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연-브롬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전해액과 격막에 따른 Zn-Br 레독스 흐름 전지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Zn-Br Redox Flow Battery using the Different Electrolyte and Membrane)

  • 최호상;오용환;유철휘;황갑진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365-371
    • /
    • 2016
  • Cell performance of the Zn-Br redox flow battery (ZBRFB) using two different type's membrane (Nafion117 and SF-600) was evaluated at $20mA/cm^2$ of current density in 1M (mol/L) $ZnBr_2$ + 2M KCl + 0.3M EMPBr(1-ethyl-1-methyl pyrrolidinium bromide) electrolyte. The average energy efficiencies of ZBRFB were 74.9% and 74.7% for Nafion117 and SF-600, respectively. The electrolyte added the 1-ethyl-3-methylimidazolium dicyanamide (EMICA) as an additive was tested for the electrolyte in ZBRFB using SF-600 at $30mA/cm^2$ of current density. An average energy efficiency of the ZBRFB was 74.5% and 77.4% for the electrolyte non-added EMICA and added 1wt% of EMICA, respectively. ZBRFB using the electrolyte added EMICA was showed the higher performance than that using the electrolyte non-added EMICA.

친환경 무독성 난연도료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Nontoxic Flame Retardant Paint)

  • 도영웅;권면주;주현규;윤재경;하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36-33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EU에서 발효되는 6대 규제유해물질(Pb, Hg, Cd, $C^{6+}$, PBB/PBDE)과 환경부 규제유해물질에 의해 도료의 유해조성물질을 제한하게 됨에 따라 VOC(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이 적고, 브롬계/할로겐계를 탈피하여 인체안전성 확보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며, 방염제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KOFEIS 0201)에 부합하는 수용성 유 무기계 난연도료를 개발하였다. 친환경적인 난연도료 제조에 대한 최적조건으로 Mg(OH)$_2$, $Sb_2O_3$, 붕산아연을 1:2:2로 혼합한 난연제 그리고 바인더(마이셸 2%)와 물의 비율을 1:1로 제조한 후, 난연제:(바인더+물)을 1:1로 제조한 난연도료 3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인 및 할로겐 함유 EPDM 고무 혼합물의 난연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me Retardant Properties of EPDM Rubber Mixed with Phosphorus and Halogen Compound)

  • 최성수;임완빈;김진홍;황영애;우제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7권4호
    • /
    • pp.224-23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EPDM 고무를 기지재로 사용하여 유기 난연제에 따른 난연 특성을 살펴보았다. EPDM 원료 고무에 카아본블랙, 스테아르산, 산화아연 가교제 등을 배합하여, 난연제가 첨가되지 않은 EPDM 고무 혼합물인 E0를 제조하였다. E0에 인계 난연제인 Tricresyl phosphate(TCP)를 인 함량이 0.5, 1, 1.5, 2 phr로 변량 첨가하여 E1~E4를 제조하였고, 적인을 인 함량이 3, 6, 9, 15 phr로 변량 첨가하여 E5~E8를 제조하였다. 또한 브롬계 난연제인 데카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DBDPO)와 염소계 난연제인 염화파라핀은 각각 브롬과 염소 함량을 3, 6, 9, 15 phr로 변량 첨가하여 E9~E12와 E13~E16을 각각 제조하였다. 난연제의 종류에 따라 제조된 고무시료의 인장 및 인열, 경도 등의 기본 물성을 시험하였으나, 난연제 함량에 의한 이들 변화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난연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산소지수 시험에서는 E0의 산소지수가 23.5%를 나타내었으며, 난연제를 첨가한 고무의 산소지수는 23.7~28.5%를 나타내어서 난연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UL94의 수평법에 의한 시험에서 난연제로 적인을 사용한 EPDM 고무 혼합물의 난연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반면 TCP를 첨가한 고무 혼합물의 경우, 블리딩(Bleeding)현상이 심하여 시험 결과의 재현성을 얻지 못하였다. 전반적으로 난연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함량 증가에 따라 연소율이 감소하였고 난연 효과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Zn-Br 레독스 흐름 전지용 격막에 관한 연구 (Study on a Separator for the Zn-Br Redox Flow Battery)

  • 나일채;조홍식;유철휘;황갑진
    • 멤브레인
    • /
    • 제24권5호
    • /
    • pp.386-392
    • /
    • 2014
  • 두 종류의 막(다공성 막, 양이온교환막)을 사용하여 아연-브롬 레독스-흐름 전지(ZBRFB, Zn-Br redox-flow battery)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ZBRFB의 성능평가는 $20mA/cm^2$의 전류밀도에서 진행하였다. 다공성 막인 SF-600을 사용한 ZBRFB의 기전력(SOC 100%에서의 OVC)은 1.87 V, 양이온교환막인 Nafion117 막을 사용한 ZBRFB의 기전력은 1.93 V를 나타냈다. 각 막을 사용한 ZBRFB의 성능은 7회 충 방전 실험을 진행하여 평가하였다. SF600 막을 사용한 ZBRFB의 평균 전류효율은 89.76%, 평균 전압효율은 83.46%, 평균 에너지효율은 74.88%를 나타냈으며, Nafion117 막을 사용한 ZBRFB의 평균 전류효율은 97.7%, 평균 전압효율은 76.33%, 평균 에너지효율은 74.56%를 나타냈다.

Zn-Br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lectrolyte for Zn-Br Redox Flow Battery)

  • 최호상;오용환;유철휘;황갑진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347-352
    • /
    • 2013
  • Four types of electrolyte were tested for the application as an electrolyte in the Zn-Br redox flow battery. Electrolyte was consist of $ZnBr_2$ (electrolyte number 1), $ZnBr_2+KCl$ (electrolyte number 2), $ZnBr_2+KCl+NH_4Br$ (electrolyte number 3) and $ZnBr_2+KCl+EMPBr(C_7H_{16}BF_4N)$ (electrolyte number 4). The each electrolyte property was measured by CV (cyclic voltammetry) method. The different between the potential of anodic and cathodic maximum current density in a CV experiment (${\Delta}E_P$) was 0.89V, 0.89V, 1.06V and 0.61V for the electrolyte number 1, 2, 3 and 4, respectively. The electrolyte involved KCl increased conductivity which was appeared by anodic and cathodic maximum current density in a CV experiment. It was estimated that the electrolyte of number 3 ($ZnBr_2+KCl+NH_4Br$) and number 4 ($ZnBr_2+KCl+EMPBr$) could be suitable as an electrolyte in the Zn-Br redox flow battery with non-appeared bubble, non-Br formation and high anodic-cathodic maximum current density.

여러자리 질소-산소계 시프염기 리간드와 전이금속착물의 합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dentate Schiff Base Ligands having $N_nO_2$ (n=3~5) Donor Atoms and Bromine Substituent and their Transition Metal Complexes)

  • 김선덕;신윤열;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11권6호
    • /
    • pp.440-447
    • /
    • 1998
  • 브롬 치환기를 가지는 여러자리 시프염기인 5-Br-BSDT(bis(5-bromosalicylaldehyde)diethy- lenetriamine), 5-Br-BSTT(bis(5-bromosalicylaldehyde)triethylenetetramine)와 5-Br-BSTP(bis(5-bromosalicylaldehyde)tetraethylenepentamine)를 합성하여 DMSO 용매에서 이들 리간드들과 구리(II), 니켈(II) 및 아연(II) 등의 전이금속과의 안정도 상수값을 폴라로그래피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이때 금속과 리간드는 1 : 1착물을 형성하였고, 안정도 상수값은 금속으로서는 Cu(II)>Ni(II)>Zn(II) 순서로, 리간드로서는 5-Br-BSTP>5-Br-BSTT>5-Br-BSDT 순서로 나타남으로서 주개 원자수의 증가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엔탈피와 엔트로피는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는데 흡열반응으로서 금속이온과 리간드가 매우 강하게 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극성을 가지는 금속착물이 생성되어 용매인 DMSO와 아주 강한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큰 음의 엔트로피 값을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식품첨가물에 대한 여러 기관의 비점 및 유분측정법, 융점측정법 및 확인시험법 비교 (Comparison of Boiling Point and Distillaiion Ranige, Melting Range, and Identification Methods of Various Organizations on Synthetic Food Additives)

  • 신동화;김용석;이영환;방정호;엄애선;신재욱;이달수;장영미;홍기형;박성관;권용관;박재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34-140
    • /
    • 2005
  • 식품첨가물공전의 일반시험법 중 비점 및 유분측정법, 융점측정법 및 확인시험법에 대하여 국내에 유통되는 식품 첨가물을 대상으로 한국, 일본, JECFA및 미국의 시험법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한국의 식품첨가물공전에서 비점을 측정하는 품목은 프로필렌글리콜 1품목이었고, 이 품목에 대하여 한국방법에서는 비점으로, 일본방법은 유분으로, JECFA와 미국방법은 증류가 일어나는 온도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측정결과 규격에 적합하였다. 유분측정법은 한국과 일본방법에서는 유분으로, JECFA와 미국방법에서는 증류온도로 표시하였다. 프로피온산의 유분은 4 기관의 규격에 모두 적합하였으며, 일본방법에는 이소프로필알콜에 대한 규격기준이 없었다. 응점측정법은 4 기관의 방법이 동일하였으며,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에서는 28품목이 해당되었다. D-Mannitol의 경우 기관마다 규격기준이 약간 달랐으며, 미국방법에서는 L-ascorbic acid, calciferol 및 fumaric acid에 대한 규격이 설정되어 있지 않았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에서 확인시험을 하는 화학적합성품은 251품목이었으며, 과망간산염, 글리세로인산염, 브롬산염, 치오황산염 및 브롬화물 등 5항목에 해당하는 개별품목은 없었다. 안식향산염 시험에서 안식향산칼슘은 가열해야 녹았으며, 구연산철은 한국과 일본방법 (2)에서 모두 구연산염의 확인이 불가능하였다. 암모늄염, 젖산염, 마그네슘염, 제이동염, 황산염, 인산염 및 아연염 시험법은 4기관에 모두 동일하였으며, 현행 시험법에 의해 모두 확인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