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matic Analysis of Everyday Lives of Single Women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 Implications for Population Education -

30-40대 싱글여성의 일상생활(의식주, 소비 및 여가 생활)의 의미 분석 - 인구교육의 시사점 도출을 위하여 -

  • Wang, Seok Soo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JeonJu University) ;
  • Jun, Joo Ram (Dept. of School of General Education, University of Seoul) ;
  • Ryu, Kyung Hee (Dept. of Family Welfare Studie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5.11.17
  • Accepted : 2015.12.24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matically everyday lives (food, clothing, shelter, spending, and leisure) of single women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veryday lives of single women could be grouped into five main categories of themes which may be labeled as 'Self', 'Relationship', 'Survival', 'Preparation for the future', 'Freedom and hidden side of the freedom'. As for the first category of themes 'Self', three sub-themes have been found including "Only for me", "Perfection of self", "My own style". Next, as for the second category 'Relationship', two sub-themes have been found including "With her family (For her family, still under the protection of her family)", "With other people (Pleasures with people, Comfortable with single friends,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As for the third category 'Survival', three sub-themes have been found including "Health", "Safety", "Practice of living alone", As for the fourth category 'Preparation for the future', three sub-themes have been found including, 'Good spending', 'Savings for later life', 'Leisure in later life'. And finally, as for the fifth category 'Freedom and hidden side of the freedom', two sub-themes have been identified including "I am free because I'm alone (Freedom from bondage of my family, Compensation for being alone)", "Hidden side of the freedom (Fear, dislike feeling and insecurities due to being alone, Overcoming loneliness or solitude)". In all, there are eighteen sub-themes to consider.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presented some conclusions on the Everyday Lives of Single Women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We also presented som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on population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30-40대 싱글여성의 의식주생활, 소비 및 여가 생활과 같은 일상생활에서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신, 관계, 생존, 미래 준비, 자유와 그 이면과 같이 5개의 대주제를 찾을 수 있었다. '자신'이라는 대주제에서는 오직 '나'를 위해, '나'를 완성시키고 싶은, '나'만의 스타일이라는 3개의 중주제를 찾았다. '관계'라는 대주제에서는 가족과 더불어서,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서 라는 2개의 중주제를 찾았고, 가족과 더불어서 라는 중주제에서는 '가족'을 위해, 아직은 '가족'의 그늘에서 라는 2개의 소주제를 찾았다.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서 라는 중주제에서는 함께 하는 즐거움, 싱글들끼리의 편안함, 세상과의 소통 이라는 3개의 소주제를 찾았다. '생존'이라는 대주제에서는 건강, 안전, 혼자 살아내는 연습 이라는 3개의 중주제를 찾았고, '미래 준비'라는 대주제에서는 착한 소비, 노후대비 저축, 노후대비 여가 라는 3개의 중주제를, '자유와 그 이면'이라는 대주제에서는 홀로라서 자유, 자유의 그 이면들 이라는 2개의 중주제를 찾았고, 홀로라서 자유라는 중주제에서는 가족으로부터 벗어난 자유로움, 홀로이기에 나에 대한 보상 이라는 2개의 소주제를, 자유의 그 이면들이라는 중주제에서는 혼자라서 '불안' '싫음' '두려움', 외로움과 쓸쓸함 극복하기 라는 2개의 소주제를 찾았다. 이와 같이 주제를 찾는 과정을 통하여 싱글 여성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의미를 알아낼 수 있었고, 이러한 의미를 종합해 봄으로써 인구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해 내었다.

Keywords

Cited by

  1. 비영리 중고가게에서 패션제품 소비자의 구매 결정요인 vol.24, pp.2, 2016, https://doi.org/10.7741/rjcc.2016.24.2.119
  2. 대학생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 및 소비사회인식에 따른 윤리적 소비행동 vol.55, pp.1, 2015, https://doi.org/10.6115/fer.2017.003
  3. 고등학생의 협력적 소비에 대한 교육경험과 기대 혜택이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vol.55, pp.4, 2015, https://doi.org/10.6115/fer.2017.026
  4. The Effect of Self-Regulation Ability, Materialism and Altruism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in Children Consumers vol.23, pp.4, 2018, https://doi.org/10.9708/jksci.2018.23.04.167
  5. 가정교과의 소비자교육이 중학생의 소비자역량에 미치는 효과 vol.30, pp.2, 2018, https://doi.org/10.19031/jkheea.2018.06.3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