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쌀겨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8초

생물제제(BCA) 후보균주인 Streptomyces sp. A020645 의 대량 균체생산 및 항더뎅이병 활성증진을 위한 고체배지 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Medium Ingredient Composition for Enhancing Biomass Productionand Anti-potato Common Scab Activity of Streptomyces sp. A020645 as a BCA Candidate)

  • 이향범;노효영;박동진;이소금;고영환;고정삼;김창진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66-71
    • /
    • 2005
  • 본 연구는 감자 더뎅이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Streptomyces sp. A020645 균주를 대상으로 최적의 고체 배양 및 항더뎅이병 활성증진 배지조성 조건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배지의 조성을 보면 밀기울, 쌀겨, 오트밀, 대두박을 기본 성분으로, 그리고 $KH_2PO_4$, 포도당, 당밀을 첨가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포자생성은 오트밀배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glucose 0.1~0.01%, 당밀 1.1~0.01% 첨가배지에서 포자생성이 매우 양호하였다 그 외에도 $KH_2PO_4$ 2%를 첨가한 경우와 포도당과 당밀의 농도를 달리하였을 경우도 양호한 균체생성을 확인하였다. Streptomyces sp. A020645 균주의 배지소성별 항더뎅이병원균에 대한 활성을 조사한 결과 오트밀 및 쌀겨 배지를 주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glucose 0.1~0.01%, 당밀 0.1% 첨가 조건에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생물제제 제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쌀겨오일의 안티폴루션 화장품 소재로써의 응용 (Application of Oryza sativa (Rice) Bran Oil as an Anti-pollution Cosmetic Material)

  • 강해란;정소영;허효진;차병선;;이소민;여혜림;유경완;곽준수;곽병문;이미기;빈범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37-245
    • /
    • 2021
  •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일반적으로 사람 머리카락의 두께에 비하여 각각 1/6 ~ 1/7, 1/20 ~ 1/30 정도로 매우 작은 부유성 먼지를 뜻하며, 다양한 종류의 중금속 이온이 내포되어 있다. 호흡뿐 아니라 피부의 모공 틈새를 통해서 유입된 미세먼지는 체내 조직과 피부 건강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을 막거나 깨끗이 씻어내어 제거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Oryza sativa (Rice) bran oil (OSBO, 쌀겨오일)을 이용하면 중금속 이온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독성 실험을 통해 세포 생존율이 곡물 유래 성분과 비교했을 때에도 월등히 높아 외부 자극원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OL1A1 mRNA의 발현량이 높아짐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미세먼지 속 중금속 이온에 의해 손실된 수분으로 유발될 수 있는 주름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중금속 제거를 위한 워시-오프 제형의 OSBO 함유 화장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CODEX의 쌀과 보리에 대한 농약 가공계수 고찰 (A review on pesticide processing factors during processing of rice and barley based on CODEX)

  • 김정아;임무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3호
    • /
    • pp.219-22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6년까지 JMPR보고서 중 쌀과 보리의 농약 가공계수 자료를 고찰하였다. 쌀은 정조를 현미, 백미, 왕겨, 쌀겨 및 쌀밥으로 가공할 때 17종 농약의 가공계수를 비교하였다. 17종 중 acephate, methamidophos, glufosinate, quinclorac과 sulfoxaflor 5종 농약을 제외한 12종은 정조를 현미로 가공할 때 대부분의 농약이 감소하였고, 현미에서 백미로 가공할 때 농약이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도정과정 중 발생된 왕겨와 쌀겨는 농약이 농축되었다. Acephate 등 5종 농약은 침투성 농약으로 농약이 식품 내부로 침투되어 도정공정 중에 많은 양이 제거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미에 잔류된 농약은 물과 함께 가열하여 쌀밥으로 가공한 후 대부분 제거되어 농약 성분이 미량 잔류되었다. 보리는 통보리, 정맥, 분말, short, 맥아, 맥주, 겉껍질 및 겨로 가공 중 23종 농약의 가공계수를 비교하였다. 침투성 농약인 ethephon, pyraclostrobin, penthiopyrad, sulfoxaflor 4종을 제외한 농약은 통보리를 탈피하여 정맥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농약 성분이 감소하였다. 정맥을 침지시켜 만든 맥아의 경우 농약성분이 농축되었으나, 맥주로 가공할 경우에는 대부분 분해되어 미량의 농약만 잔류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곡에 있어서 ^{14}C$-BHC 잔류분의 행동 (Behavior of ^{14}C$--BHC Residues in Rice Grain)

  • Su-Rae Lee;Yong-Hwa Ki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221-228
    • /
    • 1981
  • 방사성 표식화합물인 ${\gamma}$-(U-$^{14}$ C)-BHC를 폿트 재배한 수도에 시용한 후 식물체에서의 분포 및 도정, 착유 과정중의 행방을 추적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4}$ C-방사능은 식물체에 흡수되어 각부위에 딘리 분포되었고 볏짚과 곡립에 이행된 방사능은 2.8%이었으며 그중 9.4%만이 현미에 이행되었다. 현미로 이행된 $^{14}$ C-방사능은 도정과정에서 쌀겨 : 백미에 12:88의 비율로. 용매에 의한 착유과정에서 기름 : 착유박에 37:63의 비율로 분배되었다. 수도체로 이행된 $^{14}$ C-잔류분은 모체인 r-BHC와 대사산물인 pentachlorocyclohexene, trichloro-benzene 및 친수성 분해산물임이 밝혀졌고 이들 성분의 비율은 볏짚과 현미에서 각각 달리 나타났다.

  • PDF

메틸렌블루 제거 시 활성탄과 바이오차(대두줄기와 쌀겨)의 흡착성능 비교 (Adsorption of Methylene Blue by Soybean Stover and Rice Hull Derived Biochars Compared to that by Activated Carbon)

  • 이기봉;김현주;박수경;옥용식;안종화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1-29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use of soybean stover (SS) (0.1-0.5 g/100 mL)and rice hull (RH) (1.5-3.5 g/100 mL) derived biochars for removing methylene blue (100 mg/L) from wastewater compared to activated carbon (AC) (0.1-0.5 g/100 mL). The adsorption equilibrium data were best represented by Langmuir adsorption isotherm. The calculated maximum adsorption capacity was 71.42 mg/g for AC, 30.30 mg/g for SS, and 4.76 mg/g for RH. The adsorption kinetics was found to follow the pseudo-second order kinetics model. The rate constant was 0.0020-0.0065 g/mg.min for AC, 0.0069-0.5787 g/mg.min for SS, and 0.1370-0.3060 for RH. AC and SS biochars showed considerable potential for adsorption.

한국산 식물성(植物性) 기름 중 유기염소계(有機墮素系) 살충제(殺童劑)의 잔류량(殘留量) (Occurrence of Organochlorine Insecticides in Vegetable Oils Produced in Korea)

  • 이서래;강순영;김용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6-218
    • /
    • 1980
  • 국내산 식물성(植物性) 기름 중 유기염소계 살초제(殺楚劑)의 잔류량(殘留量)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 주요도시에서 판매되는 1976년산 평지씨기름, 쌀겨기름, 참기름, 들기름 및 옥수수기름 43개 시료를 수집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수준(殘留水準)은 농약의 성분, 기름의 종류 및 생산지역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각 잔류성분(殘留成分)의 전체기름에 대한 평균치는 total BHC 0.010 ppm, heptachlor 0.008 ppm, heptachlor epoxide 0.004ppm, aldrin <0.001 ppm, dieldrin 0.006 ppm, endrin 0.008 ppm, DDT 0.028 ppm이었다.

  • PDF

Probiotics용 복합효소 분비 Bacillus sp.의 분리 및 원료사료를 이용한 균주 생산을 위한 배지 조건의 최적화 (Isolation of Bacillus sp. Producing Multi-enzyme and Optimization of Medium Conditions for Its Production Using Feedstuffs for Probiotics)

  • 양시용;송민동;김언현;김창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0-114
    • /
    • 2001
  • 가축 사료첨가용 probiotics용 균주를 얻기 위해 특히 내열성이 높아 가공사료에 적합한 Bacillus sp.를 위주로 하여 가축에게 유용한 효소인 phytase를 비롯하여 protease, cellulase, xylanase, amylase의 활성을 모두 나타내는 4-3 균주를 얻어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밝혀졌으며, 이를 B. subtilis 4-3으로 명명하였다. 본 균주를 원료사료에 순수배양하여 사료의 항영양인자인 phytic acid 분해율을 검토한 결과 대두박 및 쌀겨에 있어서는 phytic acid 분해율이 낮았으나, 밀기울의 경우 80.63%로 상대적으로 높은 phytic acid 분해율을 나타내었다. 원료 사료를 이용한 균주의 생산 조건은 대두박 1%(w/v)와 당밀 2%(w/v)가 가장 적합한 균주 생산을 위한 배지조성으로 검토되었다.

  • PDF

발효쌀겨의 첨가에 따른 식빵 반죽의 물리적 특성 (Effect of Fermented Rice Bran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ite Bread Dough)

  • 박현실;한기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2-90
    • /
    • 2010
  • In this study,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s blended with 5% to 20% fermented rice bran (FRB) were investigated using farinographs, amylographs, extensographs, and SEM. In the farinograph analysis, the water absorption decreased and the replacement ratio of FRB increased over the time of development of the dough. The stability time of the dough was shortened, and the degree of softening decreased with added volume of FRB. The amylograph analysis showed that the temperature at the beginning of gelatinization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increasing replacement ratio of FRB, but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RB-added groups and control group. The extensograph analysis showed that when the replacement ratio of FRB was over 10%, the extension of the dough decreased while the resistance was increased. In the SEM analysis, the added dough with less than 10% FRB had similar characteristics in gluten matrix and gas bubbles to those of the control of wheat flour alone. It was concluded that an added FRB volume of below 10% is most suitable for bread making.

비늘버섯속균(Pholiota sp.)의 특징과 자실체 형성 (The Fruit-body Formation and Properties of Pholiota sp.)

  • 성재모;이재근;박동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194-199
    • /
    • 1998
  • 본 실험에서 공시균주로 사용된 비늘버섯속균은 1997년도 8월초부터 10월말까지 강원도내의 삼림(삼악산, 오대산, 장원대학 연습림)에서 채집된 것으로서 갓의 지름이 $3{\sim}8\;cm$로 편평형이며 갓표면은 습하면 점성이 있고 황갈색이며 주름살은 완전 붙은형이며 약간 빽빽하고 처음에는 황백색이나 차차 갈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식용 가능한 비늘버섯속균(Pholiota sp.)을 이용하여 자실체 생산에 관한 연구를 한 결과 공시균주인 검은비늘버섯(Pholiota adiposa)의 균사생육에 적합한 온도는 $25{\sim}30^{\circ}C$로, 자실체 형성에 적합한 온도는 $15{\pm}1^{\circ}C$로 조사되었다. 농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산업용 액체배지의 탄소원으로는 황백당(brown sugar)을 사용하였으며, 질소원으로는 대두분(soybean flour)을 사용하였다. 본 균의 인공자실체는 포플러 톱밥과 쌀겨를 4:1로 혼합한 병재배를 통해 형성되었으며 액체배양장치로는 배양액량이 8 L인 원통형의 내열성 유리병을 선발하여 이용하였다.

  • PDF

계분, 대두박, 쌀겨를 이용한 유기 액비의 제조 특성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with Poultry Manure, Soybean Meal, and Rice Bran)

  • 이광재;전종옥;박재호;남상영;김태중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77-587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with poultry manure, soybean meal, and rice bran at plastic house in 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Treatment was given 3 treatments; poultry manure+soybean meal (PM+SM), poultry manure+rice bran (PM+RB), and soybean meal+rice bran (SM+RB). The obtained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H in liquid fertilizer was consistently increased in PM+SM treatment, and was increased after decreased at early season in PM+RB and SM+RB treatments. The electriacl conductivity(EC) in liquid fertilizer was rapidly increased from $2^{nd}$ weeks to $4^{th}$ weeks after fermentation in PM+SM and PM+RB treatments, and was rapidly increased from $4^{th}$ weeks to 6th weeks after fermentation in SM+RB treatment. The amount of $H_2S$ gas occurrence was the highest as $1,200\;mg{\cdot}kg^{-1}$ in early season, and was the lowest as $50\;mg{\cdot}kg^{-1}$ at $12^{th}$ weeks after fermentation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The temperature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was stabilizing in $4^{th}$ weeks after fermentation. The yield of well of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fermentation periods. It was not change from $4^{th}$ weeks after fermentation in content of calcium, magnesium and sodium in organic liquid fertiliz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