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미노산 이용율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7초

육계에서 옥수수 주정박의 아미노산 소화율 조사 (Amino Acids Digestibility of Corn Distillers Dries Grains with Solubles in Broiler Chickens)

  • 황보종;홍의철;나재천;김지혁;강환구;김민지;김동욱;김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97-303
    • /
    • 2012
  • 본 시험은 옥수수 주정박의 첨가가 소화 부위별 아미노산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Ross종 육계 수컷 24수를 이용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CP 19%, ME 3,150 kcal/kg)를 기초 사료로 하였으며, 주정박을 6%와 12% 첨가한 사료를 시험사료로 하였다. 시험 설계는 사료 내에 주정박을 첨가시킨 양에 따른 3처리구(처리구당 8수)로 나누고, 소화물 채취 부위에 따른 4처리구로 나누어 $3{\times}4$의 복합 요인으로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소화율 측정을 위한 시료 수집 부위는 공장의 말단부(DJ, the distal end of the jejunum), 회장의 중부(MI, the middle part of the ileum), 회장의 말단부(DI, the distal end of the ileum) 및 직장의 말단부(DR, the distal end of the rectum)로 하였다. 주정박 첨가 수준과 채취 부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시험의 진정 소화율은 부위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05). CDDGS 첨가 수준에 따른 소화율은 필수 아미노산 중 lysine의 소화율이 CDDGS 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P<0.05). 또한 비필수 아미노산에서는 glycine의 소화율이 CDDGS 첨가구에서 감소하였으며(P<0.05), 다른 아미노산들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CDDGS는 lysine과 glysine 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나, 대체적으로 대조구와 유사한 소화율을 보여 부존 자원으로서 가금 사료에 이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옥수수 DDGS의 색상과 Phytase의 첨가가 육계 회장 아미노산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Colors and Phytase Levels on the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of Broilers)

  • 황보종;홍의철;박희두;나승환;김학규;유동조;박미나;정기철;추효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51-356
    • /
    • 2009
  • 본 연구는 옥수수 DDGS의 색상과 phytase 첨가가 회장 아미노산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 재료는 세가지 색상의 DDGS(DDGS1, DDGS2, DDGS3)를 이용하였으며, 시험계는 유사한 체중의 5주령 Ross종(Ross 308) 육계 수컷 108수(평균 체중 $1.8{\pm}0.2\;kg$)를 공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세 가지 색상의 DDGS와 phytase 첨가 3처리구(0, 500, 1,000 FTU/kg)의 $3{\times}3$ 복합 요인으로 총 9처리구, 처리당 12수씩 완전 임의 배치 하여 7일 동안 소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DDGS의 색상은 각각 DDGS1이 $L^*=55.2$, $a^*=8.8$, $b^*=41.3$, DDGS2가 $L^*=39.8$, $a^*=7.5$, $b^*=27.1$, DDGS3이 $L^*=28.3$, $a^*=6.1$, $b^*=15.4$로 나타났다. DDGS의 색상에 따른 아미노산 소화율은 어두운 색이 밝은 색보다 모든 아미노산의 소화율이 낮게 나타났다. DDGS의 처리구에 phytase를 첨가하여 급여시에 소화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필수아미노산의 평균 소화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각각 77.7, 80.0, 81.5, 76.0, 78.4, 80.1, 67.6, 69.6 및 71.0% 이었으며, 비필수 아미노산의 평균 소화율은 각각 73.6, 75.8, 77.3, 73.1, 75.3, 76.8, 67.4, 69.4 및70.7% 이었다. 이번 실험의 결과에서, DDGS 색상이 어두울수록 그리고 phytase 수준이 낮을수록 아미노산 이용률이 낮게 나타났다.

난분해성 케라틴 단백질을 함유하는 닭 우모 분해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eratinolytic Protein Chicken Feather-Degrading Bacteria)

  • 김세종;조천휘;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6-92
    • /
    • 2010
  • 양계장 부산물 시료로부터 우모 분해세균 31균주를 분리하였다. 수집된 우모 분해세균에 대해 16S rRNA 염기서열을 해석하여 계통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Firmicutes (21균주), ${\gamma}$-proteobacteria (4균주), Actinobacteria (4균주) 그리고 Bacteroidetes (2균주) 계통군에 속하는 다양한 세균이 확보되었다. 우모 분해세균 중 우모 분해율이 75-90% 이상인 우수균주 Chryseobacterium sp. FBF-7,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FBS-4 그리고 Lysinibacillus sp. FBW-3를 최종 선발하였다. 이들 균주를 이용한 생물학적 분해법과 Ca(OH)2를 이용한 화학적 분해법에 의해 추출된 아미노산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Chryseobacterium sp. FBF-7에 의해 추출된 총 아미노산 함량이 1661.6 ${\mu}mol$/ml로 선발 균주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화학적 분해법에 의해 추출된 총 아미노산 함량과 유사하였다. Chryseobacterium sp. FBF-7에 의해 생성된 필수 아미노산 함유량은 619.3 ${\mu}mol$/ml로 총 아미노산의 37%를 함유하였으며, 화학적 분해법에 의한 경우, 596.9 ${\mu}mol$/ml의 필수 아미노산을 생산하여 총 아미노산 함유량의 3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ryseobacterium sp. FBF-7에 의해 추출된 아미노산의 조성을 검토한 결과, va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그리고 proline이 주요 아미노산이었으며, 특히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cysteine 그리고 tyrosine이 화학적 추출법보다 더 높게 추출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쑥 첨가가 돈육제품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 강세주;현재석;정인철;문윤희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123-126
    • /
    • 2004
  • 소시지의 구성아미노산 총량은 Bo 소시지가 Eo 소시지보다 많고, B+ 소시지가 E+ 소시지보다 많아서 원료육의 등급이 소시지의 구성아미노산 총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패티의 아미노산 함량은 Bo 패티가 Eo 패티보다 총량이 적었고, 쑥을 첨가한 패티가 첨가하지 않은 패티보다 많았다. 수육의 아미노산 총량은 Bo 수육이 Eo 수육보다 적어서 원료육의 등급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햄의 아미노산 총량은 Bo 햄이 Eo 햄보다 적어서 등급에 의한 차이가 있었다. 네 종류의 육제품 모두에서 가장 많은 조성을 차지하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rginine, alanine의 순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은 5.45${\sim}$13.60% 사이었다. 돈육 소시지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34.44${\sim}$35.94%, 불포화지방산이 60.71${\sim}$63.72%로 등급이나 쑥의 첨가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패티의 지방산 조성은 전체적으로 포화지방산이 33.83${\sim}$37.14% 수준이고, 불포화지방산은 59.52${\sim}$63.09%로 Bo 패티가 Eo 패티보다 높았으며, 쑥의 첨가에 의한 차이는 크지 않았다. 수육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40.87${\sim}$45.73%로 Bo와 Eo 수육이 비슷하여 등급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그리고 쑥을 첨가한 B+와 E+수육이 쑥을 첨가하지 않은 Bo와 Eo 수육보다 포화지방산 조성비가 적제 나타났다. 햄의 포화지방산은 쑥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Bo 햄이 Eo 햄보다 다소 많았고, 쑥을 첨가하지 않은 햄이 쑥을 첨가한 햄보다 적었다.분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기를 단계별 복합처리로 저 allergy 처리는 단계별로 점차적으로 allergy가 감소되었다. 즉 단계별로 억제가 안되는 것부터 억제되는 처리를 복합적으로 처리한 것으로 그 단계는 천연효소처리에 인산염 처리, 여기에 초음파 처리, 마지막 단계로 3분 끓이면 억제율이 68%까지 억제되었다. 이는 단일처리시 전혀 억제를 못하는 처리를 단계별로 한 단계씩 더해가면 allergy 억제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겠다. 초음파 처리도 역시 저 allergy 처리 공정에 이용될 수 있는데 이것은 그 처리로 인해 새로운 알러젠이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합처리로 allergy를 감소시키면 연속적이고 동시적으로 하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환경현안에 대한 정치경제적 접근을 외면하지 말고 교과서 저작의 소재로 삼을 수 있어야 하며, 이는 '환경관리주의'와 '녹색소비'에 머물러 있는 '환경 지식교육'과 실천을 한단계 진전시키는 작업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후 10년의 환경교육은 바로 '생태적 합리성'과 '환경정의'라는 두 '화두'에 터하여 세워져야 한다.배액에서 약해를 보였으나, 25% 야자지방산의 경우 50 ${\sim}$ 100배액 어디에서도 액해를 보이지 않았다. 별도로 적용한 시험에서, 토마토의 경우에도 25% 야자지방산 비누 50 ${\sim}$ 100배액 모두 약해를 발생하지 않았으나, 오이에서는 25% 야자지방산 비누 100배액에도 약해를 나타내었다. 12. 이상의 결과, 천연지방산을 이용하여 유기농업에 허용되는 각종의 살충비누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방제가 조사결과 진딧물, 응애 등 껍질이 연약한 곤충의 방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조된 살충비누를 활용하면 환경친화적인 해충방제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능을 충진시켜

  • PDF

생선내장의 아임계 및 초임계 가수분해에 의한 아미노산의 회수 (Amino Acids Recovery from Fish Entrails by Hydrolysis in Sub- and Supercritical Water)

  • 강길윤;김용하;전병수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28-33
    • /
    • 2005
  • 본 연구는 재자원화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폐기물 생선내장으로부터 아미노산을 회수하기 위하여 아임계 및 초임계 가수분해반응을 수행하였다. 반 회분식 및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아미노산의 최적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시간 등의 반응인자에 대한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회분식 반응결과, 폐기물 생선내장으로부터 얻어진 전체적인 아미노산의 최적수율(137 mg/g-dry entrails)은 온도 $250^{\circ}C$ (p=4 MPa), 반응시간 60 min에서 얻을 수 있었다. 초임계조건(e.g., T=$400^{\circ}C$, P=45 MPa)에서는, 아미노산의 생성속도보다 분해속도가 빠른 관계로 수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고수율의 아미노산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저온 및 짧은 반응시간에서의 조작이 필요한 것을 알았다.

넙치 배합사료의 어분 대체 단백질원으로서 대두박 이용성

  • 김윤숙;하재이;문태석;이상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59-260
    • /
    • 2000
  • 넙치는 횟감으로 선호도가 높은 고급 어종으로 양식생산량이 꾸준히 증대되고 있는 주요양식 종이며, 단백질 요구량이 높은 육식성 어류이다. 배합사료의 단백질원으로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어분은 단백질 함량이 높고 필수아미노산 및 지방산이 골고루 갖춰진 양질의 단백질원이지만, 어획량의 변동으로 생산량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영양소 조성, 소화율, 가격, 공급의 안정성 및 대상 어종의 기호성 등을 고려하여 어분을 대체할 수 있는 단백질원의 개발이 시급하다. 어분의 대체 단백질로 이용되는 원료 가운데 대두박은 아미노산 조성이 비교적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공급이 안정적이어서 여러 어종을 대상으로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따라서 경제적인 넙치 배합사료 개발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어분 대체 단백질원으로서 대두박의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중략)

  • PDF

TMS-TFA 유도체화를 이용한 소변여지 중 유기산과 아미노산의 GC/MS 동시분석 (Simultaneous GC/MS Analyses of Organic acids and Amino acids in Urine using TMS-TFA derivative)

  • 윤혜란
    • 분석과학
    • /
    • 제19권1호
    • /
    • pp.107-11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trimethylsilyl (TMS) 및 trifluoroacetyl (TFA)유도체화를 이용하여 소변여지에서 대사이상 질환을 신속하게 스크리닝하는 GC/MS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유기산과 아미노산을 동시에 유도체화하기 위해 메틸오렌지를 지시약으로 하여 $60^{\circ}C-70^{\circ}C$에서 15-20 분간 카르복실기는 TMS로 아미노기는 TFA로 유도체한 후 GC/MS-SIM으로 분석하였다. 유기산과 아미노산의 직선성의 범위는 0.001-50 mg이었고, 소변에서의 검출한계는 10-200 ng, 정량한계는 80-900 ng 이었다. 직선성을 보이는 범위에서의 상관계수(R2)는 0.994-0.998이었고, 회수율은 methylcitric acid와 glycine을 제외하고 80-100%를 보였다. 이 방법은 기존의 유기산분석에는 GC/MS를 아미노산 분석에는 아미노산분석기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GC/MS만 사용하여 동시에 유기산과 아미노산을 분석함으로써 전처리가 간단하고 짧은 분석시간과 우수한 감도, 정확도, 정밀도를 보여 주었다. 정상인과 대사이상질환 환자의 검체에 적용해 보았을 때, 본 분석방법은 유기산과 아미노산대사이상의 유전성대사질환 환자의 스크리닝, 진단 및 모니터링에 임상적으로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납두균 효소를 이용한 두유단백질의 용출 (Extraction of proteins from soymilk residue using the enzymes from Bacillus subtilis)

  • 이상민;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4호
    • /
    • pp.282-286
    • /
    • 1990
  • 두유박에 함유되어 있는 불용성 형태의 단백질을 Bacillus subtilis IAM 1071 natto가 생산하는 효소를 이용하여 가용성 형태의 단백질로 용출시키기 위하여 효소작용 최적 조건으로서 pH, 온도 및 소화 시간을 결정한 다음 추출액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두유박의 단백질 용출을 위한 최적 pH는 7.5였으며 최적온도는 $45^{\circ}C$였고 최적조건하에서 15시간의 소화로 63%의 단백질 추출율을 보였다. 추출액의 아미노산은 고르게 분포되었으며, 특히 필수 아미노산의 조성도 상당히 좋은 편이다.

  • PDF

수종해조의 단백계수와 in vitro Digestibility (Nitrogen Conversion Factors and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of some Seaweeds)

  • 류홍수;;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63-270
    • /
    • 1982
  • 해중의 영양학적인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multi-enzyme system을 이용한 체외소화율과 아미노산분석을 기초로 한 단백질수를 측정하였다. 김 (P. tenera)의 체외소화율은 $78.5\sim82.2$로서 산지와 건조조건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잎파래(E. linza)나 다른 갈조류 (미역 U. pinnatifida, 톳 H. fusiforme, 모자반 S. fuuellum)에 비하여 높았고 효소활성 저해물질 (trypsin inhibitor)의 함량은 갈조류에서 높았다. 잎과래는 채외소화율이 김보다 낮음에도 불구하고 효소활성저해물질이 가장 낮은 특이한 결과론 보였다. 전체적으로 해조류의 체의소화을이 다른 연구자들의 생체실험에 의한 소화율 (in vivo digestility)보다 높은 결과를 보인 것은multi-enzyme system을 이용한 체외소화율 측정 방법을 해조류의 정확한 소화율 측정에 적용하기에는 문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륜 김에 대한 microwave cooking의 영향은 가열시간이 15분 경과하여도 현저한 소화율 증가는 볼 수 없었으며, 효소활성 저해물질함량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한국식으로 구운김의 체외소화율은 microwave로 15분 가열한 시료와 비슷하였다. 아미노산 분석 결과를 이용한 단백계수(Factor method)는 김의 경우 6.52로 계산되었고, 잎파래는 6.00, 미역 6.11, 모자반 5.85, 톳은 5.83이었으며, Kjeldahl전소분석결과를 이용한 단백계수(Kjeldahl Method)는 김 6.29, 잎파래 5.83, 미역 5.40, 모자반 5.45, 톳 5.49로 나타나, 종래의 조단백계수(6.25)보다 낮은 결과를 보였다. 해조추의 비단백태질소의 정확한 규명이 없는 상태에서, 해조의 단백질함량 측정에는 아미노산 분석결과를 이용한 새로운 단백계수(Factor Method)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어린병아리에서 저단백질사료내 제한아미노산의 규명과 함유황아미노산의 요구량 결정 (Identification of Limiting Amino Acids and Determination of Requirement of Total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in a Low Protein Diet in Young Chicks.)

  • Chee, Kew-Mah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2
    • /
    • 1984
  • 저단백질(13% C. P.) 사료는 어린 병아리에서 단백질급원의 Net Protein Utilization가 조사하거나 또는 아미노산의 불균형을 연구할 때 적절한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때의 기준 단백질로서 정제된 대두단백을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이런 사료의 제한 아미노산에 대한 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사료내 유일한 단백질급원으로서 isolated soy protein을 15% 수준으로 함유한 purified-type의 기초사료에서 제한 아미노산을 규명하고 이의 요구량을 조사하였다. 어린병아리의 기초사료에 methionine, lysine, threonine 및 tryptophan 등을 단독으로 또는 두개 이상을 같이 첨가해서 급여한 결과. methionine만이 결핍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함유황아미노산(TSAA)의 요구량을 dose-response curve 방법에 의해 반응선과 plateau선과의 상호교차점에서 구하였는데, 최대의 성장과 사료섭취량을 위한 요구량은 각각 사료단백질의 4.73%와 3.73% 수준이였다. 이들 수치를 TSAA의 섭취량을 기준으로 표시해 보면 최대성장율,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을을 위해 각각 167.7, 136.8 및 159.7mg/bird/day의 양이 필요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