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산만

검색결과 967건 처리시간 0.022초

아산만 방조제 배수갑문 확장사업에 따른 주변해역 수리현상 변화 검토 (Estimation of Hydraulic States Caused by Gate Expansion in Asan Bay)

  • 박병준;이상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84-193
    • /
    • 2008
  • 아산호 상류지역의 도시화 진행과 이상 기후 등에 따른 강수량 증가로 아산만 방조제 배수갑문 확장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배수갑문 확장으로 인한 방류량 증가가 아산만 및 주변 해역에 미치는 영향을 수리모형실험과 범용 수치모의 코드인 Delft3D, FLOW-3D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아산만 방조제 배수갑문확장에 의한 영향은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산항 개발 계획에 관하여

  • 정영묵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7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pp.16-18
    • /
    • 1997
  • 아산항은 초기에는 인천항의 보조항으로써 수도권 공단을 지원하는 공업항으로 개발하고, 최종적으로는 수도권의 제 2 관문항으로써, 서해 중부를 대상으로 중추 항만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개발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아산항 배후의 세력권은 아산만으로부터 반경 30 - 40km 내 지역인 경기 남부의 충남ㆍ북부 일부와 수도권이 포함되어 있다. (중략)

  • PDF

아산신도시, 가족형 산업 도시로 지역 가치를 높이다

  • 양지영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89호
    • /
    • pp.66-71
    • /
    • 2006
  • 미래는 스피드 시대다. 일찍 일어나는 새가 먹이를 많이 잡듯 빠르게 움직여야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아산신도시가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천안아산역 고속철도(KTX)가 개통되면서 아산신도시는 이미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아산 탕정산업단지 등 개발 호재를 등지고 고속철도와 함께 출발한 아산신도시를 둘러보자.

  • PDF

Individual approach in the recanalization treatment of the acute ischemic brain stroke according to the various MR findings in hyperacute stage

  • Y. Jang;Lee, D.;Kim, H.;Lee, J.;Park, C.G.;Lee, H.K.;Kim, S.;D. Suh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3년도 제8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98-98
    • /
    • 2003
  • We will present various MR findings of hyperacute ischemic stroke with our own experiences in the management of the patients according to the findings. 대상 및 방법: A total of 441 patients were underwent 'acute stroke MR' imaging protocol between Mar. 2001 and Jun. 2003. The protocol included initial T2-weighted image (WI), diffusion WI (DWI, b=2000), time-of-flight (TOF) MR angiography (MRA), and pefusion WI(PWI), and follow-up T2WI, DWI, TOF MRA, and neck vessel contrast-enhanced MRA obtained three to five days after the insult. Among them,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R findings and clinical courses of 193 patients with anterior circulation territorial infarction. Those ICA and MCA lesions were divided into six and five group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level and mechanism of the occlusion. PWI findings can be another factor in the management planning.

  • PDF

계절별 염분 자료를 이용한 아산만 연안의 담수 영향범위 추정 (Estimation on the Regions of Freshwater Influence using the Seasonal Salinity Data in Asan Bay Coastal Zone)

  • 조홍연;조범준;김상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19-231
    • /
    • 2008
  • 아산만 유역에 건설된 배수갑문 운영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유역의 강수량과 배수갑문을 통하여 배출되는 담수량의 결정계수는 $0.77{\sim}0.89$ 범위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산만 해역의 염분농도를 분석한 결과 강한 조석의 영향으로 뚜렷한 성층화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역 유출량과 염분농도의 결정계수는 대산 4 지점을 제외하고는 $0.49{\sim}0.62$ 범위로 나타났다. 한편 염분 농도 평균과 표준편차는 강한 상관관계(결정계수 = 0.9936)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담수 영향정도가 평균과 더불어 염분의 표준편차에도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염분농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이용한 담수 영향범위의 정량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아산 $2{\sim}4$ 지점, 대산 1 지점이 아산만 유역의 직접적인 담수 영향범위로 파악되었다.

GIS와 USLE를 이용한 아산만 유입 유사량 추정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to Asan Bay Using the USLE and GIS)

  • 김상민;박승우;강문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6호
    • /
    • pp.1059-1068
    • /
    • 2003
  • 본 연구는 아산만으로 유입되는 유사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Landsat-5 TM 위성영상과 NGIS 수치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기본도와 USLE 주제도를 구축하고, 범용토양유실공식(USLE)을 이용하여 아산만 유역의 토양유실량을 추정하였다. 유사운송비와 포착률을 이용하여 아산만으로 유입되는 유사량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농업기반공사의 배수갑문 관리자료와 환경부의 담수호 부유물 측정자료로부터 구한 실측 유사량과 비교하였다. USLE와 유사운송비, 포착률을 이용해 추정된 값과 실측 유입유사량을 비교한 결과, 아산호의 경우 연평균 추정치는 5,665tonnes/yr, 실측치는 12,937tonnes/yr, 삽교호의 경우 추정치는 6,765tonnes/yr, 실측치는 12,395 tonnes/yr 으로 나타났다.

개별교육프로그램이 역할불이행 혈액투석환자의 투석관련 지식, 이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on Knowledge, Compliance and Physiologic Parameters in Non-Compliant Hemodialysis Patients)

  • 이수진;박향숙;한진희;김해진;서민원;최은아;임은영;최미란;최선숙;박광옥;김경옥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3호
    • /
    • pp.5-16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using an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to contribute to the knowledge, compliance and physiologic parameters (serum potassium, phosphorus and interdialytic weight gain) of non-compliant hemodialysis patients. Methods: There were 22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in the control group. Nurses with rapport with patients provided education to non-compliant hemodialysis patients for 20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This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individual consulting, telephones conversations regarding hemodialysis, and requests for patient support from patients' families and colleagues. Results: Hypothesis 1; "Knowledge about hemodialysi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Hypothesis 2; "Compliance will b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Hypothesis 3; "Physiologic parameters of experimental group will improve" were supported as serum potassium and interdialytic weight gain decreased, but results were not consistent for phosphorous. Conclusion: This program for non-compliant patients increased compliance and improved physiologic parameters. Therefore, this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effective as a nursing intervention.

아산만 개발사업에 따른 해수유동의 변화

  • 강용덕;성하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3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183-185
    • /
    • 1993
  • 한반도 중부 서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아산만은 서해안 개발사업의 일판으로 각종 개발 계획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해양개발에 따른 대규모의 매입과 준설은 기존의 해수유동 체계를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아산만의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하여 조석, 조류, 조량 등의 수리학적 변화를 예측, 제시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특히 홍수시 만 내측의 아산호와 삽교호로부터 유입되는 담수에 의한 수위상승 및 유속증가 등과 같은 수리학적 악영향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중략)

  • PDF

생태-유체역학모델을 이용한 아산만 해양수질의 장기 예측 (Long Tenn Water Quality Prediction using an Eco-hydrodynamic Model in the Asan Bay)

  • 권철휘;강훈;조광우;맹준호;장규상;이승용;서정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1-98
    • /
    • 2009
  • 아산만 해역으로 방류수가 배출될 경우, 생태-유체역학모델을 이용하여 아산만 해역의 장기 수질변화를 예측하였다. 생태-유체역학 모델은 해수유동 시뮬레이션을 위한 다층모델과 수질시뮬레이션을 위한 생태계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생태-유체역학모델을 이용하여 아산만해역의 장기 수질을 예측한 결과, 5개 정점에서 화학적산소요구량, 용존무기질소 및 용존무기인의 농도분포는 현재 계산결과에서 6개월 동안 증가하였다. 수치실험 수행시간 1년에서 2년 사이에서는 화학적 산소요구랑, 용존무기질소, 용존무기인의 농도분포는 6개월 동안 증가한 농도분포가 차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3년에서 10년 사이에서는 일정한 농도분포를 보였다. 화학적 산소요구량, 용존무기질소 및 용존무기인의 농도는 $11{\sim}67%$, $10{\sim}67%$ 및 0.57%의 범위로 증가하였다. 10년 동안의 수치 실험 결과 화학적산소요구량과 용존무기질소의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하수처리장의 방류수 중 이 두 오염부하량이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산만 연안해역에서 화학적산소요구량, 총질소, 총인의 농도는 해역수질환경기준 II등급으로 조사되었으나, 하수처리장의 방류수가 배출될 경우 사업지구 인근의 아산만 방조제 부근에서는 해역수질환경기준 III등급으로 나타났다.

  • PDF

파킨슨증 환자에서 수면 시 두부거상 정도에 따른 기립성 저혈압의 변화 (Changes in Orthostatic Hypotension According to the Levels of Head-up Position during Sleep in Patients with Parkinsonian Disorders)

  • 김성렬;채현숙;윤미정;박수영;정다희;이향희;정선주;안영희;김경옥
    • 임상간호연구
    • /
    • 제17권2호
    • /
    • pp.275-285
    • /
    • 2011
  • Purpose: Head-up position during sleep is one of the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for the treatment of orthostatic hypotension. Because the head-up position causes discomfort in many patients, this approach may not be acceptable to all patients. We compared the systolic blood pressure in erect position, orthostatic hypotension, orthostatic disability score, and the improvement rates of orthostatic hypotension between the 20 cm head-up group and the 10 cm head-up group. Methods: A control pre/post-test design was used. Between August 1, 2009 and November 15, 2010, we consecutively enrolled patients who showed orthostatic hypotension in patients with Parkinsonian disorders. Sixty-seven patients were prospectively enrolled and forty-four patients were completed the study.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the systolic blood pressure in erect position, orthostatic hypotension, and orthostatic disability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five patients showed improvement in 20 cm head-up group and one patient was showed improvement in 10 cm head-up Group. Conclusion: Orthostatic hypotension is decreased with 20 cm head-up position in some patients with Parkinsonian disorders (p=.034). Further research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orthostatic hypotension and head-up position are warra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