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동관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4초

아동관을 통해 본 아동복 변화에 관한 연구 - 조선후기부터 현재까지 -

  • 강순제;이선민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18
    • /
    • 2003
  • 본 연구는 조선후기부터 현재까지의 아동복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있어서 시대에 따른 사회적 배경과 함께 아동의 사회적 위치를 그 당시 교육과 양육을 통하여 살펴보고, 각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아동관을 당시의 아동복과 관련지어 특성과 의미를 분석 한 것이다. 연구자가 아동관을 아동복의 변화와 관련짓게 된 이유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아동의 사회적 위치와 아동에 대한 관심의 정도가 변하였고, 이는 곧 아동복의 변천과정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 PDF

어머니의 현대적 양육관과 아동의 행동문제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al Modernity and Children's Misbehavior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 김혜순;강기숙;윤영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47-16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가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고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아동관련 변인으로 아동의 행동문제를 분석하고자 하며, 또한 어머니의 현대적 양육관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어머니의 현대적 양육관, 아동의 행동문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서 아동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이들 변인 중 아동의 행동문제에서만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여아들보다 남아들에게서 과잉활동을 보이는 행동문제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현대적 양육관이 높았고, 어머니의 현대적 양육관이 높을수록 아동에 대한 양육스트레스를 덜 지각하였으며 아동의 과잉활동이 많을수록 양육스트레스를 더 많이 지각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아동의 행동문제였다.

  • PDF

아동간호사의 말초정맥관 관련 교육 및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on education and nursing performance related to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ization among pediatric nurses)

  • 김정화;정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21-329
    • /
    • 2019
  • 본 연구는 아동간호사의 말초정맥관 관련 간호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125명의 아동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최희강 외(2016)의 아동의 말초정맥주사관리 프로토콜과 간호교육평가원의 핵심 기본간호술 중 정맥주사프로토콜의 일부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SPSS 21.0으로 분석하였다. 아동간호사의 말초정맥관 관련 교육수행이 가장 낮았고, 부작용관리수행이 가장 높았다. 일반적특성에 따른 간호수행 하위영역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과 간호수행 간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r=.486, p<.001),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beta}=.472$), 근무부서(${\beta}=.216$) 및 결혼상태(${\beta}=.169$)이었다(adj $R^2=0.314$, p<.001). 본 연구결과는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반복 연구 후 아동간호사의 말초정맥관 관리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지역사회 복지관 건립에 대하여

  • Frrarey, Melvin-E.
    • 건축사
    • /
    • 4호통권64호
    • /
    • pp.32-37
    • /
    • 1974
  • 지역사회개발아동복리재단은 비영리, 비정치, 비종파적인 국제민간 복지단체로서 한국동란 말기(1953년)부터 유엔기관 및 정부기관과 발맞추어 피난민과 미망인, 불우 아동들을 도와 주는 사업을 시작한 이래 500만불 이상의 원조금으로 10,000명 이상의 아동들의 학교 교육과 6,000건 이상의 가정 및 부락의 자조개발 사업을 지원하였다.

  • PDF

사회복지관 '공부방'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독서토론활동 효과 검증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Reading & Discussion Activities on Children's Self-Esteem in Social Welfare Center Named 'Gongbubang')

  • 김지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1-4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관 '공부방' 아동을 대상으로 독서토론활동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효과적인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독서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한 선행연구들을 참고로 본 연구목적과 연구대상에 적합하도록 독서토론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경남 'ㅈ'시에 위치한 종합사회복지관 '해담공부방' 아동 21명 중 12명(남학생 4명, 여학생 8명)을 실험집단으로, 9명(남학생 5명, 여학생 4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2009년 9월 23일부터 2009년 10월 15일까지 4주간, 주 2회 총 8회로 한 회기 당 50-55분씩 독서토론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활용한 검사도구는 윤향미(2008)가 사용한 자아존중감 검사도구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독서토론 활동이 사회복지관 '공부방' 아동의 '일반적 자아', '사회적 자아', '학업적 자아'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독서토론활동이 사회복지관 '공부방' 남학생의 '일반적 자아', '학업적 자아'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독서토론활동이 사회복지관 '공부방' 여학생의 '사회적 자아', '학업적 자아'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독서토론활동이 사회복지관 '공부방'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독서토론활동이 사회복지관 '공부방'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조선 후기 풍속화를 통해 본 아동인식 (The Perception of Children in Folk Paintings of the Late Chosun Period)

  • 정진;백혜리
    • 아동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9-124
    • /
    • 2001
  • This study of 54 folk paintings of the late chosen period analyzed the perception of children of that period. Three types of children's activities were identified: children playing, children working hard, and children studying hard. Only boys participated in these activities along with their parents or grandparents: girls were relegated to the background, along the fence. Conclusions were that people recognized play as a natural part of childhood. children's lives were defined by social status: children of the yangban (upper) class had to study hard for their family's honor while children of the lower classes had to labor for their family's livelihood, children were recognized as members of a family and a community. Boys were considered important because they were heirs to the family fortune: girls were to be supportive of men and family.

  • PDF

초등학생 대상의 건강 효능감과 지식을 중심으로 한 심혈관 건강증진 중재 효과 (Intervention Effect on Health Efficacy and Knowledge in Cardiovascular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Children)

  • Tak, Young-Ran;Yun, E-Hwa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97-113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 대상의 건강 효능감과 지식을 중심으로 한 심혈관 건강증진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반복측정 설계를 적용한 단일군 사전사후 연구 설계로 219명의 초등학생들 대상으로 하고 있다. 심혈관 건강증진 중재는 학교 수업을 기반으로 하는 주1회, 4주 교육으로 구성된 1차 중재와 부모에게 1차 중재 내용을 가정통신문의 형태로 전달하여 학생들의 건강 생활습관 유지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을 강조하는 2차 중재로 구성되어 있다. 건강 효능감, 지식,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모니터링에 대해 중재 전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1차 중재 및 2차 중재 후 각각 실시하였다. 결과: 정신 건강 자아 효능감은 조사 시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F = 32.88, p < 0.0001). 1차 및 2차 중재 후 신체 건강 자아 효능감의 경우 사전 조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F = 50.51, p < 0.0001), 부모 중재 기간 동안에는 건강 자아 효능감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지식수준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F =10.23, p < 0.0001), 부모 중재 후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전반적인 자아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 모니터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기반의 심혈관 건강 증진 프로그램이 건강 자아 효능감과 지식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이라는 기존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 외에 학령기 아동의 건강 생활 습관 유도를 목적으로 건강 자아 효능감과 지식수준 향상을 위한 중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부모의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근대화시기 주거공간을 통해 본 아동관과 아동공간의 고찰 - 1920년대~1960년대까지 - (Attitudes toward Children and Spaces for Children During Korea's Modernization Period as Explored through Housing Cultures and Floor Plans : From the 1920s to the 1960s.)

  • 은난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5호
    • /
    • pp.63-7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titudes toward children and spaces provided for them. by analyzing people's daily lives in housing spaces and architects' floor plans between the 1920s and the 1960s. Different kinds of data were obtained from a variety of early literature, research reports, newspaper articles, historical documents, and magazines from the period.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efore modernization in Korea, children had been regarded as immature persons. Confucian ideas of children viewed them as 'small adults' or 'immature adults.' Thus spaces for children's daily lives were neither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the adults' nor deemed important. However, since the Western invasions and colonization by Japan, a remarkable change in the attitudes toward children took place. Children began to be considered a hope for the future as well as members of modem families.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the new word, 'eorini (children),' by Mr. Bang Jeonghwan, brought about a significant change in social consciousness of children. 2. The appearance of 'adongshil (children's room)' on architects' floor plans, which was a result of the social critique against androcentrism during the l930s and 1940s, was highly meaningful. The new floor plans not only emphasized rationalization of the space but also upgraded the children's status in the family. 3. Since the liberation (1945), children's space was differentiated from parental spare by the introduction of private rooms and shared spaces. The privacy of each generation was expressed by the division, and the generations were considered equal in this space distribution. In conclusion, the appearance of children's rooms required conflict-laden changes of social ideals and of the family system. It also was a symbol of modernization.

노인에 의한 교육프로그램의 세대통합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the Education by the Elderly on the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 권중돈
    • 한국노년학
    • /
    • 제25권2호
    • /
    • pp.15-33
    • /
    • 2005
  • 본 연구는 6개 노인복지관과 1개 사회복지관에서 3년간 실시한 '노인에 의한 교육프로그램'인 '』3세대 통합을 위한 한세대 만들기 프로그램'이 아동과 노인 세대의 상대 세대에 대한 태도와 친밀감 수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하여 세대통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참여자 중 교육강사로 활동한 노인 223명, 학습자로 참여한 유아와 아동 1,687명의 상대 세대에 대한 태도와 친밀감 수준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사전-사후조사하여 그 효과성을 평가하였으며, 노인, 아동, 부모, 교육기관의 장 각각 14명에 대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여 질적 평가를 병행하였다. 그 결과 노인에 의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과 노인 세대 모두 프로그램 참여 이전에 비하여 상대 세대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두 세대 간에 친밀감 수준이 의미 있는 정도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전통학습프로그램을 지도한 노인과 세대공동활동에 참여한 아동에게서 프로그램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볼 때, 우리 사회의 세대단절현상을 완화하고 세대간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노인에 의한 교육프로그램과 같은 보다 다양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기부터 지속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