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자크라운 화합물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거대고리 아자크라운화합물과 전이금속 및 란탄족금속이온의 착물의 안정도 (The Stability Constant of Transition and Lanthanide Metal Ions Complexes with 15 Membered Macrocyclic Azacrown Ligands)

  • 홍춘표;최용규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77-582
    • /
    • 2004
  • 새로운 아자크라운 화합물인, 1,4-dioxa-7,10,13-triazacyclopentadecane-N,N',N''-triacetic acid, $N-ac_3[15]aneN_3O_2(II_a)$과 1,4-dioxa-7,10,13-triazacyclopentadecane-N,N',N''-tripropioc acid, $N-pr_3$[15]ane$N_3O_2(II_b)$는 이와 유사한 화합물의 합성방법을 수정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이 아자크라운 화합물, $N-ac_3[15]aneN_3O_2와\;N-pr_3[15]aneN_3O_2$의 양성자화 상수값은 전위차법을 이용하여 PKAS 프로그램으로부터 측정되어졌다. 그리고 0.1 M $NaClO_4$수용액으로 이온강도를 조절하고, $25{\pm}0.1^{\circ}C$에서 란탄족금속인, $Ce^{3+},\;Eu^{3+},\;Gd^{3+}$$Yb^{3+}$과 리간드인 $N-ac_3[15]$ane$N_3O_2$$N-pr_3[15]aneN_3O_2$의 착물의 안정도상수를 전위차법을 이용하여 BEST 프로그램으로부터 구하였고, 또한 위와 같은 조건에서 전이금속인 $Co^{2+}$, $Ni^{2+}$, $Cu^{2+}$$Zn^{2+}$와 리간드인, $N-ac_3[15]aneN_3O_2$$N-pr_3[15]aneN_3O_2$의 착물의 안정도상수 값도 전위차법을 이용하여 BEST 프로그램으로부터 측정하였다. 합성된 아자크라운 화합물과 골격구조가 유사하고 아세트산과 프로피온산기를 포함하는, 1,7-dioxa-4,10,13-triazacyclopentadecane-N,N',N''-triacetic acid과 1,7-dioxa-4,10,13-triazacyclopentadecane-N,N',N''-tripropioc acid의 착물의 안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모노아자크라운에테르 기능기를 가진 생리활성 포스피네이트 유도체의 합성 (Syntheses of Biologically Active Phosphinate Derivatives with a Pendant Monoazacrown Ether)

  • 남종우;정영진;양일우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54-161
    • /
    • 1993
  • 모노아자크라운에테르 기능기를 분자내에 갖는 4종의 새로운 포스피네이트 유도체들을 합성하고 그들의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생리활성 포스피네이트 유도체들의 합성은 페닐포스피네이트를 알데이드 및 모노아자크라운에테르와 한 단계로 반응시켜 61~72%의 비교적 높은 수율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합성된 화합물들의 생리활성은 수컷의 생쥐에 대한 복강주사로 검사하였으며, $LD_{50}$ 값이 65~90mg/kg으로서 크라운에테르 기능기가 부착되면 단순한 페닐포스피네이트에서 보다 독성이 현저히 증가됨을 나타내었다. 모노아자-15-크라운-5를 부착한 화합물과 모노아자-18-크라운-6을 부착한 화합물의 고리 크기에 의한 독성차는 현저하지 않았으나, 에스테르기의 종류에는 다소 영향을 받아 올틸 또는 프로필 포스피네이트 유도체들이 에틸 포스피네이트 유도체에 비해 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새로운 트리아자크라운 이온교환체의 합성과 그의 이온교환 특성 (Synthesis of New Triazacrown Ion Exchanger and Its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 김동원;정용순;김창석;최기영;이용일;홍춘표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71-378
    • /
    • 1995
  • 트리아자크라운 화합물, 1,7-dioxa-4,10,13-triazacyclopentadecane trihydrobromide $salt(Na_3O_2-3HBr)$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이 화합물을 Merrifield peptide resin에 결합시켜 새로운 이온교환체를 만들었다. 이 새로운 이온교환체의 이온교환용량은 3.2 meq/g이었다. 그리고 이 이온교환체에 대한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의 분포계수를, 여러 농도의 염산 용액 중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여러 염산 농도하에서의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의 이온교환작용을 논의하였다.

  • PDF

N,N-디메틸포롬아미드 용액에서의 알칼리금속이온과 피리디노-아자크라운에테르와의 착물화 반응 (Complexation of Pyridino-Azacrown Ethers with Alkali Metal Ions in N,N-Dimethylformamide)

  • 김동원;신영국;김창석;오제직;전영신;김태승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69-673
    • /
    • 1992
  • 알칼리금속이온(Li^+, Na^+, K^+, Rb^+, and Cs^+)과 아미드기를 포함하는 피리디노아자 크라운 화합물인 DBPDA와 PDA의 착물형성에 대한 안정도상수, K를 전기 전도도법을 이용하여 여러 온도에서 측정하였다. 각 온도에서 K값은 DBPDA의 경우 Cs^+ > K^+ > Rb^+ > Li^+ > Na^+의 순서였으며, PDA의 경우는 Cs^+ > K^+ > Rb^+ > Li^+ > Na^+이었다. 또한 DBPDA가 PDA보다 이들 알칼리 금속 이온에서 더 큰 K값을 보여주었다. 넓은 의미를 갖는 "Hole-Size-Selectivity" 원리에 이들 착물은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 변화에 따른 K값으로부터 {\delta}H와 T{\delta}S를 각각 구했으며, 이들 반응들은 엔탈피 기여에 따르는 착물형성반응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PDA의 경우 부분적인 엔트로피 항의 증가도 착물의 형성에 기여함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