간격에서의 섬락특성과 섬락전압 분포도를 구하여 절연협조 상태를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ultrasound analysis of the transformer strange signal (변압기 이상음의 초음파 분석에 관한 연구)

  • 백화종;지석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11a
    • /
    • pp.835-838
    • /
    • 2002
  • A running high voltage equipments produce ultrasonic wave that has unique sound by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ity. The generation of the ultrasonic wave is made by the electric transform like arcing, corona, and tracking so on. The mechanical losses and fatal human damages are happened by the electric failure of high voltage equipments. To prevent and diagnose the obstacle factors of the high voltage equipments, the measurement of the ultrasonic wave became to be prominent. However standardized data have been a deficient situation by now. This paper measures the ultrasonic wave coming from the real running transformer equipments and transforms it as an audio frequency. Measured data represents as frequency and time domain through the FFT(Fast Fourier Transform) transform.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andardize the analyzed data.

  • PDF

송전선의 뇌해대책 현상과 전망

  • 김경호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04 no.8
    • /
    • pp.48-53
    • /
    • 1999
  • 송전선에서의 낙뢰재해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시행하고 있는 각공지선 또는 아킹혼의 설치, 철탑 접지저항 저감을 위한 매설지선의 설치 그리고 일본 전력회사에서 시행하고 있는 알루미늄을 함유한 애자의 채용 등 여러 가지 대책을 시행한 결과 낙뢰로 인한 설비 피해사고는 현격하게 감소되었다.

  • PDF

A Development of 22.9kV Arcing Horn for Distribution Line Towers (22.9kV 배전철탑용 아킹혼 설계)

  • Oh Hun;Sohn Hong-Kwa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A
    • /
    • v.55 no.2
    • /
    • pp.70-75
    • /
    • 2006
  • Owing to the strike of lightning a breakage of insulator would happen. This breakage may give rise to many problems such as increment of reclosing failure, a drop for reliance and a hardship of maintenance and repair. To solve those problem, this study develop a protected equipment for insulator which is suitable to 22.9[kV] distribution line towers and is purposed to investigation for a Proper adaption, Protection efficiency of insulator and effect of adaption.

Case Study of High-speed Real-time Plasma Arc Detection (실시간 고속 플라즈마 아킹 검출에 대한 연구)

  • Hong,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11a
    • /
    • pp.183-183
    • /
    • 2015
  • Arc in plasma processing chamber results in high current discharge marks and particles on wafers, but it is hard to identify or observe it during the proc ess. In this paper, we report the observations of plasma arc s during various plasma proc esses through a non-invasive optic al plasma monitoring system (OPMS) devised for the in-situ detec tion of abnormal discharge.

  • PDF

Design of the arcing horns for the contaminated areas in 345 kV transmission line (345 kV 송전선로의 오손지역용 아킹혼 설계)

  • Cho, S.B.;Kang, Y.W.;We, H.B.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e
    • /
    • pp.2083-2085
    • /
    • 1999
  • The same sized arcing horns have been installed on 345 kV transmission lines. Then arcing horn gap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sulator string set. We need to examine the problems about the gap differences. So, we investigated the installation status of acing horn in 345 kV T/L. Based on these results. Drawing and making of the arcing horns for the contaminated areas is studied.

  • PDF

Application Effect of Arcing Horn to Insulator Strings (애자장치용 아킹혼의 적용효과 분석)

  • Lee, H.K.;You, C.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c
    • /
    • pp.2011-2013
    • /
    • 2000
  • Insulators of transmission line have been frequently damaged by lightning flashover. Arcing horns have been installed on string sets to protect insulators from the flashover. But reclosing number can be increased by the decrease of insulation strength and they are worrying it. Then this paper analyzes the installation effects of the arcing horn.

  • PDF

A Development of Arcing Horn for Distribution Line Towers (배전철탑용 아킹혼 개발)

  • Cho, Hyun-Seob;Ryu, In-H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11a
    • /
    • pp.172-175
    • /
    • 2006
  • Owing to the strike of lighting a breakage of insulator would happen. This breakage may give rise to many problems such as increment of reclosing failure, a drop for reliance and a hardship of maintenance and repair. To solve those problems, this study develop a protected equipment for insulator which is suitable to 22.9kV distribution line towers and is purposed to investigation for a proper adaption, protection efficiency of insulator and effect of adap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