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카이빙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1초

문화 아카이빙 정착을 위한 방향 연구 (A Study of Establishing Culture Archiving)

  • 류한조
    • 기록학연구
    • /
    • 제37호
    • /
    • pp.41-74
    • /
    • 2013
  • 문화 아카이빙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이다. 문화가 경쟁력인 시대적 배경과 기록학의 영역 확장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일상 아카이빙이나 마을 아카이빙과 같은 다양한 시도들이 전개되고 있고,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당위성을 설명하거나 실제 사례들을 보여주는 연구에 치중되어, 문화 아카이빙에 필요한 이론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글은 문화 아카이빙에 있어 기록의 문화적 재현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해보고, 문화아카이빙의 과정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 아카이빙에 있어서 기록관리자의 생산에 대해 재검토 하였으며, 수용자가 부여한 가치를 중심으로 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콘텐츠에 적합한 분류체계 설정과 재현방식의 아카이빙을 검토하였다.

선택적 웹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 (Development of Metadata Elements for Intensive Web Archiving)

  • 김희정;이혜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3-160
    • /
    • 2007
  • 디지털 보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웹 아카이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웹 아카이빙은 수집형태나 운영형태, 또는 아카이빙 대상 컬렉션 범위와 포괄정도에 따라서 설계지침이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선택적 아카이빙을 중심으로 아카이빙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 고려해야 할 메타에이터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선택적 아카이빙을 수행한 선행 프로젝트에서 제안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필요한 요소들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더블린코어의 기본적인 요소들과 함께 관리적인 요소에 해당하는 메타데이터 내용들의 확충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적 웹 아카이빙 정책에 관한 고찰 - 프랑스국립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Combined Web Archiving Policy : BnF's Three Layers Web Archiving Strategy)

  • 김유승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59-179
    • /
    • 2008
  • 본 연구는 웹 정보자원이 우리 삶의 전 영역에서 지니는 가치와 중요성에 비해, 이를 지키고 보존하려는 제도적 환경과 노력이 미흡하다는 인식 아래, 우리의 정보자원 수집 보존정책의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범위, 방법, 품질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웹 아카이빙의 특성을 분석하고, 비교 모델로서 도식화한다. 이러한 분석에 기반 하여 각국의 웹 아카이빙 사례를 7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진단하고, 최적의 웹 아카이빙 접근법으로서의 복합적 아카이빙 정책에 대해 논의한다. 이에 복합적 웹 아카이빙 정책을 채택하고 있는 프랑스 국립도서관의 웹 아카이빙 사례를 심층적으로 살펴본 후, 우리나라의 국가적 웹 아카이빙 프로젝트 OASIS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결론으로, OASIS 프로젝트, 나아가 우리나라 웹 아카이빙 정책 발전을 위한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 한 웹 아카이빙 주제영역 연구 (A Study on Web Archiving Subject Analysis Based on Network Analysis)

  • 김희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35-2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Web of Science DB를 대상으로 주제어(topic)가 web archiving에 해당하는 288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동시출현단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웹 아카이빙 주제 영역에서는 의학영역 정보기술 및 시스템과 관련된 이미지 아카이빙 관련연구들이 가장 중점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문헌정보학 및 기록관리학 영역에서의 웹 아카이빙 연구는 크게 웹 아카이빙 및 디지털 보존 프로젝트 주제와 웹 아카이빙툴과 방법론 주제를 중심으로 수행되어왔으며, 향후 웹 아카이빙 소프트웨어 및 툴 관련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마을 아카이빙 시론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rchiving of a village)

  • 김익한
    • 기록학연구
    • /
    • 제26호
    • /
    • pp.151-172
    • /
    • 2010
  • 이 연구는 마을 아카이빙의 지향과 방법을 구안하기 위해 시론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마을 아카이빙의 지향을 정확히 파악하려면 다음 세 가지 논점을 명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하나는 일반 기록관리 이론과 마을 아카이빙의 공통점과 차이점이다. 차이를 인식해야 기록관리 일반 이론을 응용하여 현실에 맞는 아카이빙 방법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은 마을 만들기, 마을 공동체 복원 운동의 일환으로서 마을 아카이빙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은 주체의 문제에서도 전문 아카비스트의 입장에서보다는 공동체 복원 운동가로서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동체 운동가로서 동시에 아카비스트의 전문성을 지니는 것이 최상의 선택이다. 마을 아카이빙을 하려면 마을의 구성과 각각의 구성에 의해 산출되는 기록의 유형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마을의 구성을 자연공간, 인문공간, 역사, 공동체 조직, 공동체 문화, 경제활동, 소조직 개별가호, 네트워크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성부분에서 생산될 만한 기록의 유형들을 구체적으로 적시하였다. 마을 아카이빙의 주체와 방법에 대해서도 시론적으로 정리를 시도하였다. 마을의 공동생산이나 소비의 활동에 대한 아카이빙, 마을 역사에 대한 아카이빙, 자연공간, 인문공간 개선 활동에 대한 아카이빙, 교육, 네트워킹에 대한 아카이빙의 절차와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시론은 새로이 아래로부터의 아카이빙 운동에 우리 학계가 관심을 갖도록 주위를 환기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웹 아카이빙 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b Archiving Tools)

  • 이성숙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5년도 제1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5-193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웹 아카이빙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웹 아카이빙 관련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도구들을 살펴보았고, 웹 아카이빙 전용 SW 중에서 하비스팅 도구인 NEDLIB Harvester와 Heritrix, 접근도구인 Wayback Machine과 NWA Toolset을 중심으로 특징과 주요 기능을 검토하였다.

  • PDF

웹아카이빙 도구 비교분석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Web Archiving Tools)

  • 김희정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1년도 제18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95-98
    • /
    • 2011
  • 디지털 자원의 장기보존을 위한 기법과 전략은 지속적인 관심 속에서 개발되어 오고 있다. 특히, 웹 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증폭될수록 웹 아카이빙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IPC에서 제시하는 웹 아카이빙 체인의 네 단계에 해당하는 각 단계별 웹 아카이빙 툴과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대상이 되는 웹 아카이빙 도구는 총 9개로서, Heritrix, DeepArc, Web Curator Tool, NetarchiveSuite, BnFArcTools, Wayback, NutchWAX, WERA 그리고 Xinq 등이다.

  • PDF

기록학의 담론을 활용한 게임 아카이빙 방법론 구축 (Foundation of Game Archiving Methodology Using Archiving Science)

  • 권대헌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93-106
    • /
    • 2020
  • 뉴트로가 게임 산업에 새로이 영향을 끼치는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해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한국 게임 아카이빙에 주목해 그 현황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 게임 아카이빙은 방법론의 부재로 인해 일관성과 타당성이 결여되었음을 파악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게임 아카이빙 방법론을 구축하는 시론적 연구를 행한다. 먼저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비롯한 기록학의 담론과 타 분야 문화 콘텐츠 아카이빙 연구를 분석해 방법론의 이론적 토대를 명시한다. 이후 이를 한국 게임 아카이빙에 적용하여, 게임 아카이빙 방법론을 구체화한다.

디지털 아카이빙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Archiving Policy)

  • 박현영;남태우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4년도 제1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9-76
    • /
    • 2004
  • 디지털 아카이빙 정책은 디지털 정보를 보존하여 후대에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필수 요건이다. 디지털 아카이빙 정책은 정보 생성과 보존 활동을 위한 프레임워크뿐만 아니라, 지금 만들어진 안전장치정보에서 즉시 사용을 위한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을 규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아카이브즈에 있어서, 그 아카이브즈의 환경과 목표에 따라 규정되어지는 디지털 아카이빙정책의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였고, 특히 호주 국립도서관의 디지털 아카이빙 정책과 프랑스 통계자료를 위한 보존 정책을 중심으로 사례 분석하였다.

  • PDF

역사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빙 방안 연구 (A Study of Digital Archiving Strategies for Historical Materials)

  • 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3-20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디지털 정보환경에서 역사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빙 방안을 모색하고자 해외의 대표적인 역사자료 디지털 아카이빙 구축 사례를 조사하였다. 즉 역사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빙 프로젝트를 수집, 보존, 접근 및 활용의 정보 생명주기 및 디지털 큐레이션 개념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역사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빙 구축의 필수 요건 및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안으로 국가적 차원의 구체적인 정책 수립과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재정적 지원 및 연구,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기보존 시스템 구축의 확립, 그리고 장기보존 전략, 표준화 등을 위한 기관 간, 국가 간 협력 방안 및 업무 분담체계 마련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