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실 중격 결손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4초

심실중격결손 봉합 후 잔류 단락의 추적관찰 (Follow-Up of Residual Shunt after Repair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 정태은;이장훈;김도형;백종현;이동협;이정철;한승세;이영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8호
    • /
    • pp.580-583
    • /
    • 2002
  • 배경: 선천성 심장병 환자들의 교정 수술 후 정확한 형태학적 혹은 혈역학적변화를 아는 것이 술 후 추가적으로 내과적 혹은 외과적인 치료가 필요로 하는가를 결성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심실중격결손 봉합술 후 잔류단락의 발생 빈도와 소량의 포편 주위 단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3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의료원 흉부외과에서 영아기에 단순 심실중격결손으로 포편봉합술을 시행한 4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후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잔류단락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43례의 환자 중 수술 직후 잔류단락이 관찰된 환자는 11례로 26%에서 잔류단락이 발견되었으나 혈역학적으로 유의한 단락으로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없었다. 단락의 발생빈도는 심실중격결손의 형태와 봉합을 위해 사용한 포편의 종류와는 무관하였다. 잔류단락이 발견된 환자 중 9명에서 단락의 소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례는 추적관찰에서 탈락하였다. 단락이 소실된 9명의 환자들의 단락이 마지막 확인된 기간은 평균 $4.2{\pm}3.6$개월 이었다. 결론: 수술 직후 포편 주위의 잔류단락은 종종 발견될 수 있으며 혈역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잔류단락은 대부분 6개월 이내에 자연 소실되었다.

10Kg 이하의 소아에서 시행한 심실중격 결손증수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osur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under 10Kg in Body Weight)

  • 김정철;구본일;오상준;이홍섭;김창호;신혜숙;박용원;박동철;변정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191-1196
    • /
    • 1996
  • 최근에는 폐동맥고혈압이 있는 심실중격결손증에서는 환아의 체중이 10Kg이하이거나 1세 이하라도 조기에 수술을 하는 것이 추천되고 있으며 본원에서도 같은 방침으로 개심술을 시행하여 왔다. 본원에서는 1986년 10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체중이 10Kg이하인 심실중격결손증환자 88명을 개심술로 수술하여 그 사망률을 환아의 연령, 체중 그리고 폐동맥고혈압의 정도에 따라 비교하였다. 총 사망자 수는 10명이었고(11.4%), 6개월 이하의 환아 수술에서는 14명중 5명이 사망하였고(35.8%), 6개월에서 12개월 사이에서는 43명중 4명이 사망하였고(9.3%), 1년 이상된 환아의 수술에서는 31명중 1명이 사망하였다(3.2%). 그러나 폐동맥고혈압의 정도에 의해 사망률을 비교한 결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6개월 이하의 수술례에서는 폐동맥고혈압의 정도에 관계없이 사망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10Kg 이하의 저체중 심실중격결손증의 수술은 극심한 심부전이나, 성장부전이 있거나 폐동맥고혈압이 비가역적인 폐혈관 질환을 야기할 정도가 아니면, 적어도 6개월 이상 지나서 시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동맥판륜 확장증, 심실중격결손 및 대동맥판막 폐쇄부전과 동반된 우심실 저형성 환자에서 대동맥근부 치환술 -1예 보고 (Aortic Root Replacement in Patient of Right Ventricular Hypoplasia with Annuloaortic Ectasia,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Aortic Regurgitation - Report of 1 case -)

  • 백만종;나찬영;오삼세;김웅한;황성욱;이철;장윤희;조원민;김재현;서홍주;강상수;문현수;박영관;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7호
    • /
    • pp.510-513
    • /
    • 2003
  • 우심실 저형성 환자에서 심실중격결손과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및 대동맥판륜 확장증이 동반된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우심실 저형성 환자에서 심실중격결손,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및 대동맥판륜 확장증이 동반되어 composite graft를 이용한 근부치환술을 시행한 증례를 보고한다. 환자는 19세 남자로 심장초음파 및 심도자 검사에서 직경 2 cm크기의 막성 심실중격결손과 심한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 그리고 대동맥판륜 확장증이 동반되어 있었으며 우심실은 bipartite 형태로 심한 저형성을 보였고 Qp/Qs는 1.2였다. 수술소견 상 우관상 및 비관상 판첨 변연부 길이의 현저한 확장, 판첨의 비후와 수축, 그리고 교련부의 융합 및 석회화가 있었다. 수술은 대동맥근부를 통해 자가 심낭 패취를 이용한 심실중격결손 폐쇄술 및 composite graft를 이용한 button Bentall 술식과 우심실 유출로 부위의 비후된 근육을 절제하여 주었다. 환자는 수술 직후 일시적인 심폐기 이탈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술 후 14일째 특별한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수술 후 성인 Fallot 4징 환자의 임상적 고찰 (Follow-up in Adult after Total Repair of Tetralogy of Fallot)

  • 장기영;김선영;문주령;허준;강이석;박승우;전태국;박표원;이흥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7호
    • /
    • pp.661-667
    • /
    • 2003
  • 목 적 : Fallot 4징 환자에 대한 수술 및 수술 후 집중 치료의 발달로 생존율이 향상되면서 교정 수술을 받은 Fallot 4징 환자의 연령이 점차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장기 생존에 따른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알려지게 되었다. 저자들은 완전 교정 수술을 받은 성인 Fallot 4징 환자에서 나타나는 주요 임상적인 문제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4년 5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성인선천성심장병클리닉(GUCH Clinic)에 등록된 Fallot 4징 환자는 30명으로, 내원 당시 자연 생존자는 6명, 수술 후 생존자는 24명이었다, 이들중 본 조사 당시까지 완전 교정 수술을 받은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임상 기록, 심전도, 심장 초음파, 심도자 검사, 수술 기록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주요 임상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결 과 : 1) 본 조사 당시 평균 연령은 30.8세(16-53세)였고, 교정 수술시 나이는 15.8세(2-49세)였다. 남녀 비는 1.3 : 1이었다. 2) 완전 교정 수술 후 임상적으로 유의한 문제점들은 부정맥(11례), 폐동맥 역류(8례), 좌폐동맥 협착(6례), 잔존 심실 중격 결손(6례), 승모판막 역류(5례), 삼첨판막 역류(4례), 우심실 유출로 협착(3례), 우심실 유출로 낭성 확장(3례), 대동맥판막 역류(3례), 심내막염(1례) 및 단백 소실 장증(1례) 등이었다. 3) 부정맥이 있었던 환자군(Group I, 11명)과 부정맥이 없었던 군(group II, 17명)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보았을 때, 수술 시 연령이 낮을수록 수술 후 부정맥이 적게 관찰되었고(P<0.05), 부정맥 군이 부정맥이 없었던 군에 비해 흉부 방사선 소견상 심.흉 비 0.55 이상의 심비대가 유의하게 많았다(P<0.05). 심전도에서 QRS폭이 넓을수록 심비대가 많았으며(P<0.05), 수술 후 심비대가 있는 군(심/흉 비>0.55)과 심비대가 없는 군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을 때는 심비대가 있는 군에서 QRS폭이 넓었고 (P<0.05), 의미 있는 폐동맥 역류와 삼첨판막 역류가 많이 관찰되었다(P<0.05). 4) 재수술은 총 28례 중 8례에서 시행되었다. 재수술의 원인으로, 잔존 심실 중격 결손만 있었던 경우가 3례, 우심실 유출로 협착이 동반된 잔존 심실 중격 결손이 1례, 우심실 유출로 협착과 폐동맥 역류가 동반된 잔존 심실 중격 결손이 1례, 우심실 유출로 협착,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인한 삼첨판막 우종 및 잔존 심실 중격 결손이 1례, 좌폐동맥 협착이 1례, 우폐동맥 협착(추정)이 1례 있었다. 결 론 : Fallot 4징은 교정 수술 후 대부분의 환자가 별 문제없이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지만 본 조사에서처럼 여러 가지 문제점들-부정맥, 폐동맥 역류, 잔존 심실 중격 결손, 우심실 유출로 협착, 폐동맥분지 협착, 감염성 심내막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예후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이고도 지속적인 관찰과 조기 교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폐동맥하 심실증격결손을 동반한 양대혈관 우심실기시중에서 동맥전환술의 중단기 결과 (Early and Midterm Results of Arterial Switch Operation for Double-Outlet Right Ventricle with Subpulmonary VSD)

  • 양승인;이형두;김시호;조광조;우종수;이영석;성시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313-321
    • /
    • 2004
  • 폐동맥하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한 양대혈관 우심실기시증에서 동맥전환술은 심실내 교정의 제한된 적응증과 동맥전환술의 우수한 임상성적으로 인해 최근 이 기형의 선택적 치료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 기형에 대한 동맥전환술의 단기 및 중기 성적을 검토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8월부터 2002년 7월까지 8년 동안 동아대학교 병원에서 심실중격결손증 교정과 동맥전환술을 시행한 폐동맥하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한 양대혈관 우심실기시증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양대혈관 우심실기시의 진단은 50% rule을 적용하였다. 중심나이와 평균체증은 각각 27일(범위, 3-120일)과 3.8$\pm$0.7kg (범위, 2.92-5.3kg)이었다. 대동맥궁기형은 6명(46.2%)에서 동반되었고 모두 일차 완전교정(one-stage repair)으로 교정되었다. 양대혈관의 위치관계는 좌우로 위치한 것이 8예(61.5%), 전후로 위치한 것이 5예(38.5%)였다. 관상동맥의 형태는 1LCx-2R과 좌관상동맥이 폐동맥의 뒤로 돌아가는 형태가 각각 6예씩(46.2%)이었으며 1명(7.7%)에서 벽속 좌관상동맥기형이 관찰되었다. 심실중격결손의 확장 및 패치를 이용한 우심실유출로 성형술이 각각 1명(7.7%)에서 시행되었다 좌우 대혈관 위치관계를 갖고 있는 3명(23.1%)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Lecompte 술식을 시행하였다. 결과: 3예(23.1%)의 수술사망이 발생하였다. 3예 모두 대동맥궁기형을 갖고 있었던 경우였다. 수술 생존자의 평균추적기간 41.3$\pm$30.7개월(범위 1.7-79.1개월) 동안 만기사망은 1예(10%)로 술 후 5개월 뒤 중추신경계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1예(10.0%)에서 압력차 30mmHg 이상의 폐동맥판 협착이 발견되었고 2예에서 좌폐동맥 협착으로 풍선확장술이 필요하였으며 이 중 1예(10%)에서 술 후 52개월만에 재수술이 필요하였다. 무증상의 중등도 대동맥판 폐쇄부전증이 1예(10%)에서 발견되었다. 수술사망을 포함한 5년 생존율은 68.3%였다. 결론: 대동맥궁기형을 동반한 폐동맥하 심실중격결손의 양대혈관 우심실기시증 환자에서는 높은 수술사망률을 보였으나 동반하지 않은 경우는 낮은 수술사망률과 재수술률을 보여 동맥전환술이 이 심기형에서 유용한 수술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활로씨 4징증을 동반한 완전방실중격결손의 수술치험 -1례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Complet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with Tetralogy of Fallot - Report of one case -)

  • 이재훈;이광숙;박남희;최세영;박창권;유영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6호
    • /
    • pp.460-462
    • /
    • 2002
  • 본 저자들은 활로씨 4징증을 동반한 완전방실중격결손 환자에서 완전교정수술을 시행하였다. 술전 검사로 심초음파, 심도자검사, 심조영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체외순환을 시행하여 두 개의 첩제를 이용하여 방실중격결손을 폐쇄하였고, 우심실절개와 폐동맥판교련술을 통해 우심실 누두부 절제술과 경판륜 첩제를 사용하여 우심실유출로 확장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시행한 초음파 검사상 경도의 승모판과 삼첨판의 폐쇄부전이 나타났으나 혈역학적 이상소견은 없었다.

완전방실중격결손수술의 단순화 (Simplified Approach to Repair of Complet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 김웅한;김수철;오삼세;정도현;정홍주;김욱성;이창하;정철현;나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9호
    • /
    • pp.899-902
    • /
    • 1998
  • 최근들어 완전방실중격결손에 대한 해부학적 이해의 증가로 새로운 방법에 의한 교정이 시도되고 있다. 본 부천세종병원 흉부외과에서는 완전방실중격결손환자 2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통상적인 수술방법을 간소화 하여 심실중격부위의 큰 결손을 포편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봉합해 주었다. 수술후 두 환자 모두 양호한 경과를 보였으며 3개월 까지의 외래 추적에서도 별다른 문제가 없었다. 비록 이렇게 간소화된 수술방법으로 통상적인 교정방법에 필적 할 만한 단기성적을 2 례에서 얻을 수 있었으나 좌심실유출로 협착이나 판막 기능의 장애없이 방실중격결손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좀더 많은 경험과 장기 추적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PDF

양대혈관 좌심실기시에서 좌심실에서 우심실로의 폐동맥간 전위술의 치험 -1례 보고- (Pulmonary Trunk Translocation from LV to RV in Double-Outlet Left Ventricle -A case report-)

  • 김상익;최진호;전태국;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1호
    • /
    • pp.854-857
    • /
    • 2001
  • 양대혈관 좌심실기시는 양대혈관이 좌심실에서 기시하는 드문 선천성 심장기형으로 정확하게 진단하기가 어렵다. 환아는 생 후 2개월에 대동맥축착교정술 및 폐동맥교약술을 받았던 3세된 남아로 대동맥하 심실중격결손, 단일관상동맥을 동반한 양대혈관 좌심실기시로 진단되어 심실중격결손의 첩포봉합, 난원공개존의 봉합 폐동맥 교약부 절제, 그리고 폐동맥간을 좌심실에서 분리 후 우심실로 전위시켜 우심실 유출로 재건술을 받았다. 본 술식은 술 후 좋은 혈역학적 특성을 보였고, 자가조직을 사용함으로써 전위된 폐동맥의 성장잠재성과 판막 기능의 보존으로 술 후 폐동맥 폐쇄부전과 관련된 우심실기능부전의 가능성이 줄어드는 장점이 예상되므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비상관성 심실중격결손중을 동반한 양대혈관우심실기시증 환자에서의 양심실성 교정 (Bivenrticular Repair of Double Outlet Right Ventricle with Remote Ventricular Septil Defect.)

  • 방정현;이영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7호
    • /
    • pp.641-646
    • /
    • 1997
  • 세종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5년 5월부터 1996년 9월까지 비상관성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한 양대혈관우심 실기시증 환자 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2세에서 9세로 평균 3.4$\pm$2.7세였으며 남녀비는 남자가 5례, 여자가 2례이었다. 술전 전례에서 심초음파 및 심도자 검사를 시행하였다. 심실중격결손은 7례모두가 비 상관성으로 막주변입구부형이었으며, 폐동맥협착이 5례, 폐동맥폐쇄가 2례 있었다. 5례의 환자에서 삼첨판막 건삭이 비정상적으로 누두부중격에 붙어있는 소견을 보여주었다. 수술은 2례에서 심실내교정술 및 폐동맥확 장술을, 3례에서 Rastelli술식을, 2례에서 REV 술식을 시행하였다. 술후 사망한 환자는 없었고, 추적조사는 1 개월에서 18개월로 평균 10$\pm$6개월 이었다. 비상관성 심실중격결'손을 가지는 양대혈관우심실기시증 환자에서 삼첨판막 건삭이 비정상적으로 누두부 중격에 붙어있는 경우에 건삭 또는 건삭을 포함한 누두부 심근의 재이식술을 이용함으로써 양심실성 교정술 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정상적인 해부 구조와 생리를 가능하게 하는 잇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추적기간이 아직 짧지만 수술결과는 비교적 만족할만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수술 전에 정확한 검사 및 병태생리학적인 이해가 필요하며 그에따른 적절한 수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