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심해역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Variation of Harbor Response due to Construction of A New Port in Youngil Bay (영일만 신항 건설에 따른 항만 정온도의 변화)

  • Lee, Hoon;Lee, Hak-Seung;Yang, Sang-Yong;Lee, Jo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4.04a
    • /
    • pp.179-186
    • /
    • 2004
  • Introduction of wave model, considered the effect of shoaling, refraction, diffraction, partial reflection, bottom friction, breaking at the coastal waters of complex bathymetry,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most coastal engineering design and disaster prevention problems. As waves move from deeper waters to shallow coastal waters, the fundamental wave parameters will change and the wave energy is redistributed along wave crests due to the depth variation, the presence of islands, coastal protection structures, irregularities of the enclosing shore boundaries, and other geological features. Moreover, waves undergo severe change inside the surf zone where wave breaking occurs and in the regions where reflected waves from coastline and structural boundaries interact with the incident waves.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mild-slope equation model in this field would help for understanding of wave transformation mechanism where many other models could not deal with up to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 a extended mild-slope equation wave model and make comparison and analysis on variation of harbor responses in the vicinities of Pohang Old Harbor and Pohang New Port, etc. due to construction of New Port in Youngil Bay. This type of trial might be a milestone for port development in macroscale, where the induced impact analysis in the existing port due to the developemnt could be easily neglected.

  • PDF

Shoaling Prediction by the Statistical Joint Distribution in the Shallow Water Region (천해역에 있어서의 결합확률분포의 천수변형에 대한 연구)

  • 권정곤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 no.1
    • /
    • pp.14-20
    • /
    • 1991
  • Accurate estimation of irregular wave transformation when the waves propagate from deep water to shallow water reg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design of coastal structures and establishing beach erosion control. In this study. the transformation of directional spectrum is tested numerically using a conservation equation for energy flux and. based upon the joint distribution of wave height. period and wave direction. shoaling effects are predicted in the shallow water region.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procedure is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field observation data.

  • PDF

Determination of Design Waver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한국 서해안에서의 설계파의 결정)

  • 김태인;청형식
    • Water for future
    • /
    • v.20 no.2
    • /
    • pp.127-138
    • /
    • 1987
  • For determination of the design wave, a method of estimating the design wind speed at sea from the wind records at the nearby weather stations on land is proposed. Along the West Coast, the design wind speed are shown to have two main directions; namely, N through W, and WSW through S. Through the analysis of weather maps, fetches for the main wind directions along the West Coast are determined. The wind speeds at sea are found to have 0.8~0.9 times the wind speed at the stations on land for U$\geq$20m/s. The West Coast may be divided into three regions for which fetches are determind uniquely. Design waves with return period of 100 years are determined by the revised S.M..B. method along the West Coast, and show the deep water significant wave heights of 4.4~8.3 meters with wave periods of 8.9~12.0 seconds.

  • PDF

A Study on the Wave Drift Damping of Moored Floating Structures in Regular Waves (계류된 부유체의 규칙파중 표류감쇠에 대한 연구)

  • Park, In K.;Choi, Hang S.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3 no.1
    • /
    • pp.40-53
    • /
    • 1996
  • In this paper, the wave drift damping is studied. An approximate method is adopted to calculate the wave drift damping for the sake of practical applications. By assuming the ship's forward speed to be low, the Green function and the velocity potential are expanded asymptotically with respect to the Brard number(${\tau}$) and terms up to the first order of ${\tau}$ are retained. Mean wave drift forces are computed straightforwardly. The wave drift damping is estimated as the change rate of the mean wave drift force with respect to the ship's speed. In order to validate the present method, Series 60(Cb=0.7) ship is exemplified for forward speed of Fn=0, 0.02 and 0.04. To predict the wave drift damping experimentally, three geosym models of the Esso-Osaka tanker are used. Also the effect of drift angle on the wave drift damping is also considered. Comparisons between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 reasonable agreements.

  • PDF

A Study on Numerical Simulation for Dynamic Analysis of Towed Low-Tension Cable with Nonuniform Characteristics (불균일 단면을 갖는 저장력 예인케이블의 동적해석을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 정동호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6 no.1
    • /
    • pp.69-76
    • /
    • 2003
  • Low-tension cables have been increasingly used in recent years due to deep-sea developments and the advent of synthetic cables. In the case of low-tension cables, large displacements may happen due to relatively small restoring forces of tension and thus the effects of fluid and geometric non-linearities and bending stiffness. A Fortran program is developed by employing a finite difference method. In the algorithm, an implicit time integration and Newton-Raphson iteration are adopted. For the calculation of huge size of matrices, block tri-diagonal matrix method is applied, which is much faster than the well-known Gauss-Jordan method in two point boundary value problems. Some case studies are carried out and the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s are compared with a in-house program of WHOI Cable with good agreements.

Directional Wave Spectrum Equations Considering Asymmetry (비대칭성을 고려한 방향 스펙트럼식)

  • Jung, Jae-Sang;Kang, Kyu-Yung;Lee, Chang-Hoon;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950-195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파랑의 방향에 따른 비대칭성을 고려한 방향 스펙트럼 식을 새로 제안하였다. 심해에서 생성된 다방향 불규칙 파랑이 등수심선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입사하는 경우, 각 방향의 파랑 성분의 굴절각의 차이에 의해 입사각에 대한 비대칭성이 발생하였다. 파랑의 굴절에 대해서는 Snell의 법칙을 이용하고 천수를 고려하여 해석적으로 계산하였으며, 이 결과와 새로 제안된 방향스펙트럼 식을 이용한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비대칭성이 강한 천해역에서는 기존의 스펙트럼식에 비해 3배 이상 정확한 값을 재현하였다.

  • PDF

Abnormally high Waves near the Sokcho Sea Area in Recent Years (최근 몇 년간 속초해역에서의 이상 고파)

  • Jeong, Weon-Mu;Ryu, Kyong-Ho;Oh,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586-591
    • /
    • 2007
  • 최근 몇 년간 속초해역에서 발생한 이상고파의 특성을 현장관측 자료를 분석하고 수치모형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2004년 이후의 현장 관측을 통해 최소한 4회 이상 파고 5.0 m를 초과하는 이상고파가 발생하였다. 특히 2006년 10월 23일 11시에는 유의파고 9.69 m에 이르는 매우 큰 파가 관측되었다. 한편 천해역 파랑추산모형 SWAN을 사용하여 속초해역의 50년 및 100년빈도 심해설계파로부터 천해설계파를 산정하여 이상고파 관측 결과와 비교하였다. 수치모형실험에 의한 50년빈도 천해설계파의 최대치는 파향이 ESE 방향일 때 4.9 m에 지나지 않아서 관측된 이상고파의 파고에 비해 현저하게 작았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수치모형을 이용한 천해설계파 산정만으로는 최근 몇 년간 수 차례 관측된 동해안에서의 이상고파를 적절하게 모의할 수 없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PDF

가덕도 주변 해역 소형기선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게류의 계절 변동

  • 허성회;안용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96-397
    • /
    • 2000
  • 게류는 절지동물문 갑각목 십각아목에 속하는 무척추동물로서 해양동식물의 사체나 데트리터스를 먹으며 해양생태계의 먹이그물에서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조간대에 서식하는 종은 육상과 조하대 사이, 하구역에 서식하는 종은 담수와 해수사이, 심해에 서식하는 종은 표층과 심층 사이의 물질과 에너지 순환을 제공한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게류에 관한 연구는 주로 일부 상업성 종류의 자원학적 연구만 이루어져 있고, 군집에 관한 연구는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게류 군집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Huh and An, 1998)이 있을 뿐 아직까지 우리나라 해역에 어떤 종이 언제 출현하는지 조차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가덕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게류 군집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A Study on Tether Cables Used for Deep Submergence Vehicles (심해 잠수정용 테더 케이블에 관한 연구)

  • H. Shin;D.S.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2 no.2
    • /
    • pp.56-67
    • /
    • 1995
  • In this paper, a ship-cable-vehicle system's static configuration is shown obtained by solving cable nonlinear statics. Eigenfrequencies of the cable were calculated by the frequency domain analysis application of the linearized cable dynamic equations. Also extreme tensions in a slack-and-snapping long vertical cable were calculated by the clip-ping-off model.

  • PDF

The Effect of the Typoon Course on the Shallow Water Wave (천해역 파랑발달에 대한 태풍경로의 영향)

  • Lee, Kyung-Seon;Kim, Jung-Tae;Ryu, Cheo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6.11a
    • /
    • pp.473-476
    • /
    • 2006
  • 천해역의 파랑발달에 대한 태풍경로의 영향력을 분석 하였다. 우리나라 남동해안에 주로 피해를 초래할 것으로 판단되는 태풍의 경로를 '남해안 상륙 후 내륙 통과'와 '대한해협통과'로 분류하고 각 경로에 따른 태풍규모와 파랑발달을 1956년 부터 2004년까지의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태풍 경로의 영향력 분석은 천해역 파랑발달의 주요외력이 지형조건에 의해 결정되므로(즉, 폐쇄해역은 태풍의 바람장이 주요외력이며, 개방해역은 심해 전달파랑과 바람장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다), 개방해역과 폐쇄해역의 경우로 나누어 수치모형실험을 통해 수행하였다. 실험조건은 태풍 "매미"의 강도와 특성 값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대상해역은 부산신항 인근해역과 원전항 인근해역을 개방형과 폐쇄형 해역으로 대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 최근 이상기후현상으로 태풍의 강도가 커지고 있음을 뒷받침 하는 근거는 찾아보기 힘들었으며, 2000년대 이후로 남해안에 상륙하는 경로'1'이 대한해협을 통과하는 경로(경로'2')보다 그 내습빈도가 커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태풍의 경로와 풍향이 같은 방향인 경로'1'일 때 에너지가 집중되어 태풍중심기압과 풍속과 파고의 증가가 함께 일어난다. 그러나 태풍의 경로와 풍속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로'2'의 경우는 에너지가 분산되므로 태풍중심기압과 풍속은 함께 증가하나 파랑에너지는 함께 발달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내습한 태풍의 강도를 경로별로 비교한 결과, 경로'1'이 경로'2'보다 큰 강도를 가지고 연악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