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미노산 대사산물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2초

캐놀라 식물체내에서 클로르설푸론의 약해 유발 요인 (Chlorsulfuron-induced Phytotoxicity in Canola(Brassica napus L.) Seedlings)

  • 김성문;허장현;한대성;윌리암 반덴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9-206
    • /
    • 1997
  • Acetolactate synthase를 저해하는 sulfonylurea계 제초제 chlorsulfuron은 감수성 식물 체내에서 많은 생리, 생화학적 변화를 유도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chlorsulfuron이 유발하는 독성이 감수성 식물체내에서 branched-chain 아미노산 생합성경로의 최종산물인 leucine, valine과 isoleucine의 결핍에 의한 것인지 혹은 branchedchain 아미노산 생합성 경로중 독성 대사산물의 축적에 의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Chlorsulfuron에 처리된 캐놀라의 성장은 저해되었으며, 처리된 식물은 백화 현상, 잎말이 현상 그리고 안토시아닌 축적과 같은 약해증상을 보였다. Branched-chain 아미노산이 첨가된 영양배양액에서 생장하는 캐놀라에 chlorsulfuron을 처리하였을 경우 생장저해와 약해는 단지 부분적으로 완화되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chlorsulfuron에 처리된 캐놀라의 약해는 branched-chain 아미노산의 결핍 이외에 또 다른 요인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독성 대사산물로 알려진 2-ketobutyrate에 처리된 캐놀라 식물체내에서의 대사산물 변화와 chlorsulfuron에 처리된 캐놀라 식물체내에서의 대사산물 변화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chlorsulfuron에 처리된 감수성 식물이 나타내는 독성은 부분적으로 branched-chain 아미노산의 결핍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 PDF

황색 방울토마토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물질분석 (Nutritional and Bioactive Compounds of Yellow Cherry Tomato)

  • 최석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51-461
    • /
    • 2020
  • 본 연구는 황색 방울토마토의 일반성분, 생리활성 성분의 분포를 규명함으로써 식품재료로서의 활용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하였다. 17종의 유리아미노산이 발견되었고 그 중 L-글루탐산(45.15%), L-글루타민(22%) 및 L-아스파르트산(11%)이 주된 아미노산이었다. 또한, 필수아미노산 중 L-트립토판을 제외한 8종의 필수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었다. 아미노산 대사산물 중 생리활성이 잘 알려진 γ-aminobutyric acid(GABA)가 258.58 mg/100 g 다량 포함되어 있었다. Lycopene(2.18 mg/100 g) 함량은 붉은 토마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β-carotene(9.90 mg/100 g)은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naringenin chalcone, quercetin-3-rutinoside(rutin), 5-caffeoylquinic acid, 3-caffeoylquinic acid, quercetin-3-apiosylrutinoside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폴리페놀 화합물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황색 방울토마토가 영양적으로 우수한 식품소재이며 생리활성 성분의 급원으로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성도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응촉진 유기물 첨가에 의한 혐기성 분해율의 향상에 관한 연구 (Enhancement of Anaerobic Degradation by Organic Stimulants Addition)

  • 손부순;허준무;배형석;서성철;박종안
    • 환경위생공학
    • /
    • 제13권1호
    • /
    • pp.32-43
    • /
    • 1998
  • 혐기성대상과정중 메탄생성균(methanogenic bacteria)에 의한 메탄생성시 주요 기질인 아세트산 (acetic acid)을 분해할 경우에 여러 가지 복합기질 중 아미노산 첨가에 의한 분해속도증가에 미치는 영향과 투입한 아미노산이 미생물에 의하여 생체량으로 합성되는 정도를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메탄생성균은 glycine, serine, threonine, aspartic acid, trytophan 등의 혐기성미생물의 생체량합성에 필요한 물질을 투입할 경우에 아세트산의 분해속도가 증가하였으며, 여러 가지 아미노산을 혼합하여 주입한 결과 분해속도가 17% 향상되었다. 한편, 메탄생성균의 lysing에 의하여 생성된 유기물은 메탄이나 이산화탄소의 최종산물로 전환되기보다는 새로운 메탄생성균의 생체량을 형성하는데 직접 이용되었으며, 아세트산의 분해속도를 52% 증가시켰다. 단순기질(sole substrate)과 복합기질(complex substrate)의 분해는 미생물의 생체량합성에 필요한 여러 가지 중간대사산물간의 상호자극효과에 의하여 복합기질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입기질내 활성이 강한 슬러지의 농도는 혐기성처리에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 PDF

Perfusion배양시 세포성장 및 항체생산 향상을 위한 아미노산의 보강 (Fortification of Amino Acids to Improve Hybridoma Cell Growth and Monoclonal Antibody Production in Perfusion Culture)

  • 이수영;최병욱;오한규;윤정원;전복환;변태호;박송용
    • KSBB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188-191
    • /
    • 1999
  • 본 실험에서는 하이브리도마세포 배양 중 아미노산 량의 변화를 조사하여 세포성장, 세포대사 및 항체생산성에 미치는 아미노산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vR8 하이브리도 마세포 배양 중 세포성장이 급속히 이루어지는 시점과 최대 세포농도에 도달한 시점에서의 glutamine, arginine, leucine 등 다수 아미노산의 고갈이 관찰되었고, 이후 세포활성이 급속히 저하되었다. 이때 glucose 농도, lactate, armmonia 등의 대사산물 농도 및 pH, DO, 교반속도 등은 적절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에 이들 요소에 의한 세포성장의 저해는 없었다. 따라서 이들 아미노산의 고갈이 세포활성의 저하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한편, 고갈된 아미노산을 첨가한 배지(GC-HY-S2)로 배양을 해본 결과 세포농도를 $2.91\times10^7$cell/mL까지 증가시킬 수 있었다. 즉, 변형배지에서는 세포활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세포성장구간을 지나 계속적인 세포성장을 보여 27배 정도 더 높은 최대 세포농도를 보였다. 세포농도의 증가로 specific productivity, volumetric productivity도 각각 1.75배, 56배 증가하였다. 최대 세포농도에서의 아미노산 량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충분한 양의 아미노산이 공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농도 하이브리도마세포 배양에서의 일부 아미노산의 고갈은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이다. 그러므로 세포를 고농도로 배양하기 위해서는 아미노산 분석을 통해 고갈된 아미노산을 첨가해 주어야 하는데, 아미노산의 요구는 세포주마다 다르므로 배지 최적화과정에서 아미노산 분석에 의한 배지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멜라스 증후군 진단에서의 혈장 아미노산과 소변 유기산 분석 (Plasma Amino Acid and Urine Organic Acid in Diagnosis of MELAS)

  • 나지훈;이영목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24
    • /
    • 2023
  • 목적: 과거에는 혈장 아미노산 및 소변 유기산의 대사 이상 검출이 멜라스 증후군과 같은 임상적인 미토콘드리아 질환을 진단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혈장 아미노산 및 소변 유기산의 진단적 가치를 고찰하고, 멜라스 증후군 진단에 있어 이들의 유효성을 후향적으로 살펴보았다. 방법: 임상적으로 진단된 모든 멜라스 증후군 환자(n=31)로부터, 진단 당시의 혈액 및 소변 검체를 채취하여 혈장 아미노산 및 소변 유기산 검사를 시행하였다. 모든 샘플은 결과의 인위적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금식 상태에서 수집되었습니다. 유전자로 진단된 멜라스 증후군 환자(n=19, m.3243A>G 돌연변이)와 유전자로 진단되지 않은 멜라스 증후군 환자(n=12) 그룹 간에 초기 진단 시 혈장 아미노산 및 소변 유기산의 비정상 대사물질 비율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유전자로 진단되지 않은 멜라스 증후군 환자군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결과: 두 그룹 간의 혈장 아미노산과 소변 유기산을 비교한 결과, 유전자로 진단된 멜라스 증후군 환자와 유전자로 진단되지 않은 멜라스 증후군 환자 간에 특징적인 차이를 보이는 비정상적인 대사 산물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혈장 아미노산 또는 소변 유기산의 비정상적인 대사물질 값은 멜라스 증후군의 진단에 있어서 선별 검사로 유용할 수 있지만 진단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 PDF

완두 유묘중 IAA-amino acid 복합체의 확인 (Identification of Amino Acid Conjugates of Indole-3-acetic Acid in Etiolated Pea(Pisum sativum L.) Shoots)

  • 박창규;박노동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3-51
    • /
    • 1985
  • 식물체중의 IAA-아미노산 복합체를 확인하기 위하여 23종의 IAA-아미노산 복합체를 합성하여 이들의 UV와 IR spectra, TLC, HPLC 그리고 가수분해등 화학적 증거를 토대로, 암실재배한 완두 유묘의 줄기에서 IAA-Asp와 IAA-Glu를 잠정적으로 동정하였다. IAA-Asp는 식물체에서 IAA의 대사산물로 이미 확인된 화합물(化合物)이지만 IAA-Glu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 PDF

Serratia marcescens에서 글리옥실산이 Prodigiosin 생합성에 미치는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Glyoxylate on the Biosynthesis of Prodigiosin in Serratia marcescens)

  • 최병범;방선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75-479
    • /
    • 1997
  • 최소 배지에 여러 아미노산과 대사 산물을 첨가하여 혐기성 조건하에서 배양시킨 Serratia marcescens ATCC 25419 세포 추출무에서 prodigiosin의 생합성을 조사한 결과 아미노산과 대사 산물들은 prodigiosin 생합성을 대조군보다 50-80% 정도 감소시켰다. 글리옥실산은 1-3mM에서 prodigiosin의 생합성을 대조군보다 20-40% 정도 증가시켰고, 특히 5mM의 농도에서는 최대 122% 증가시켰으나, 20-30mM에서 prodigiosin의 생합성을 50-90% 정도 감소시켰다. 한편, 혐기성과 호기성 조건의 피루브산과 $\alpha$-케토부티르산은 호기성 조건의 글리옥실산과 함께 조사한 모든 농도(0.5-30mM)에서 prodigiosin이 생성되지 않았으며 또한, 혐기성 조건하에서 높은 농도(20mM 이상)의 글리옥실산은 S. marcescens의 성장을 현저하게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글리옥실산은 피루브산과 $\alpha$-케토부티르산과는 다르게 낮은 농도(1-5mM)에서는 S. marcescens의 1, 2차 대사물질로 작용하여 prodigiosin 생합성을 증가시키지만, 높은 온도(20mM 이상)에서는 S. marcescens의 성장을 억제시켜 2차 대사물질인 prodigiosin의 생합성도 억제된다고 사료된다.

  • PDF

아미노산 동시분석을 통한 피부보습능과 각질 중 아미노산 함량과의 상관관계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Dryness and Amino Acids in Stratum Corneum)

  • 주경미;한지연;손의동;남개원;정혜진;임경민;조준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5-82
    • /
    • 2012
  •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는 정상 피부 내의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용성, 친수성 성분을 총칭하는 말로 외부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고 각질층의 수분보유능을 증가시키며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의 유연성과 가수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NMF는 주로 아미노산과 아미노산의 대사산물로 구성되며 이들은 필라그린(filaggrin)이 분해되면서 생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각질층의 22종의 개별 아미노산의 함량분석을 통하여 피부보습능과 개개의 아미노산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15명의 건강한 지원자들의 전박과 이마로부터 tape stripping한 각질 시료 중 22종의 아미노산 함량을 UPLC-PDA를 이용하여 동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질 표면보다는 안쪽에서의 아미노산들의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체 부위별 비교에서 전박이 이마에 비해 아미노산 함량이 1.5배 정도 높음을 확인하였다. 전박부위의 아미노산 총 함량과 보습능(TEWL)과의 상관 관계분석을 통해서는 보습능이 클수록 총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Ser, Glu, Gly, Ala 및 Thr은 각질 내 존재하는 주요 아미노산 성분으로 보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NMF의 주성분인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질 생리기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각질층의 아미노산의 통합적인 분석법은 보습, 노화, 미백, 피부 염증질환 등 다양한 피부 상태와 아미노산류들의 변화와의 관계를 깊이 이해하고 피부 기능과 관련된 새로운 분자적 타겟을 발굴하고 증명하는데 기초적인 방법으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흰가루병에 대해 성체식물 저항성을 지닌 봄보리에서 $^{14}CO_2$ 동화와 $^{14}C-$동화산물의 대사 ([ $^{14}CO_2$ ] Assimilation and Metabolism of $^{14}C-$Assimilates in Whole Plants of Spring Barley In Relation to Adult-Plant Resistance to Powdery Mildew)

  • 황병국;이벤탈;하이테프스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2-30
    • /
    • 1986
  • 흰가루병에 대하여 감수성인 봄보리품종 Peruvian과 성체식물 저항성품종 Asse의 4엽기에서 흰가루병에 감염되었을 때 $^{14}CO_2$동화와 $^{14}C-$동화산물의 대사변화를 연구하였다. 건전식물에서는 Peruvian과 Asse간에 $^{14}CO_2$동화와 $^{14}C-$동화산물 대사에서 차이가 어 없었다. 감염된 엽수가 늘어남에 다라 이들 두 품종에서 $^{14}CO_2$ 동화와 동화산물의 이행량은 감소하였다. 감염정도가 같을때도 Asse보다 Peruvian에서 $^{14}CO_2$동화가 더 감소되었다. 흰가루병이 감염되지 않은 제4엽에서도 $^{14}CO_2$고장이 줄어들었고, Peruvian에서 더 줄었다. 아래 3엽이 감염되었을 때 감염되어 있지 않는 상위 제4엽에서 fructose, glucose등의 탄수화물로 $^{14}C$가 결합되는 것을 억제하였고 Asse보다 Peruvian에서 억제가 더 컸다. 감염된 제3엽에서도 탄수화물내에 $^{14}C$이 줄어들었으나 Peruvian에서 $^{14}C$로 표식된 fructose, glucose함량이 더 높았다. 모든 식물기관에 $^{14}C$-유기산합성이 촉진되었고 Asse보다 Peruvian에서 합성이 더 뚜렷하였다. 감염된 제3엽이나 건전제4엽에서 $^{14}C$이 아미노산으로 결합되는 것이 증가하였으나 엽초로 이동은 감소되었다. 이들 잎에서 어떤 $^{14}C$-아미노산은 Asse보다 Peruvian에 더 많이 축적되었다.

  • PDF

식물에서 shikimate 및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경로와 이의 대사공학적 응용 (Biosynthetic pathway of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and its metabolic engineering in plants)

  • 임선형;박상규;하선화;최민지;김다혜;이종렬;김영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135-153
    • /
    • 2015
  • 식물의 페닐알라닌, 티로신, 그리고 트립토판과 같은 방향족 아미노산은 단백질 합성의 구성 성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차 대사물질들의 전구물질들이다. 이러한 방향족 아미노산 유래의 화합물들은 식물의 색소와 세포벽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다양한 페놀릭 화합물들의 구성성분이자, 옥신과 살리실산과 같은 식물 호르몬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들은 인간의 영양과 건강을 증진하는 높은 잠재력을 지니는 알칼로이드 및 글루코시놀레이트와 같은 천연산물로써 역할을 한다. 방향족 아미노산의 생합성경로는 shikimate 경로로부터 유래되는 공통의 중간기질인 chorismate를 공유한다. 트립토판은 중간기질로 anthranilate를 통해 합성되고, 페닐알라닌 및 티로신은 중간기질인 prephenate를 통해 합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경로에 관련한 모든 단계의 효소와 전사/전사후 수준에서의 그들의 유전자 조절에 대한 최근 연구들에 대해 종합적으로 되짚어 보면서, 추가적으로 식물의 방향족 아미노산 유래의 천연물질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해 그 동안 시도되어온 대사 공학적 노력들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