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School Life Happiness, mediated by Childre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Mental Health -Multi-Group Analysis on single-parent and two-parent famillies-

부모-자녀관계가 아동의 대인관계 및 정신건강을 매개로 학교생활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와 양부모의 다집단 분석-

  • 김현숙 (원광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7.07
  • Accepted : 2016.09.13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s of childre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mental heal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happines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single-parent and two-parent famili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13(second-wave) year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This study selected 6,643 elementary school 6th-grade students(756 from single-parent families and 5,887 from two-parent families). Data were examin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using AMOS 18.0, and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using the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ingle-parent children reported lower levels of interpersonal relations, mental health, and school life happiness than the two-parent children.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mental health did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happines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for total effect, the variable that most influenced school life happiness of children was interpersonal relations. Fourth, multi-group analysi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ingle- and two-parent children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본 연구는 부모-자녀관계와 학교생활 행복의 관계에서 자녀의 대인관계와 정신건강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이러한 구조모형 속에서 한부모 자녀와 양부모 자녀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자료(2차년)를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6,643명(한부모 756명, 양부모 5,887명)이다. 연구방법은 AMOS 18.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자녀는 양부모 자녀보다 대인관계, 정신건강, 학교생활 행복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관계와 학교생활 행복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와 정신건강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총효과를 통해 아동의 학교생활 행복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대인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부모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연구모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