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장 판막

검색결과 786건 처리시간 0.028초

비후형 심근증 환아에서 시행한 광범위 중격절제술 - 1예 보고 - (Extended Septal Myectomy for Hypertrophic Obstructive Cardiomyopathy -Report of a case-)

  • 이재항;곽재건;정의석;오세진;장형우;김웅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0호
    • /
    • pp.775-778
    • /
    • 2006
  • 비후형 심근증은 심근의 부적절한 비대로 유발되며 호흡곤란, 흉통, 실신, 그리고 급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증상은 주로 좌심실유출로의 협착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심실중격절제술이 고안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고전적인 중격절제슬은 대동맥절개술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이는 심실 중격의 중앙부위에 병변이 존재할 경우 시야 확보의 어려움과 병변으로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극히 일부분의 심실중격절제술만을 시행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좌심실 유출로의 협착 및 승모판막의 수축기전방운동 등이 완벽하게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흔하였고 이러한 경우 환자의 증상 호전과 생존기간의 연장에도 한계가 있었다. 본 증례에서는 이러한 환아에게서 좌심실 심첨부의 절개를 통해 비후된 유두근과 건삭을 포함한 광범위 중격절제술(extended septal myectomy)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환아의 증상은 호전되었으며 심초음파 및 방사선학적 소견상 특별한 문제없이 10개월째 외래 경과 관찰 중이다.

행콕 판막의 내구성 (Durability of Hancock Xenograft Valve)

  • 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6호
    • /
    • pp.980-989
    • /
    • 1989
  • The Hancock porcine xenograft valves had been us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mainly because of their antithrombogenicity despite of the predicted failure, from March 1976 to April 1984, and a total and consecutive 163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studied for late results with the special stress on the structural failure. The hospital mortality rate [within 30 days] was 6.1 %, and the 153 early survivors were followed up for a total of 822.9 patient-years [p-y][Mean * SD 5.38 * 3.02 years]. The linealized late mortality was 1.823%/p-y. Four major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Hancock valve were: 1.822% thromboembolism/p-y; 0.729 % bleeding/p-y; 0.972% endocarditis/p-y; 3.646% overall valve failure/p-y and 2.187 % primary tissue failure [PTF]/p-y. The actuarial survival rates at 5 and 10 years were 94.90 * 1.89% and 80.58 * 5.21 %; and the probabilities of freedom from thromboembolism at 5 and 10 years were 90.93 * 2.63% and 83.35 * 7.64 9o respectively. The probabilities from PTF at 5, 10 and 12 years were 98.02 * 1.39%, 60.62 * 8.89% and 49.60 * 12.34 %. One hundred-eighteen patients [72.4%] had single MVR [age, 34.0 * 10.9 years] with the operative mortality rate of 4.2%; and 113 early survivors were followed up for a total 616.4 patient-years[5.46 * 2.96 years]. The late mortality rate was 1.460 %/p-y. The major complications were: 1.622 % thromboembolism /p-y; 0.487% bleeding/p-y; 0.649 % endocarditis/p-y; 2.920% primary valve failure/p y and 1.785% PTF/p-y. The actuarial survival rates were 97.08 * 1.67%[at 5 years] and 81.27 * 6.64%[at 10 years], and the probabilities of freedom from thromboembolism 92.44 * 2.76 %[at 5 years] and 80.89 * 11.08%[at 10 years]. The probabilities of freedom from PTF at 5 and 10 years were 98 70 * 1.29% and 65.59 * 9.78% respectively. The mean age of 11 patients of PTF was 25.7 * 8.8 years and the valve extraction period 7.16 * 1.45 years. Failure of bioprosthetic xenograft valves are reportedly known to occur earlier in young patients in an accelerated fashion. The study with two groups divided into the cumulative younger and the cumulative older patients according to the age limits of 5-year interval strongly suggested these tendency. Although PTF began to occur past postoperative 5 years and the probabilities of freedom from PTF increased as the age limits raised and the number of patients increased in the cumulative younger patients while they decreased as the age limits lowered and the number of patients increased in the cumulative older patients, the definite age limits from which the Hancock valve can be safely recommended could not be obtained. From the results, the Hancock valves are contraindicated in patients younger than 20 to 25 years and may be safely recommended in patients older than 45 years as a tentative conclusion. Further longitudinal study may define these age factors.

  • PDF

활로 4징 환자에서 자가 주폐동맥 플랩을 이용한 새로운 좌폐동맥 성형술 (A New Technique of Angioplasty of the Left Pulmonary Artery Using an Autologous Main Pulmonary Artery Flap)

  • 이창하;전양빈;이택연;이석기;백만종;김수철;이영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255-260
    • /
    • 2003
  • 최근 활로 4징 교정술의 향상된 성적에도 불구하고, 수술 후 폐동맥 폐쇄부전과 우심실 유출로 확장으로 인한 좌폐동맥의 뒤틀림과 협착의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좌폐동맥의 협착이 동반되었거나 협착이 없더라도 우심실 유출로 첩포 확장 시 좌폐동맥이 예각을 이루어 좌폐동맥 뒤틀림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서 첩포를 사용하지 않고 자가 주폐동맥 플랩만을 이용한 새로운 좌폐동맥 혈관성형술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0월부터 2001년 1월까지 24명의 활로4징 환자에서 완전교정술 시 좌폐동맥 입구를 자가 주폐동맥 플랩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혈관성형술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연령(중앙값)은 10개월(4∼145개월)이었다. 주폐동맥 플랩 좌폐동맥 성형술은 좌폐동맥 입구의 협착이 있었던 19예(79%)와 해부학적 협착은 없었으나 주폐동맥과 좌폐동맥이 예각을 이루어 좌폐동맥 뒤틀림의 위험이 예상되는 5예(21%)에서 시행되었다. 결과: 수술 사망예는 없었다. 24명 중 15명(62%)에서 경판막윤 우심실유출로 확장술을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9명에서 폐동맥 판막윤을 보존하면서 폐동맥 혹은 누두부 확장술을 시행하였다. 24명 중 5명(21%)에서는 어떤 첩포도 사용하지 않고 자가 주폐동맥 플랩만으로 좌폐동맥을 포함한 주폐동맥확장술을 시행하였다. 1 명을 제외한 23명의 추적관찰 기간(중앙값)은 20개월(6∼42개월)이었으며, 만기 사망 및 재수술의 예는 없었다. 2명에서 우폐동맥 근위부 협착으로, 1명에서 좌, 우폐동맥 입구의 협착으로 풍선 혈관성형술이 필요하였다. 결론: 주폐동맥 플랩을 이용한 좌폐동맥 성형술의 보다 장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나, 첩포를 사용하지 않아 이와 관련된 문제점들을 피할 수 있고, 자가 주폐동맥플랩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주폐동맥과 좌폐동맥 사이를 둔각으로 유지함으로써 향후 폐동맥 폐쇄부전과 관련된 우심실유출로 확장에 의한 좌폐동맥의 뒤틀림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인공심폐기를 이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술 시 요골동맥을 이용한 Cabrol 술식의 응용 (Cabrol Technique Application in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Using Radial Artery)

  • 나찬영;오삼세;김수철;김재현;조원민;서홍주;이철;장윤희;강창현;임청;백만종;황성욱;최인석;김웅한;박윤옥;문현수;박영관;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8호
    • /
    • pp.630-632
    • /
    • 2003
  • 인공심폐기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술에서 이식편의 근위부 문합을 상행대동맥에 시행하는 경우 상행대동맥의 조작으로 인한 공기나 대동맥조직, 죽종(atheroma) 등으로 인한 색전증과 대동맥 손상으로 유발되는 대동맥박리, 가성동맥류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대동맥근부치환술 시 양측관상동맥의 재이식 시 도관을 사용하는 Cabrol 술식을 관상동맥우회술 시 적용하였다. 요골동맥이식편은 복재정맥과 다르게 혈관 내 판막이 없다는 이점을 고려하여 근위부 문합을 상행대동맥에 평행하게(side to side) 문합하여 하나의 근위부 문합으로 요골동맥이식편의 양측으로 혈류를 공급하는 Cabrol 술식을 이용하여 근위부 문합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상행대동맥의 조작 수를 줄여 대동맥의 외상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소아 후천성심장판막질환의 판막치환수술 (Cardiac valve replacement in children with acquired lesions)

  • 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6권2호
    • /
    • pp.139-146
    • /
    • 1983
  • Between 1974 and 1982, 31 patients from 7 to 15 years of age have undergone valve replacement for their acuqired cardiac valvular diseas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urteen patients (45.2%) had a definite history of rheumatic fever and only 4 patients (12.9%) had atrial fibrillation on their preoperative electrocardiograms. Characteristically, the valvular lesions were ones of insufficiency with or without associated stenosis in all patients except only one whose mitral valve was tightly stenotic. Thrity-seven valves were replaced in 31 patietns including a case of successful replacement of his failed xenogragt mitral valve : 4 mechanical valves were used in 3 patients and 33 xenograft valves were used in the remaining 28 patients. The size of the valves were not the major problem at the time of opertion because most of the patients had a dilated heart from disease. There were 3 diaths within 30 days of surgery (9.7% operative mortality rate) and 3 late deaths (9.7% late mortality rate) with an overall mortality rate of 19.4%. Twenty-eight early survivors were followed up for a total of 488 patient-months. Thromboembolic complications occurred in 5 patients with 2 deaths: cmbolic rate of 17.9% or the actuarial embolic incidence of 12.29%/patients-year. four xenograft tissue valves in 4 patients had failed during the period from 19 to 41 months of surgery with an overall valve failure rate of xenograft of 14.3% or the actuarial incidence of 9.84% failure/patient-year. One of these 4 patients had required replacement of his failed mitral xenograft valve which had severe calcification and tissue disruption with primary tissue failure rate of 3.6% or the actuarial incidence of 3.13% failure/patient-year. The actuarial survial including the operative morality was 50.0% at 5 years of surgery. /the actuarial incidence free from thromboembolism in bioprosthetic group was 85.4% at 42 months, while it was 33.4% in mechanicial group at 60 months after operation. The actuarial incidence free from overall valve failur of 100.0% until 18 months after surgery was followed by a rapid decrease during the next 2-year period, and it was only 17.8% at the follow-up end of 42 months after surgery. It was suggested that the major advantage of low thrombogenecity with xenograft valve should be balanced against the high incidence of accelerated valve failure when it is used in children whose age is younger than 15 years old. The possible role of recurrent rheumatic attacks to the early failure of xenograft tissue valve was also discussed.

  • PDF

개에서 건삭파열로 유발한 급성 이첨판 폐쇄부전 모델의 혈류역학적 평가 (Hemodynamic Evaluation of Acute Mitral Valve Insufficiency Model induced by Chordae Tendinae Rupture in Normal Dogs)

  • 김세훈;김남수;이기창;김종민;김민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67-370
    • /
    • 2014
  • 본 연구는 개에서 건삭파열로 유발한 급성 이첨판 폐쇄부전 모델의 혈류역학적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10마리의 정상 심장기능을 가진 비글견에서 실시되었다. 직접혈압측정법과 Swan-Ganz 카테터를 통해 건삭을 실험적으로 파열시키는 기간동안 혈류역학적 지표 변화를 진행하였다. 이첨판 폐쇄부전 모델을 만들기 위해 5번 늑간으로 접근하여 관절경에 사용하는 작은 훅나이프를 사용하여 건삭을 파열하였다. 수술 중 칼라 도플러 영상 검사를 통해 이첨판 역류를 확인하였다. 혈류역학적 지표를 측정한 결과 폐모세혈관쇄기압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 평균동맥압, 정맥압, 폐동맥압, 심박출량, 심박출 지수는 건삭 파열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건산파열로 인해 좌심실로 부터 역류된 혈액이 좌심방에 과부하를 일으킨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에서 급성 이첨판 폐쇄부전 모델을 만드는데 있어 건삭파열방법이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고, 이첨판 역류 유발 후 시간이 지나면 만성 이첨판 부전증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차후 판막의 만성적 변화 양상을 연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A형 대동맥 박리 수술 후 재발성 박리의 재수술 (Redo Opeations for Recurrent Dissection After Operation for Type A Aortic Dissection)

  • 홍유선;강정한;윤치순;이현성;박형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604-610
    • /
    • 2001
  • 배경: Stanford 제A형(type A) 대동맥 박리증은 상행대동맥이나 대동맥궁의 인조혈관 치환 수술 후에도 남은 대동맥의 가강이 확장되거나 파열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철저한 추적관리가 필요하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는 1984년 6월부터 2000년 3월까지 Stanford 제A형의 대동맥박리 수술이 124예 있었다. 수술 후 가강의 확장이나 파열로 재수술한 6예에서 Marfan 증후군과의 관련성 등 원인을 조사하고 재수술의 방법과 결과, 재수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처음 대동맥 박리로 수술시급성인 경우가 4예 만성이 2예였으며 이중 3예가 Marfan 증후군이였다. 1예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상행대동맥내에 내막파열이 있어 대동맥판막의 폐쇄부전의 정도에 따라 상행대동맥 인조혈관 치한수술(2례) 또는 Bentall 수술을 시행하였으며(3례) 1예는 여러 개의 가강과의 연결부위가 있는 만성 박리 환자로 Bentall 수술과 더불어 대동맥궁까지 인조혈관으로 치환을 하였다. 재수술은 평균 67.6개월(4개월-14년4개월) 후에 시행하였는데 1예는 만성 하행대동맥 박리 및 동맥류로 1예는 염증성 가성동맥류로 나머지 4예는 급성대동맥 박리로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하행흉부대동맥만을 치환한 경우가 1예, Hemiarch로 시행한 경우가 1예 그리고 나머지 4예는 원위부 상행대동맥에서 대동맥궁을 포함하여 근위부 또는 중간부위의 하행 흉부대동맥까지 인조혈관으로 치환하였다. 결과: 전체 124예 중 Marfan 증후군이 동반된 경우는 18예였다.

  • PDF

백서 피하에 이식된 우심낭편의 석회화 방지에 관한 연구 -$MgCl_2$ 효과- (Calcium Mitigation in the Bovine Pericardial Tissue in the Rat Subcutaneous Implantation model - $MgCl_2$ Effect)

  • 안재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5호
    • /
    • pp.451-455
    • /
    • 1998
  • 심혈관계 수술 시 이용되는 조직판막 등 glutaraldehyde 에 보존한 이종보철편들은 석회화에 의한 변성으로 환자의 장기성적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연구자는 glutaraldehyde 용액에 Mg 염을 첨가, 자유 알데히드와 미리 결합하게 함으로서 조직 및 혈중의 칼슘과 반응하는 것을 막아 석회화를 완화하고자 시도하였다. 우심낭을 정방형 조각으로 만들어 60 조각의 우심낭편은 대조군으로 0.625% glutaraldehyde 용액에 보존하고(1군), 60 조각은 MgCl26H2O 를 4g/L 첨가한 glutaraldehyde 용액에(2군) 각각 한달 간 보관하였다. 이들을 60 마리의 백서의 복부 피하에 각각 한 조각 씩 이식하여 1 개월, 2 개월, 3 개월 및 6 개월 째에 적출, spectophotometry 로 이 우심낭편에 침착한 칼슘을 정량분석한 결과 1 개월 및 2 개월 째에는 두군 간의 석회화 정도에 차이가 없었으나, 3 개월에 1군 1.738 mg/g, 2군 0.786 mg/g, 6 개월에 1군 3.102 mg/g, 2군 1.623 mg/g으로 정량되어 p<0.05 의 통계적 차이가 관찰되고 있다. 즉 마그네슘염의 첨가로 중기 이상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피하에 이식된 보철편의 석회화가 완화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승모판막 수술환자에서의 심방세동에 관한 치료관찰 (Control of Atrial Fibrillation in Mitral Valvular Heart Surgery [90 Cases])

  • 곽문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679-691
    • /
    • 1985
  • Ninety patients underwent mitral valvular heart surgery associated with or without aortic valve surgery and subjected to a clinical study in relation to their control of postoperative atrial fibrillation. There were 26 males and 64 females ranged in age from 16 to 56 years with a mean of 35.2 years. Systemic arterial embolizations were observed in 11 patients [12.2%]. Four patients of them were in normal sinus rhythm and 7 in atrial fibrillation. Out of these, left atrial thrombi were found only in 2 at the operation. Intraoperatively confirmed left atrial thrombi were in 16 patients [17.7%] of all 90 patients: Eleven patients occurred at the age of more than 40 years, 14 were in atrial fibrillation and 2 only had previous episodes of systemic arterial embolization. Sixty three patients underwent isolated mitral valve surgery [OMC 28, MVR 35] and 27 patients associated with aortic valve surgery along with mitral valve [OMC+AVR 13, MVR+AVR 14]. Preoperatively, 44 patients [48.9%] were in normal sinus rhythm. Of them, 35 patients [79.5%] revealed normal sinus rhythm thoroughly after operation without any aid of digitalis or quinidine and 5 patients [11.4%] restored normal sinus rhythm with digitalization alone. Other 3 patients converted to normal sinus rhythm with the addition of quinidine, however, in 1 patient who was resistant to quinidine therapy, electrocardioversion was carried out on the postoperative third week showing normal sinus rhythm. Thus, the most atrial fibrillations that occur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postoperative period, were able to reverted to normal sinus rhythm responding well to antiarrhythmic therapy. Preoperatively, 46 patients [51.1%] were in atrial fibrillation. Of them, only 5 patients returned to sinus rhythm after operation without any aid of digitalis or quinidine and other 5 restored normal sinus rhythm with digitalization: namely 2 restored within early postoperative period and 3 after more than 3 months. Eight patients well responded to quinidine therapy showing normal Sinus rhythm. So far, 25 patients have remained in 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on 6 to 36 months follow-up. In view of these, 17 patients [68%] were over 40 years of age, 22[80%] had long duration of symptom over 5 years and 10[40%] have had atrial thrombi before operation. Left atrial dimension were still more than 40mm in 21 patients on follow up M-mode echocardiogram. One month after operation, 87 hospital survivors were improved by at least one functional NYHA class. There were 3 operative deaths [3.3%, bleeding 1, LCOS 2] and 4 late deaths [LCOS 1, valve thrombosis 1, late bleeding 1, fulminant hepatitis 1] during follow-up period. According to our limited experience, we may conclude that better results will be expected with the addition of quinidine therapy judiciously in the cases of postoperative 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who were aged or had longer history of symptom and left atrial thrombi.

  • PDF

상행대동맥 및 대동맥궁의 수술 (Operation of Ascending Aorta and/or Aortic Arch)

  • 구본원;허동명;전상훈;장봉현;이종태;김규태;이응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12-1217
    • /
    • 1996
  •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3년 12월부터 1995년 5월까지 14례(남자 9명, 여자 5명)의 상행대동맥 및 대동맥궁질환을 수술하였으며, 환자들의 나이는 25세 에서 65세로 평균 50.4세였다. 진단은 급성 대동맥 박리가 6례(43%)로 4례는 파열이 되었으며, 상행 대동맥류가 4례(29%)로 1례에서 대동맥궁까지 확장되어 있었고 3례에서 파열이 되었으며, 대동맥 판륜확장이 3례(21%)로 1례에서 파열이 동반되었고, 대동맥궁류가 1례(7%)였다. 전례에서 심초음파와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혈관촬영은 2례에서 시행하였다. 수술의 적응은 파열 5례, 급성 대동맥 박리 5례, 심한 울혈성 심부전 2례, 진행성의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1례 및 동맥류가 커서 파열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 1례였다. 수술은 10례(71%)에서 응급으로 시행하였다. Cabrol 수술 6례, 대동맥궁 치환을 겸한 Cabrol 수술 1례, 변형된 Bentall수술 1례, 상행 대동맥 치환 4례, 대동맥궁 치환 1례 및 대동맥궁 치환을 겸한 상행 대동맥 치환의 경우가 1례였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순환정지를 62분 시행한 환자가 경련을 보였고, 심방세동이 2례, 흉골 열개가 1례 그리고 종격동염이 1례 있었다. 술후 조기사망은 2례(14%)에서 있었으며 각각 과다 출혈과 다발성 장기부전이 원인이었다. 심실 부정맥으로 인한 만기사망이 1례(7%)에서 있었다. 11명의 생존 환자들의 추적관찰기간은 2개월에서 20개월로 전례에서 경과는 양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