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싱글여성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1초

30-40대 싱글여성이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분석 - 인구교육의 시사점 도출을 위하여 - (Analysis of the reasons why single women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choose not to marry: - implications for population education -)

  • 왕석순;전주람;류경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5-51
    • /
    • 2015
  • 본 연구는 30-40대 싱글여성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결혼을 선택하지 않는 이유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 거주하는 싱글여성 18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들은 면담의 축어록을 통해 참여자들이 결혼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라고 언급한 진술문들만을 발췌하여 분석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은 주제별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30-40대 싱글여성들이 결혼을 선택하지 않는 이유로는 '나의 이야기', '가족 이야기', '주변 이야기' 3개의 주제로 나뉘었다. 나의 이야기로는 '통하지 않는 느낌', '내 기준에 맞는 짝이 안 보이네', '나만의 특성', '누구보다 날 사랑해',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이라는 5개의 소주제로 분석되었다. 가족이야기에서는 '지긋지긋 우리 집', '끈끈한 가족관계', '편안한 일상' 이라는 3개의 소주제를, 주변이야기에서는 '친구들의 힘겨운 삶', '정서적 울타리', '변화하는 사회분위기'로 총 11개의 하위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30-40대 싱글여성들이 결혼을 선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였고, 인구교육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하였다.

  • PDF

싱글여성의 원가족과 사회적 관계의 경험 분석 - 인구교육의 시사점 도출을 위하여 - (Thematic Analysis of Original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 for Single Women - Implications for Population Education -)

  • 왕석순;전주람;류경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1-92
    • /
    • 2017
  • 본 연구는 30-40대 싱글여성의 원가족 및 사회적 관계의 경험을 심층면접을 통해 분석하였다. 서울경기,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 거주하는 싱글여성 18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들은 면담의 축어록을 통해 참여자들의 원가족과 사회적 관계에서의 경험과 관련된 진술문만을 발췌하여 분석하였고, 수집한 자료들은 주제별 분석법을 적용하여, 면접 내용의 부호화 과정, 해체화 과정, 재구성 과정의 3단계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가족 애착', '특별한 사람들', '소원한 친인척 관계', '작은 사회생활', '만남의 상실', '무엇보다 자유를 찾아' 라는 6가지 대주제를 찾을 수 있었다. '가족 애착'이라는 대주제에서는 "돌보아지는 성인아기, 싱글생활에 대한 지지, 끈끈한 가족관계"의 3개 중주제를 찾았다. '특별한 사람들'이라는 대주제에서는 "엄마 사랑, 친구같은 언니, 사랑스러운 조카"의 3개 중주제를 찾았고, '소원한 친인척관계'는 하나의 단일 중범주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작은 사회생활'에서는 "직장에서의 인연, 지인들과의 담소, 이성과 거리두기, 싱글은 싱글끼리"의 4개 중주제를, '만남의 상실'이라는 대주제에서는 "만남보다 홀로, 귀차니즘, 벅찬 일상"의 3개 중주제를, '무엇보다 자유를 찾아'라는 대주제에서는 "애착 주의, 얽힘 주의"의 2개 중주제를 찾아서, 총 16개의 하위 범주를 찾았다. 이와 같은 주제 분석의 결과는 싱글 여성들이 나타내는 원가족과 사회적 관계에서의 독특한 경험의 특성으로 볼 수 있어서, 이같은 결과가 싱글 여성의 삶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켰다고 볼 수 있다. 싱글여성들이 보이는 끈끈한 가족관계와 스스로 선택한 좁은 사회적 관계 형성의 특성을 고려하면, 생애설계교육에서는 부모와 자녀간의 건강한 애착 형성을 위한 교육과 다양한 사람들과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중요하게 다루어져할 것으로 보인다. 즉 결혼과 가족생활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도록 지원하는 인구교육에서는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부모교육과 다양한 인간들과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교육내용이 중요한 교육내용으로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기혼자가 인식하는 30~40대 미혼 여성의 이미지 - 미혼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중심으로 - (The Images of Unmarried Single Women as seen from the Viewpoint of Married Men and Women - Focusing on Stereotypes of Unmarried Single Women -)

  • 류경희;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7-5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기혼자의 싱글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20대에서 60대의 기혼 남녀 2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접 자료를 내용 분석한 결과, 가정 대신 열정을 쏟아 부을 수 있는 돌파구를 찾는 싱글 여성, 기혼자가 누리지 못하는 자유가 있는 싱글 여성, 기혼자들과 다른 성격 특성의 싱글 여성 이라는 3개의 대주제를 찾게 되었다. 가정대신 열정을 쏟아 부을 수 있는 돌파구를 찾는 싱글 여성이라는 주제에서는 가정 대신 열정을 쏟아 부을 수 있는 돌파구-일, 가정 대신 열정을 쏟아 부을 수 있는 돌파구-자기계발이라는 2개의 소주제가, 기혼자가 누리지 못하는 자유가 있는 싱글 여성이라는 주제에서는 성에 있어서 자유롭다, 가족으로부터의 자유가 있다, 이성과의 자유로운 만남이 있다, 자신만을 위한 소비와 여가생활에서 자유롭다라는 4개의 소주제로 분류되었다. 기혼자들과 다른 성격 특성의 성글 여성이라는 주제에서는 결혼의 힘든 현실을 회피하려고 한다, 자신과 싱글 중심 세계에서 살면서 이기적이고 자기주장이 강하다, 드러내놓고 싶지 않은 마음속의 공허함, 외로움이 있다, 삶의 만족감을 찾지 못한다 등의 4개의 소주제로 분류되었다. 기혼자들의 싱글 여성에 대한 인식은 결혼이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으며 결혼을 경험한 '나와 다르다'는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즉 기혼자들은 자신이 경험한 결혼의 세계에서 싱글 여성들의 삶을 바라보고 있다.

  • PDF

30-40대 싱글여성의 일상생활(의식주, 소비 및 여가 생활)의 의미 분석 - 인구교육의 시사점 도출을 위하여 - (Thematic Analysis of Everyday Lives of Single Women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 Implications for Population Education -)

  • 왕석순;전주람;류경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7-9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30-40대 싱글여성의 의식주생활, 소비 및 여가 생활과 같은 일상생활에서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신, 관계, 생존, 미래 준비, 자유와 그 이면과 같이 5개의 대주제를 찾을 수 있었다. '자신'이라는 대주제에서는 오직 '나'를 위해, '나'를 완성시키고 싶은, '나'만의 스타일이라는 3개의 중주제를 찾았다. '관계'라는 대주제에서는 가족과 더불어서,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서 라는 2개의 중주제를 찾았고, 가족과 더불어서 라는 중주제에서는 '가족'을 위해, 아직은 '가족'의 그늘에서 라는 2개의 소주제를 찾았다.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서 라는 중주제에서는 함께 하는 즐거움, 싱글들끼리의 편안함, 세상과의 소통 이라는 3개의 소주제를 찾았다. '생존'이라는 대주제에서는 건강, 안전, 혼자 살아내는 연습 이라는 3개의 중주제를 찾았고, '미래 준비'라는 대주제에서는 착한 소비, 노후대비 저축, 노후대비 여가 라는 3개의 중주제를, '자유와 그 이면'이라는 대주제에서는 홀로라서 자유, 자유의 그 이면들 이라는 2개의 중주제를 찾았고, 홀로라서 자유라는 중주제에서는 가족으로부터 벗어난 자유로움, 홀로이기에 나에 대한 보상 이라는 2개의 소주제를, 자유의 그 이면들이라는 중주제에서는 혼자라서 '불안' '싫음' '두려움', 외로움과 쓸쓸함 극복하기 라는 2개의 소주제를 찾았다. 이와 같이 주제를 찾는 과정을 통하여 싱글 여성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의미를 알아낼 수 있었고, 이러한 의미를 종합해 봄으로써 인구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해 내었다.

싱글 여성의 쇼핑성향과 패션지향성이 외국산 화장품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Shopping Orientation and Fashion Orientation on Imported Cosmetics Repurchase Intention of Single Women)

  • 박효원;김용숙
    • 복식
    • /
    • 제56권5호
    • /
    • pp.150-162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ty the effects of shopping orientation and fashion propensity on imported cosmetics repurchase intention of single wome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from 310 single women aged 25-3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actors of shopping orientation of single women were pleasure, ostentation, economy, individuality, convenience of location, and convenience of service. And the factors of fashion propensity were fashion interest and fashion leadership. 2. Single women with higher pleasure pursuit were younger, spent pocket money and purchased imported cosmetics more. Ostentation pursuiters had higher incomes, but economy pursuiters were younger, spent pocket money and purchased imported cosmetics less. Individuality pursuiters were older, and spent more pocket money and posessed imported cosmetics more. Convenience of location pursuiters posessed more imported cosmetics, but convenience of service pursuiters were highly educated. Single women with higher fashion interest were younger, higher income and education level, and posessed imported cosmetics more. And single women with higher fashion leadership were highly educated and purchased imported cosmetics more. 3. Imported cosmetics repurchase intention were effected by pocket money, purchasing power and amount of imported cosmetics, pleasure pursuit, fashion interest positively, but economy pursuit negatively.

독신 여성의 싱글생활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유형화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unmarried single women based on their subjective perceptions on single life)

  • 왕석순;류경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15-631
    • /
    • 2013
  • In this study, we attempt to explore various possible types of unmarried single women. Main purpose of the work is to find out possible types of unmarried single women in terms of their subjective views on single life based on Q methodology. Q methodology is a research method to study and understand people's "subjectivity" or their points of view. Here, we applied Q methodology to unmarried single women's subjective evaluation of their own lives. Thirty-one Q-questions were prepar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were offered to eighteen unmarried single women. As a result, the subjects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ive different types: (Type 1) 'I love my work but I hate pressure (for marriage) from others', (Type 2) 'I feel anxiety and stress (on marriage) but I am still waiting for a true love of mine', (Type 3) 'My life is most important and I'd rather enjoy my single life without restraint from others', (Type 4) 'I am weary of continuing my single life, and now I really want to get married and form a family', (Type 5) 'I don't feel comfortable with dating, marriage life etc, I'd rather continue my single life with less stress'.

네오 싱글(NEO SINGLE) 여성을 위한 브랜드 기획 및 상품 개발 (Brand Planning and Product Development for NEO-SINGLE Women)

  • 이연희;이지현;김영인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3호
    • /
    • pp.420-430
    • /
    • 2007
  • Noting that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of the so-called 'neo-single life style' among women these days, this research aims to make a product development for these neo-single women in this era of families of a single member by analyzing their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We payed a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ata from such sources as newspapers, magazines or the articles in the Internet. The essence of our research lies in the analysis of target market, in the suggestions in the brand planning and product development and in the designs of fashion and interior products for the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t turns out that these neo-single women enjoy a kind of multi-mixing code lifestyle rather than showing a preference for a particular brand. For this reason, we have decided to pursue a multi-concept brand fonn as a right direction for brand planning for them. Second, as for a philosophy behind the brands, we suggest a concept of 'small utopia' for neo-single women and express such as new aristocracy, happiness and pleasure. Third, we adopt 'YOU' as the name of the brand as it reflects their various life styles and characteristics. Fourth, as for the product development of F/W in 2007, we have decided on 'Minimal Natural' as it mixes up the concepts of the controlled beauty of sophistication and multi-functional elements and 'Modern Primitive' as it expresses the ethnic elements on modern images having craft factors and modern images. We have performed concrete tasks in creating images, coloring, making fabrics for each theme. Fifth, we have chosen and suggested other products that are suitable for these neo-single women who seek for multi-functional but simple kinds after surveying a wide range of products in magazines or in the Internet.

  • PDF

착용가능한 기술을 적용한 패션 가방디자인 (Fashion Bag design study with wearable technology)

  • 홍성대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7-23
    • /
    • 2012
  • IT를 접목한 스포츠 의류, M-드레스(Mobile Phone Dress), 웨어러블 컴퓨팅(Wearable Computing) 등 패션이 IT와 결합하면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패션에 사용된 IT 기술의 활용은 전원, 착용감, 세탁, 휴대성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착용가능 기술이 효과적으로 가방에 적용되어 개발된 제품을 제시한다. 사람의 감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레저 및 여행을 위한 패밀리 룩(Family Look) 성격의 가방과 20~30대 여성들의 감성을 디자인으로 자극할 수 있는 오띠 꾸뜨르(Haute Couture) 패션에 맞는 싱글 리미티드 가방 그리고 가족이 대상이 되는 패밀리 가방을 토대로 착용가능기술이 적용된 제품디자인을 제작하여 제시하며, 이로 말미암아 앞으로 변화될 패션의 변화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