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장외과 중환자실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3초

심장외과 중환자실 일반간호사의 업무분석 (Job Analysis of the Staff Nurse in Cardiac Surgery Intensive Care Unit)

  • 고유경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65-282
    • /
    • 2003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for a basic resource, which can be used to set up a efficient management system in Cardiac Surgery Intensive Care Units(CSICU). Method: 1)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nd observation methods were used, to examine the nursing activities performed in the CSICU after having reviewed related literatures and a review by the experts. Thus, the nursing activities were designating 254 activities and classified into 28 categories. 2)The 22 nurses in the 2 CSICUs filled out questionnaires about nursing activities from 12 April, 2002 to 17 April, 2002. The frequency of the nursing activities in the 28 categories counted and new nursing activities added by directly observing 12 nurses by two trained research staffs for 4 day. 3)In terms of validity, the 264 nursing activities were analysed by the 25 experts. As a result, 231 nursing activities were found valid and remained as appropriate nursing activities to be used for the careful analysis of the nursing activities in CSICUs. Result: The 22 categories are as below: assessment, monitoring, respiration management, nutrition management, elimination/drainage management, mobility management, sanitation management, safety management, temperature management, specimens collection, preparation and assistance of treatment, skin/wound management, infection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education/support, dying patient care, recording/keeping, supplies management, environment management, communications, evaluations, professional development Conclusion : The manifest job description of the staff nurse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nursing activities and to reducing the role conflicts among the medical staffs.

  • PDF

외상에 의한 심장 손상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Management of Traumatic Cardiac Injury)

  • 강준규;윤유상;김형태;박인덕;소동문;이철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335-341
    • /
    • 2004
  • 외상에 의한 심장 손상은 드물게 발생하지만 진단 및 치료가 지연되었을 경우 치사율이 매우 높다. 이에 본원에서는 외상성 심장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3월부터 2002년 7월까지 본원 응급실을 통하여 내원한 외상성 심장 손상 환자 대상으로 하였다. 총 17명의 환자 중 흉기 등에 의한 자상이 5예, 둔상 중에서 교통사고로 인한 손상이 7예, 작업장 등에서 추락한 경우가 4예,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모든 예에 있어서 응급 수술을 진행하였고, 6예의 경우 심폐기를 이용한 수술을 진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4예의 사망이 있었다. 수술 후 모든 환자는 중환자실로 이송하였고 평균 중환자실 재원기간은 3.86$\pm$3.35일, 평균 총재원기간은 18.27$\pm$14.99일이었다. 응급실에 도착하여 수술의 진행까지 생명 징후가 비교적 안정적이었던 경우 사망한 예는 없었다. 결론: 수술 전의 환자의 상태는 환자의 예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이기 때문에 흉부외상 환자에게 있어서 심장손상 여부의 판단은 매우 중요하다.

성인 심장수술 후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의 계획된 발관 후 비계획적 기관 재삽관 위험요인과 임상결과 (Risk Factors and Clinical Outcomes of Unplanned Reintubation after Planned Extubation in Adult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after Cardiac Surgery)

  • 이주희;최혜란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88-100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unplanned reintubation after planned extubation and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after cardiac surgery. Methods : The study examined patients who underwent intubation and planned extubation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after cardiac surgery between January 1, 2017, and December 31, 2021. The reintubation group comprised 58 patients underwent unplanned reintubation within 7 days of planned extubation. The maintenance group comprised 116 patients who did not undergo reintubation and were matched with the reintubation group using the rational for matching criteria.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We used the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 𝑥2-test, Fisher's exact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7.0. Results :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albumin (odds ratio [OR]=0.38, 95% confidence interval [CI]=0.20-0.72), surgery time (OR=1.54, 95% CI=1.20-1.97), PaO2 before extubation (OR=0.85 per 10 mmHg, 95% CI=0.75-0.97), postoperative arrhythmia (OR=2.82, 95% CI=1.22-6.51), reoperation due to bleeding (OR=4.65, 95% CI=1.27-17.07), and postoperative acute renal failure (OR=2.97, 95% CI=1.09-8.04) were risk factors for unplanned reintubation. The reintubation group had a higher in-hospital mortality rate (𝑥2=33.74, p<.001), longer intensive care unit stay (Z=-7.81, p<.001), and longer hospital stay than the maintenance group (Z=-8.29, p<.001). Conclusion : These results identified risk factors and clinical outcomes of unplanned reintubation after planned extubation after cardiac surgery.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nd managing an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and reduce the incidence of unplanned reintubation.

소아심장외과 중환자실에서의 실무의사소통 프로토콜이 수술 후 성과에 미치는 영향 (Practical Communica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Surgical Outcomes in a Pediatric Cardiac Intensive Care Unit)

  • 엄주연;이월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43-25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practical communication strategies (PCS) on the reduction of AEs (Adverse Events) in pediatric cardiac ICU (PCICU). Methods: Intra-operative findings and care plans were documented and shared between staff members on a daily basis from the day of operation to the day of general ward transfer. Incidence of AEs was investigated in all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PCICU and was compared with incidence of AEs one year after establishment of PCS. Result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216 patients in pre-PCS group and 156 patients in post-PCS group. Incidence of readmission decreased from 6.0% (13/216) in pre-PCS group to 0.6% (1/156) in post-PCS group (${\chi}^2=7.23$, p=.010). Incidence of other major complications decreased from 4.2% (9/216) to 0.6% (${\chi}^2=6.66$, p=.012). Minor AEs such as intervention omission, order error, and protocol misunderstanding were reduced from 23.3 cases per 100 patient-days to 7.5 cases per 100 patient-days (${\chi}^2=20.31$, p<.001). Conclusion: Handover protocol is an effective strategy to reduce AEs for critically ill patients after pediatric cardiac surgery. Efforts to develop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should be continued and outcome research about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patient safety should be further studied.

개심술 후 부신피질 결핍증에 의한 혈역학적 불안정 (Hemodynamic Instability due to Adrenal Insufficiency after Open Heart Surgery)

  • 김혜원;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191-193
    • /
    • 2010
  • 개심술과 같은 큰 수술을 받은 환자가 중환자실 치료 중 저혈압을 겪게 되는 경우는 드물지 않다. 환자의 심장 기능이상이 주요 원인이지만 부신피질 결핍에 의한 경우도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부신피질 호르몬 결핍증은 일반인에게는 매우 드물지만, 수술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 처한 환자들에게서는 종종 볼 수 있다. 본 증례는 개심술 후 발생한 부신피질 호르몬 결핍증을 치료한 경우로, 극심한 저혈압으로부터 hydrocortisone 투여 후 극적인 회복을 보여주는 예이다.

중증 폐동맥협착증의 외과적 치료 -1례 보고- (Surgical Management of Critical Pulmonary Stenosis -A case report-)

  • 정태열;반동규;김혁;김영학;정원상;강정호;지행옥;이철범;김남수;서정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2호
    • /
    • pp.963-967
    • /
    • 2000
  • 정상심실중격의 폐동맥협착은 흔한 선천성 심장질환이지만 신생아기에 심한 증세를 보이는 위기적 폐동맥 협착은 드물며 예후도 대단히 나쁘다. 경피적 풍선 판막성형술의 발달과 함께 폐동맥협착의 외과적 치료는 더욱 줄어드는 추세이다. 본 증례는 정상심실중격의 위기적 폐동맥협착증으로 진단받은 생후 2일된 남자 신생아로 심한 청색증과 저산소증을 보여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환아는 산소공급 및 Prostaglandin E$_1$을 투여 후 동맥혈 산소 분압이 19 mmHg에서 54mmHg로 증가하였다. 경피적 풍선 판막성형술을 시도하였으나 유도도관(Guide wire)이 판막의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하였고 시술도중 심낭내로 조영제가 고이는 소견을 보여 우심실 천공이 의심되었으므로 응급으로 정상체온의 체외순환하에서 폐동맥 절개후 폐동맥 판막절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중환자실에서의 수술경과는 양호하였고 현재 수술 6개월째 외래 추적관찰중이다.

  • PDF

미숙아 동맥관개존증의 효과적 치료 (Optimal Management of Patent Ductus Arterisus in Premature)

  • 전태국;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585-590
    • /
    • 1997
  • 미숙아에 있어서 동반되는 동맥관개존증은 향후 환아의 경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미숙아 에 있어서 동맥관 개존증으로 진단되어 치료를 받은 례를 관찰 분석하여 그 성적을 살피고 향후 동맥관개 존증의 치료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1994년 12월 부터 1996년 10월까지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동맥관개존증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 57 명중을 대상으로 하여 임상기록지를 관찰하였다. 인도메타진 등의 내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I 군)는 48명 (남자 29명, 여자 19명) 이었으며, 수술적 교정을 받은 환아(II 군)는 9명(남자 5명, 여자 4명)이었다. 각군에서의 환아의 평균 재태기간은 각각 29.6$\pm$3.1주, 28.1$\pm$1.6주0>0.05), 평균 출생시 체중은 각각 1,413$\pm$ 580gm, 1,098$\pm$235gm(p.0.05)이였다. 모든 환아에서 일차적으로 인도메타진 치료를 하였으며, 그중 인도메타 진 치료에도 불구하고 동맥관이 막히지 않고 패출혈, BUN의 상승, 소변량 감소 등으로 수술 대상이 되었 (9/57, 16%). 수술은 환자를 이동시키지 않고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결찰을 시행하였다. 2명의 환아들이 술 후 15일, 47일째 술전 부터 발생한 지속적인 패혈증및 기관지패 鎌紈봐塚막\ulcorner사망하였다. 수술과 직접적으 로 관련된 합병증 및 사망 례는 없었다. 인도메타진으로 내과적 치료만 한 환자 47명중 9명이 합병증(패혈 증, 기관패이형성증, 패내출혈, 신부전 등)으로 인하여 사망하여(19%) 내과적 치료의 실패는 520lo(18fsf였 다. 출생체중을 기준으로 보았을때 체중이 1500gm미만인 경우가 1500gm이상인 경우보다 그 실패율이 높았다(41% 15/38, 16% 3/19, p<0,05). 상기 결과로 부터 크기가 큰 동맥관 개존증, 체중이 적은 미숙아, 선천성 심기형을 동반한 경우 등 일부 미숙아에 있어서는 수술적 결찰술이 일차적 치료법으로 고려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환아를 수 술장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중환자실에서 안전하게 수술할 수 있었다.

  • PDF

개심술 후 심폐소생술 실패환아에서의 체외막산소화 치험 1례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in the Patient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ailure after Open Heart Surgery. - A case report -)

  • 전희재;성시찬;우종수;이혜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53-57
    • /
    • 1999
  • 저자들은 심장수술 후 발생한 심정지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신생아에서 성공적인 체외막산소화 장치(ECMO)사용 1례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울혈성 심부전과 폐동맥 고혈압을 가졌던 4.4kg의 35일된 남아로 술중에 특별한 문제없이 심실중격결손증을 첨포봉합법으로 봉합하였다. 심장 중환자실에서의 술후 경과는 junctional ectopic tachycardia (JET)가 나타나기 전까지 약 5시간 동안은 특별한 문제가 없었다. junctional ectopic tachycardia (JET)가 나타난 후 50분경과한 뒤 갑작스러운 서맥이 나타나면서 수축기 혈압이 50mmHg로 하강하여 곧 흉골절개 봉합부(sternotomy incision)를 열고 심폐소생술을 바로 시행하였으며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지 4시간 후에 상행대동맥에 동맥관을 그리고 정맥관은 우심방이에 삽관하여 체외막산소화 장치를 시작하였다. 환자의 혈액동력학은 체외막산소화 동안 안정적이었으며, 시작 후 38.5시간 만에 중지하였다. 흉골지연봉합을 시도하였고, 환자는 수술 후 7일째 인공호흡기를 제거했으며, 신경학적 합병증없이 수술 후 21일째 퇴원하였다.

  • PDF

소아심장외과 중환자실 장관영양 프로토콜 개발 및 효과평가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Feeding Protocol for Infants in a Pediatric Cardiac Intensive Care Unit)

  • 엄주연;이효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326-335
    • /
    • 2016
  • Purpose: It is crucial to provide adequate enteral nutrition for postoperative recovery, wound healing and normal growth in infants in pediatric cardiac ICUs.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feeding protocol using the vaso-active inotropic (VAI) score and to evaluate the impact of nutritional outcomes following the new feeding protocol for infants who underwent cardiac surgery. Methods: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phases. First, a feeding protocol was develop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Second, ten experts rated the content validity. Third, a comparison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mpact of the new feeding protoco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0. Results: Twenty-nine infants were enrolled in the pre-protocol group, and 22 infants in the post-protocol group. Patients in the 2 groups were similar. Time to reach feeding goa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56.0 (27-210) hours to 28.5 (10-496) hours in the post-protocol group (Z=-4.22, p<.001). Level of enteral feeding knowledge among nurse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implementation of the protocol. Conclusion: The feeding protocol using VAI score facilitates the achievement feeding goal to decrease feeding interruptions and help nurses in their practice. Larger studies are necessary to examine clinical outcome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is feeding protocol.

최소 침습적 심장수술 -흉골하부절개술에 의한-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y -Lower half sternotomy-)

  • 최강주;김병훈;이양행;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79-382
    • /
    • 1999
  • 배경: 최소 흉골절개술에 의한 심장수술은 전통적인 정중흉골절개술보다 절개창의 크기가 작고 환자에게 술후 빠른 회복과 상처에 대한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상 및 방법: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8년 4월부터 7월까지 최소 흉골절개술에 의한 심장수술 25례를 시행하였다. 대상환자의 평균나이는 30세, 평균체표면적은 1.5m2이었고 성별로는 남자 10명, 여자 15명이었으며 10세 미만 소아도 4명이었다. 수술은 승모판막질환 10례, 심실중격결손증 4례, 심방중격결손증 11례를 대상으로 하여 피부를 3번 늑간에서부터 검상돌기의 끝까지 정중 흉부선을 따라 절개하였다. 결과: 피부절개창의 길이는 평균 11cm이고 흉골은 2번 늑간에서 하부까지 정중절개하였는데 대상환자중 4례에서는 좌우 2번 늑간으로 T형, 17례에서는 좌측 2번 늑간으로 J형 횡절개를 하였고, 소아 4례에서는 횡절개를 하지않았다. 최소절개에 의한 합병증은 없었고 통증이 적으며 수술후 중환자실 치료시간은 평균 20시간으로 짧아 환자와 가족들의 만족도는 높았다. 결론: 최소 흉골절개술에 의한 심장수술은 전통적인 정중흉골 절개술보다 환자의 회복이 빠르고 미용적 만족도도 높을 뿐만 아니라 최소절개로 인한 합병증도 없어 향후 이러한 수술법의 적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