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카이빙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33초

디지털 자원의 아카이빙 우선순위 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oritizing Digital Archiving Resources)

  • 김광영;곽승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23-131
    • /
    • 2010
  • 도서관이나 학술정보센터에서 디지털 아카이빙의 필요성은 증대되고 있지만 모든 디지털 자원들을 아카이빙하기에는 전문 인력과 예산이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자원의 보조가치와 이용가치 등의 요소를 고려한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아카이빙 처리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자원을 중심으로 어떤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아카이빙을 해야 하는지 이용가치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이것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시스템 분석을 수행하고 적용할 수 있는 우선순위 평가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닝 콘텐츠 아카이빙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adata Elements for Establishing e-Learning Content Archives)

  • 안영희;박옥화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47-162
    • /
    • 2009
  • 본 연구는 대학 내에서 생산하고 있는 이러닝 콘텐츠의 수집 및 보존을 위한 아카이빙 메타데이터 요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닝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있는 국 내외의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용 기반 메타데이터 표준을 검토하였다. KOCW에서 제공하고 있는 교육용 메타데이터인 KEM3.0에서는 아카이빙 관련 메타데이터 요소를 수용하고 있지 않아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 범주를 확장하고 요소를 추가하였다. 확장된 KEM3.0+ 요소로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를 적용해 본 결과, 이러닝 콘텐츠를 아카이빙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효과적인 대용량 이메일 분류 및 아카이빙 시스템 설계 및 구현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Efficient Classification and Archiving System for Large Amount of Email)

  • 김응진;문지혜;정호영;임지수;송석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7-78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대용량의 이메일을 분류하여 아카이빙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논문에서 개발하는 이메일 아카이빙 시스템은 업무영역 별로 이메일을 분류하여 업무 관련 이메일에 대해 업무영역 카테고리별로 아카이빙을 수행한다. 분류의 정확도를 위해 온톨로지를 이용한 텀벡터의 확장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빠른 분류 및 아카이빙을 수행하도록 인메모리 기반의 분산 및 병렬 처리 프레임워크인 Spark을 기반으로 구현한다.

  • PDF

이미지 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빙과 메타데이터 설계 (Digital Archiving and Design of Metadata for Image)

  • 김효원;윤용익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4-107
    • /
    • 2008
  • 디지털 시대에 들어서면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유지, 보관, 이용하기 위해 디지털 아카이빙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현재 아카이브의 표준으로는 OAIS(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이 있지만 주로 포괄적인 컨텐츠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자료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아카이빙과 메타데이터를 설계하고자 한다. 이미지 자료의 효율적인 디지털 아카이빙 구축을 위해서 참조 모형을 통해 서지정보와 멀티미디어 자료에 대한 메타데이터 표준이 추가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클래스 기반 다단계 메타데이터 모델 관리를 제안한다.

웹 자원 아카이빙을 위한 웹 크롤러 연구 개발 (Development of Web Crawler for Archiving Web Resources)

  • 김광영;이원구;이민호;윤화묵;신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9-16
    • /
    • 2011
  • 웹 자원은 아직 수집, 보존, 활용에 대한 방안이 없어서 일정 기간의 서비스가 끝나면 사라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웹 자원들은 중요성에 관계없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되거나 소멸된다. 따라서 웹 자원을 수집하고 보존하기위한 웹 아카이빙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웹 자원들을 주기적으로 수집하기 위해서는 웹 아카이빙 전용 크롤러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 자원의 아카이빙 수집을 위해서 사용되는 기존의 웹 크롤러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웹 정보자원을 수집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수집 도구 시스템을 연구하고 개발하였다.

과학기술 분야 콘텐츠 유형별 아카이빙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평가기준의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for Setting up the Priority of Archiving Different Types of Digital Contents)

  • 김진묵;최재황;곽승진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2호
    • /
    • pp.1-2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 분야 정보자원의 선택적인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 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콘텐츠 유형별 아카이빙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평가기준과 중요도를 설문조사 등 정량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조사 하였고 평가기준의 인지과정을 보다 심층적으로 조사하기 위해서 포커스그룹 연구 등 정성적인 연구방법을 동시에 사용 하였다. 또한, 평가기준 및 중요도 등 연구결과의 분석을 바탕으로 아카이빙 대상 콘텐츠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의미규칙을 이용한 이메일 아카이빙 시스템 (An e-mail Archiving System using Semantic Interface Rules)

  • 전진환;윤여빈;송재오;이상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263-264
    • /
    • 2016
  • 이메일은 모바일 기기의 발달과 SNS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의 기업에게 가장 중요한 통신 및 업무수단으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메일의 사용 증가로 인해 보안 및 보관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모든 이메일을 수년에 걸쳐 보관할 의무를 지는 기업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추론규칙을 이용하여 온톨로지 기반의 이메일 아카이빙 시스템에 대해 제안한다.

  • PDF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기초연구: 디지털 아카이브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A Basic Study for Digital Archiving of Hallyu Popular Culture Content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Archives)

  • 백재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5-238
    • /
    • 2021
  • 전 세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는 사회적 발전의 원동력을 제공한 콘텐츠로, 문화적 자산으로서 충분한 보존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의 장기 보존에 대한 인식은 아직 부족하고 디지털 아카이빙의 진행도 본격화되지 않는 상황이다.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해서는 먼저 콘텐츠의 개념, 특징, 구조, 형식, 매체, 다른 콘텐츠와의 관련성 등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특히,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의 경우, 여러 기관에서 다매체, 다양한 유형으로 제작되고 하나의 콘텐츠에서 새로운 콘텐츠가 생성 및 재제작되기 때문에, 콘텐츠의 다양화, 복잡한 콘텐츠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정리 및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기초연구로,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에 대한 개념, 특성, 보존 대상에 대해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아카이브(시스템/기관)를 조사하여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와 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브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문제 요인을 토대로 기본방안을 제시하였다.

과학기술 분야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정책연구 (A Study of Digital Archiving Policies for National S&T Information Resources)

  • 설문원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4호
    • /
    • pp.23-4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적 차원의 과학기술 분야 디지털 아카이빙 체제구축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과학기술 분야 자원현황을 파악하고, 디지털 자원의 장기보존을 위한 대상을 선정하는 기준을 분석하였다. 다음에는 과학기술 분야 주요 정보자원 유형별로 장기보존을 위한 핵심과제를 제안하였고, 이를 추진할 조직체계를 구상하였다. 또한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 추진해야할 전략과제들을 제안하였다.

소셜미디어 아카이빙을 위한 수집 및 보존방안 (Acquisition and Preservation Methods for Social Media Archiving)

  • 김태영;양동민;최상기;오효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79-104
    • /
    • 2019
  • 최근 공공기관에서 국민과 소통하는 방법의 하나로 소셜미디어를 활발하게 활용함에 따라 기록관리 영역에서도 이를 수집하고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소셜미디어를 수집 보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고, 영국 국립기록관에서는 이미 공공기관의 트위터와 유튜브를 대상으로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아카이빙의 수집 및 보존 측면에서의 사례조사 결과를 토대로 소셜미디어의 유형별 특징과 그에 따른 수집 방안과 보존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제안방안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경상남도 도청의 소셜미디어를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수집한 결과를 통해 수집 및 보존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차후 소셜미디어 아카이빙을 위한 모델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