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동정신건강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35초

초등학교 내 학교숲 조성이 아동의 인지·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hool Forests on Mental Health and Cognition of Elementary Students)

  • 최선혜;이연희;이윤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655-662
    • /
    • 2019
  • 본 연구는 학교숲 조성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지·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학교숲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우정사업본부와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서울시 교육청이 협력으로 학교숲 조성사업이 실시된 서울 A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학교 숲이 조성되기 전과 후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환경 감수성, 숲에 대한 태도, 우울과 불안, 공격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 및 분석 결과 학교숲의 조성이 환경 감수성과 숲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고, 공격성 하위요인인 신체적 공격성과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즉, 학교숲 조성이 아동의 환경 감수성을 높이고, 숲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신체적 공격성과 불안을 줄여줌으로 인지·정신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이에 따라 학교숲 조성이 아동들의 문제행동 감소와 자연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학교숲 조성이 아동의 인지와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결과로 학교숲 조성의 필요성을 고취하고, 학교숲이 인지·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부모-자녀관계가 아동의 대인관계 및 정신건강을 매개로 학교생활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와 양부모의 다집단 분석- (The Effect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School Life Happiness, mediated by Childre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Mental Health -Multi-Group Analysis on single-parent and two-parent famillies-)

  • 김현숙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5호
    • /
    • pp.113-141
    • /
    • 2016
  • 본 연구는 부모-자녀관계와 학교생활 행복의 관계에서 자녀의 대인관계와 정신건강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이러한 구조모형 속에서 한부모 자녀와 양부모 자녀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자료(2차년)를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6,643명(한부모 756명, 양부모 5,887명)이다. 연구방법은 AMOS 18.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자녀는 양부모 자녀보다 대인관계, 정신건강, 학교생활 행복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관계와 학교생활 행복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와 정신건강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총효과를 통해 아동의 학교생활 행복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대인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부모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연구모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동기 외상 경험이 대학생의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on Depressive Symptoms for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 정영은;양현주;유정원;김문두
    • 우울조울병
    • /
    • 제16권3호
    • /
    • pp.163-168
    • /
    • 201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on depressive symptoms of college students, and to determine how depression depended on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Methods : A total of 430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two universities in Jeju area. All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demographic variables,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ACE)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and Positive Resources Test (POREST). Results :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47.9%, and a total of 133 (30.9%) college students reported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Stud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were likely to report more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less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while controlling for a range of demographic variables,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depression. Conclusion : Based on results, professionals must consider posi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for treatment to reduce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history of childhood adversity.

환경적 요인이 아동 성장기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rents' child abuse, school violence and friends attachment on mental health in childhood)

  • 민대기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2호
    • /
    • pp.293-304
    • /
    • 2014
  • 우울감과 불안감은 새로운 환경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정서경험이며, 이것이 원인이 되어 인지장애, 정서장애, 행동장애를 야기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요인은 학업에 대한 집중력을 저하시키고 폭력성을 증가시켜 개인과 사회에 심각한 손실을 끼친다. 특히 아동들의 정서적 발달과정에서 정신건강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부모나 집단으로 부터의 학대나 피해는 우울감과 불안감을 야기해 개인의 정상적인 성장과정에 걸림돌이 되고 있고, 공격적인 성향이 증가되어 비행으로 발전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아동들의 성장과정에서 부모나 집단으로 부터의 폭력이 얼마나 심각하게 아동정서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 : 자기통제 및 감정조절의 역할 (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 The Role of Self-control and Emotion Regulation)

  • 문경숙
    • 아동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285-299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self-control and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KYPS) was used as sample data with a total of 3121 $11^{th}$ grade students involved in this stud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applied to test the moderation model following Baron & Kenny's (1986) model. Results revealed that self-control (for male adolescents) and emotion regulation (for female adolescents) played the role of moder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problems. Academic stress prov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 PDF

0-3세 영유아의 정신건강 및 발달장애 조기진단을 위한 척도제작 연구 (Development of a Scale for Identification of Mental Health and Developmental Disorders in Newborn- to Three-Year-Old Children)

  • 장미경
    • 아동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7-59
    • /
    • 2005
  • The Early Life Problems Scale consisting of 5-point rating for each item was prepared from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of 163 items with two sub scale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Diagnostic Classification: 0-3. Respondents were 361 parents with newborn to 3-year-old children (197 boys and 164 girls). Hypothetical constructs of mental and developmental problems were ident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ing 22 factors explained 58.5% and 72.9% of the common variance for scales I and II, respectively. The rotation procedure yielded 134 items of which 118 had factor loadings of more than .30. Face validity was obtained on the basis of 18 items. The coefficients of correlation between and within factors suggest that there are interrelationships. The reliability of total scales by Cronbach's Alpha was relatively high.

  • PDF

우리나라 다문화청소년들의 폭력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in Korean Multicultural Youth)

  • 박지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51-5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다문화청소년의 폭력 피해경험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정신건강증진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18년도 청소년건강행태조사결과를 기초자료로 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며, 우리나라 다문화청소년 8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25 ver. SPSS를 이용하였으며 복합표본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정신건강 특성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폭력피해경험, 성별, 주관적 건강인지이며, 폭력피해 경험이 있고, 여학생이며 주관적 건강인지가 나쁠수록 슬픔, 절망감 경험, 자살사고, 자살계획, 자살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차자료 분석연구로 폭력피해와 정신건강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으나 전국적 규모의 청소년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연구결과의 대표성을 가지며,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청소년의 컴퓨터 및 인터넷 이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양육방식과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Digital Technologies on Adolescent Mental Health: The Role of Parenting Style and Peer Attachment)

  • 박재영;한치훈;오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1-13
    • /
    • 2019
  •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가 다수 존재한다. 하지만, 대다수가 인터넷 사용시간에 초점을 맞춘 횡단면 분석이며, 정신건강의 단편적인 측면, 즉, 우울만 고려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컴퓨터 및 인터넷 이용행태가 청소년 정신건강의 다양한 측면 (주의산만, 공격성,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영향이 양육방식과 또래애착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한국아동 청소년패널데이터의 중학교 1학년 패널 6차와 7차 자료를 활용하여 종단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 목적의 컴퓨터 및 인터넷 사용은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컴퓨터 게임과 소셜 미디어 이용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학습이 우울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부모의 애정을 낮게 느끼는 경우 영향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한편, 소셜 미디어의 부정적인 영향은 부모의 애정과 또래애착에 의해 완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컴퓨터 및 인터넷 이용의 양면성을 제시하며,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와 정신건강: 소득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Economic Activity Status and Mental Health among Middle and Older Adults: The mediating effects of income level and satisfaction in family relationship)

  • 윤지은;전혜정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743-759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취업과 은퇴)가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경제활동상태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득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이론적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령화연구패널(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자료 중 과거 노동경험이 없는 사람과 구직자를 제외한 취업자와 은퇴자 중, 현재 배우자와 자녀가 모두 있는 45세 이상의 중고령자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경제활동상태(취업, 은퇴), 소득수준, 가족관계만족도(부부관계만족도, 자녀관계만족도), 정신건강(행복감, 우울감)을 살펴본 결과, 취업상태에 있는 중고령자의 비율이 은퇴상태에 있는 비율보다 높았고, 부부관계만족도와 자녀관계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의 경우 행복감은 높은 편이며 우울감은 낮은 편이었다.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를 분석한 결과, 경제활동상태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과 동시에, 소득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를 매개로하여 정신건강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업상태는 소득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 수준을 높이고, 정신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은퇴상태는 소득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의 수준을 낮추고,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을 다룬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재해 피해 아동의 정신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유류유출 피해 지역 아동을 중심으로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on mental health problems in children dealing with trauma: Focused on community district victimized by oil spill)

  • 손정남;이용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6-65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a victimized community district and to determine if the program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 depression and state anxiety.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for the study. The participants, 3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rom grades 4, 5, 6 and each student was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16) or control (16)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as used as the experimental treatment from April 9 to May 28, 2009.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tervention 8 times.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ANCOVA with SPSS 17.0.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the level of mental health problems of children in victimized district.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in order to identify the continuous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