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이스 슬러리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4초

아이스슬러리형 빙축열 시스템과 그 이용

  • 이동원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0권6호
    • /
    • pp.21-26
    • /
    • 2001
  • 동적제빙 방식인 아이스슬러리형 빙축열 시스템과, 제빙된 아이스슬러리를 배관 내에 직접반송하는 기술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아이스슬러리형 축냉시스템을 이용한 쇼케이스 냉각장치의 열적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rmal Performance of the Show-Case Cooler Using Ice Slurry Type Storage System)

  • 이동원;김정배
    • 에너지공학
    • /
    • 제20권1호
    • /
    • pp.26-29
    • /
    • 2011
  • 일반적인 냉각 과정에 적용되는 이차 냉매로서 아이스슬러리 적용 기술이 최근 개발되고 있다. 아이스슬러리는 액체와 거의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단위 체적당 아이스슬러리의 에너지용량이 얼음 입자의 잠열로 인해 냉각수나 브라인에 비해 상당히 높지만 파이프를 통해서 잘 유동시킬 수 있다. 아이스슬러리를 적용하는 냉각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기초 결과를 제시하기 위하여, 쇼케이스의 냉각 코일에 아이스슬러리를 적용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냉각 코일 입구에서의 아이스슬러리의 온도가 R22에 비하여 적어도 $5^{\circ}C$ 정도 높지만, R22를 적용하는 냉각시스템에 비하여 동등한 열적 성능을 가지고 있었다.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빙축열 시스템의 아이스 슬러리 생성 연구 (Ice-slurry Generation of Ice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 using Ultrasonic Vibration)

  • 변성광;공춘수;김남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578-584
    • /
    • 2013
  • 아이스 슬러리는 유동성이 좋고 증발잠열이 커서 빙축열 시스템의 전열 유체로 선호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이스 슬러리는 과냉각된 유체로부터 생성되는데, 동결이 과할 경우 배관을 막히게 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아이스 슬러리 생성을 쉽게 하기 위해 과냉각온도를 낮출 경우 빙축열 시스템의 효율을 떨어뜨리기도 한다. 따라서 아이스 슬러리 생성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과냉각수에 캐비테이션 충격을 가하여 아이스 슬러리를 생성하는 새로운 방식의 빙축열 시스템에 관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여, 초음파 진동과 아이스 슬러리 생성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초음파 진동이 아이스 슬러리 생성을 성공적으로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이스슬러리를 이용한 냉열수송

  • 이동원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0권12호
    • /
    • pp.8-14
    • /
    • 2001
  • 물 또는 수용액에 작은 얼음입자가 섞인 아이스슬러리를 배관을 통해 직접 수송하는 효과적인 냉열수송 기술과 이와 관련된 연구개발 동향 및 이용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아이스슬러리형 빙축열 시스템을 이용한 냉각 시스템의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Cooling System Using Ice Slurry Type Heat Storage System)

  • 이동원;김정배
    • 에너지공학
    • /
    • 제20권1호
    • /
    • pp.30-35
    • /
    • 2011
  • 2중관형과 판형 열교환기에 에틸렌 클리콜-물 수용액으로 만들어진 아이스슬러리를 적용하는 경우의 유동 및 열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아이스슬러리의 질량유속과 얼음 분율은 각각 800에서 3500 kg/$m^2s$과 0에서 25%이었다. 실험을 통해, 압력강하와 열전달율은 질량유속과 얼음 분율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얼음 분율의 효과는 높은 질량유속 영역에서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질량유속에서는 압력강하와 열전달율의 급속한 증가가 질량 유속에 관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액 분사에 의한 아이스 슬러리의 제조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ice slurry creation by injection of an aqueous solution)

  • 이용구;오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75
    • /
    • 2010
  • 아이스슬러리의 생성을 위하여 냉각평판에 작동수를 분사하는 실험을 수행하여 그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에틸렌글리콜 수용액은 10~20wt%의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실험장치는 슬러리아이스 저장탱크, 브라인 탱크, 브라인 순환장치, 유량계 및 온도기록계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조건은 평균유속 1.0~2.0m/s, 냉각온도 $-17{\sim}-10^{\circ}C$의 조건 하에 실험을 수행하였다.

역전 유동층을 이용한 관군 내에서의 슬러리아이스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on of Slurry Ice by using the Reversing Flow in a Bundle of Tube)

  • 오철;최영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65-370
    • /
    • 2011
  • 최근 지구 온난화와 더불어 급격한 기후 변화 등으로 여름철 주간 냉방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른 전력 수요량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세계적으로 에너지 이용 효율 향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최근 국내 및 국외의 축냉시스템을 이용한 주간 전력 피크값을 최소화 하는 연구개발과 실제 적용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빙축열시스템의 경우 그 경제적 효과가 높아 그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축냉시스템은 주간 냉방에 사용하는 냉열을 야간에 만들어 탱크에 저장해 두었다가 그것을 낮에 이용함으로써, 갑작스런 부하 증가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슬러리아이스 생성을 위해 냉각표면에서 생성된 슬러리아이스를 분리시키기 위해 유체보다 밀도가 낮은 역전유동 물질을 삽입하여 역전 유동층을 형성하였으며, 역전유동층의 유동에 의해 관군으로 구성되어 있는 냉각튜브 표면에 빙부착이 심화되기 전에 얼음 입자를 분리시켜 수 내지 수십 미크론 단위의 슬러리아이스를 생성하도록 하였다.

역전 유동층 내의 유동해석 및 슬러리아이스 생성에 관한 연구 (Flow Analysis and an Experimental Study on Formation of Slurry Ice in the Reversing Flow Layer)

  • 오철;최영규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421-428
    • /
    • 2011
  • 최근 지구 온난화와 더불어 급격한 기후 변화 등으로 여름철 주간 냉방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여 이에 따른 전력 수요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주간 전력 피크로 인한 급격한 전력부하 상승은 전력 수급의 불균형을 가져 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개발된 축냉시스템은 전력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심야시간에 냉열을 만들어 탱크에 저장해 두었다가 그것을 주간 냉방 전력 사용 피크시간에 이용함으로써, 냉동기의 용량이 작아지고 냉동기를 고효율로 운전할 수 있으며, 갑작스런 부하 증가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하여 주간전력 피크를 줄여주는 효과를 가진다. 축냉시스템 중 하나인 슬러리아이스형은 슬러리아이스가 과냉되지 않은 작은 입자형태를 갖고 있어 해빙특성이 뛰어나므로 부하변동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으며, 그 저장과 재생 및 수송 분야에서 그 장점과 기능이 입증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슬러리아이스 생성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역전유동층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역전유동층은 냉각관 표면에 얼음 부착이 심화되기 전에 얼음 입자를 분리시켜 수 내지 수십 미크론 단위(0.1~0.001 mm)의 슬러리아이스를 생성하도록 하였다.

직접 수송 루프에서 아이스슬러리의 열전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Ice Slurry at Direct Transportation Loop)

  • 이동원;김정배
    • 에너지공학
    • /
    • 제19권4호
    • /
    • pp.234-239
    • /
    • 2010
  • 원형 파이프를 유동하는 6.5% EG 수용액으로부터 만들어진 아이스슬러리의 열전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장치의 시험부는 13.84 mm 내경과 1,500 mm의 길이를 가진 동관으로 제작되었다. 아이스슬러리는 시험부 주변에 이중관 형태로 만들어진 원형관 내부를 유동하는 온수에 의해 가열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에 적용된 IPF와 질량 유속은 각각 0 ~ 25% 그리고 1000 ~ 3,000 kg/$m^2s$의 범위이었고, 온수의 온도와 유량은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측정된 열전달량은 질량 유량과 IPF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IPF의 영향은 높은 질량 유량에서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질량유량에서는 열전달 계수의 급격한 상승이 15 ~ 20%의 IPF에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측정된 열전달계수는 기존의 열전달상관식들에 의해 계산된 열전달계수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지역냉방을 위한 아이스슬러리 시스템의 수송 및 분기 특성 (Ice slurry transporting and branching characteristics for the district cooling)

  • 이상훈;유호선;이윤표;이창준;권혁민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62-667
    • /
    • 2009
  • The research are performed to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the ice slurry transport system for the district cooling. The system are installed at the 1st floored building which is as large as the $1204\;m^2$ ($86\;m{\times}14\;m$), and the pumping power and branching characteristics are measured by transporting of the ice slurry. The ice slurry transporting pipe is as long as 200 m. For the same cooling load, the higher IPF is, the lower the transporting flow rate and the pumping power are. But when the IPF is higher than 15%, no less decrease of the pumping power does happen. For the branching characteristics, through the branch pipe where the flow resistance is higher, the higher IPF is measured. A little higher IPF is measured at the thermal expansion branc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