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층암호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1초

오차 확산법을 이용한 기밀 정보 합성법 (Embedding Secret Information into Dithered Image Using Error Diffusion)

  • 박영란;이혜주;박지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10-215
    • /
    • 1998
  • 암호 통신의 한 방법으로 표면상의 의미 있는 형태를 유지하지만 실은 그 속에 중요한 기밀 정보를 숨겨놓은 심층암호(steganography)가 주목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화상을 이용하는 화상 심층암호는 저작권 보호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농담화상을 오차 확산법을 이용하여 흑·백의 2치로 의사적으로 표시하면서 기밀 정보를 합성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한다.

  • PDF

다치 디더링 화상을 이용한 정보 은닉 기법 (Information Hiding Using Multi-Level Dithering Image)

  • 박영란;이혜란;박지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530-533
    • /
    • 2000
  • 암호 통신의 한 방법인 화상 심층암호(image steganography)는 화상 내에 기밀정보를 몰래 숨겨서 전송하는 것으로 표면상은 의미 있는 형태를 유지하지만, 실제로는 그 속에 기밀 정보를 몰래 은닉하는 형태로서 제3자는 기밀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공격의 위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디지털 화상을 이용하는 화상 심층암호는 저작권 보호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256레벨의 그레이 화상에 다치 오차확산법을 이용하여 디더링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기밀 정보를 은닉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 PDF

블록 암호를 이용한 안전한 심층 암호 (Secure Steganography Using a Block Cipher)

  • 유정재;김종현;박종혁;양우일;이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5
    • /
    • 2003
  • Cachi $n^{[1]}$ 으로부터 시작된 심층 암호의 안전성에 대한 정의는 Katzenbeisse $r^{[2]}$가 심층 암호의 공격 모델을 기반으로 한 안전성을 논의함으로써 보다 구체화되었으며, 이 후 Hoppe $r^{[3]}$가 계산 이론적인 관점에서 일방향 함수가 존재한다면 안전한 심층 암호도 존재함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실제 구현함에 있어 지금까지의 심층 암호 알고리즘은 앞서 정의된 이론적인 안전성을 고려하지 않고, 데이터의 최하위 비트와 비밀 메시지를 치환해 왔다. 비록 데이터의 최하위 비트가 인간의 감각으로는 인지할 수 없으며 랜덤해 보이기까지 하지만 Westfel$d^{[4]}$ 등이 제안한 시각 및 통계 공격에 의하여 비밀 메시지의 삽입을 탐지해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블록 암호의 출력이 랜덤한 점을 이용하여 원본을 최소한으로 변형시키지만 충분한 양의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을 제안하려고 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단순 최하위 비트 치환 심층 암호와 대등한 데이터 삽입량를 가지면서도 시각 및 통계 공격에 강인하였다.

심층암호 기술을 이용한 안전한 콘텐츠 유통과 응용 (Secure Contents Distribution Scheme Using Steganographic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s)

  • 이형우;한군희;전병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83-9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심층암호 기반 정보은닉 기술을 디지털 콘텐츠 보호 기술에 적용하였다.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안전한 유통을 위해 워터마킹, 핑거프린팅 기술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개 검증 가능한 전자서명 기법을 콘텐츠 유통에 적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서명하고, 만일 저작권에 대한 판별 과정이 필요할 경우 이를 공개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 PDF

비밀 양자화 범위를 이용한 화상 심층암호 응용 (Applications of Image Steganography Using Secret Quantization Ranges)

  • 신상욱;박영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79-388
    • /
    • 2005
  • 화상 심층암호(image steganography)는 비밀 정보를 화상에 몰래 숨겨 송/수신자간에 주고받는 비밀 통신의 한 방법이다. 송신자는 특별한 의미를 갖지 않는 커버 화상(cover image)에 비밀 정보를 삽입한 스테고 화상을 수신자에게 전달한다. 수신자는 송신자에게 받은 스테고 화상(stego image)에서 숨겨진 비밀 정보를 추출하여 그 개용을 확인한다. 본 논문에서는 알고리즘이 간단하면서, 심층암호의 필수 조건인 비밀 정보의 삽입용량, 스테고 화상의 비가시성, 그리고 송i수신자간의 기밀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기법들을 제안한다 제안 방식은 커버 화상의 연속 두 화소간의 차분 값과 양자화 범위를 이용하여 비밀 정보를 은닉시킨다. 특별히, 스테고 화상의 비가시성을 위해 커버 화상의 두 화소간의 차분 값에 따라 삽입 비트수를 다르게 한다. 또한, 기밀성을 위해서는 비밀 양자화 범위를 사용하여 제3자에 의해 비밀 정보가 해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안 방식은 기존의 방식보다 화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범위의 상한값을 이용하였고, 삽입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특정 화소에 대해서는 삽입 처리를 중복으로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방식과 제안 방식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 제안 방식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카툰 화상을 이용한 심층암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eganography Using Cartoon Image)

  • 박영란;박지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913-921
    • /
    • 2004
  • 데이터 은닉(data hiding)의 한 분야인 심층암호(steganography)는 제3자가 기밀정보의 삽입여부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디지털화된 각종 미디어에 몰래 숨겨서 송/수신자간에 비밀통신을 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흑백으로만 구성되는 스캔된 텍스트 화상나 카툰 화상 등에 시각적으로 인지되지 않도록 기밀정보를 숨기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진 카툰 화상을 크기의 블록으로 분할한 후, 그 블록의 가운데 픽셀을 둘러싼 8-이웃 픽셀의 연속 길이를 이용하여 기밀 데이터를 숨기는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 방식은 어떤 조건에서는 가운데 픽셀에도 데이터를 은닉시켜 기밀정보의 삽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모듈러 특성을 이용한 공간영역 기반의 심층암호 (Steganographic Method on Spatial Domain Using Modular Characteristic)

  • 박영란;신상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13-119
    • /
    • 2006
  • 화상을 이용한 심층암호는 화상에 숨긴 비밀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비밀 통신의 한 방법이다. 디지털 화상에 비밀 메시지를 은닉시키기 위해서 엄폐화상은 은닉 알고리즘에 의해 변경이 되며, 그 결과 은닉화상이 생성된다. 송신자는 의미 없는 일반적인 엄폐화상에 비밀 메시지를 숨긴 은닉화상을 수신자에게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는 화상의 연속 두 화소간의 차분과 비밀 양자화 범위를 이용하여 비밀 메시지를 은닉하는 공간 영역 기반의 심층암호 기법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 방식은 삽입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모듈러 연산을 이용한다. 제안 방식은 모듈러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관련 방식[6]보다 비밀 메시지의 삽입용량을 평균 60% 정도 더 증가시킬 수 있었다.

이진영상을 위한 심층암호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eganographic Method for Binary Images)

  • 하순혜;강현호;이혜주;신상욱;박영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15-225
    • /
    • 2006
  • 흑백 두 가지의 값으로만 구성된 이진영상(만화 영상, 문서 영상 및 서명 영상 등)은 컬러 영상에 비해 적은 양의 잉여부분으로 인해 비가시적인 비밀 데이터의 삽입이 어렵다. 따라서 이진 엄폐영상을 이용한 심층암호에서는 많은 양의 비밀 데이터를 삽입하면서, 동시에 은닉영상의 비가시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장점을 보완하여 은닉영상의 열화를 최소화 하고, 동시에 충분한 용량의 비밀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 방식은 비가시적인 위치의 화소만을 변경시키며, $m{\times}n$ 크기의 한 블록에 대해서 [$log_2(mn+1)-2$] 비트의 비밀 데이터를 숨길 수 있다.

  • PDF

블록 왜곡도를 이용한 JPEG 기반의 심층암호분석 (A Steganalysis using Blockiness in JPEG images)

  • 장정아;유정재;이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9-47
    • /
    • 2004
  • JPEG 영상을 이용하여 심층암호 통신을 하는 알고리즘의 대부분은 양자화 된 DCT 계수의 최하위 비트를 치환하여 메시지를 삽입하는데, 대표적인 심층암호 알고리즘으로는 Jsteg$^{(1)}$ , JP Hide & Seek$^{(2)}$ , F5$^{(3)}$ , OutGuess$^{(4)}$ 등이 있다. Jsteg, JP Hide & Seek 는 $\chi$$^2$-테스트$^{(4)}$ 로도 비밀데이터 삽입 여부를 탐지할 수 있지만, 탐지율이 낮은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Fridrich의 블록 왜곡도 분석 기법$^{(5)}$ 을 보완하여 탐지과정을 단순화하였으며 탐지율도 기존의 방식보다 향상시켰다. 또한 Jsteg, JP Hide & Seek를 이용한 실험 결과, 데이터 삽입 여부를 100%로 탐지하였다.

DCT계수를 이용한 고속 프랙탈 압축 기법과 화상 심층암호에의 응용 (Fast Fractal Image Compression Using DCT Coefficients and Its Applications into Video Steganography)

  • 이혜주;박지환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1-22
    • /
    • 1997
  • 프랙탈 화상압축은 원화상을 일정 크기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자기 유사성(self -similarity)을 지닌 유사 영역을 탐색한다. 이 압축방식은 부가적인 코드북의 전송 이 필요하지 않아 높은 압축율을 달성하고 좋은 화질의 재생화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부호화시 유사 영역의 결정을 위한 복잡한 선형변환의 수행으로 인해 부호와 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럭의 AC(alternating current)계수들을 이용하여 선형변환의 횟수를 감소시켜 부호화 시간을 줄이는 고속 프랙탈 화상압축을 제안한다. 제안 방식은 기존의 방식과 비교하여 좋은 화질을 제공 한다. 또한, 중요 기밀 데이터를 합성하는 화상 심층암호에 응용한 프랙탈 화상 압축 응용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