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실중격결손증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19초

심실중격결손, 큰 대동맥폐동맥 부행혈로를 동반한 폐동맥폐쇄환자의 정중절개일차완정교정술 - 1 례 보고 - (Midline One-Stage Complete Unifocalization and Repair for Pulmonary Atresia. Ventricular Septal Oefect associated with Maior Aortopulmonary Collaterals 1 case report)

  • 김웅한;이영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524-527
    • /
    • 1997
  • 폐동맥폐쇄, 심실중격결손증 그리고 큰 대동맥폐동맥 부행혈관이 합병된 선천성심장병은 매우 드물고 폐 혈류공급원에 있어서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복합병변이다. 세종병원 흉부외과는 이러한 질환이 있는 9 개월된 남아 1례에서 정중절개를 톤해 자가조직만을 이용한 폐동맥형성을 포함한 조기 일차완전교정술을 시 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영아에서 시행한 심실중격결손이 동반된 Ebsein's 기형의 삼첨판막 성형수술 (Surgical Rrepair of Ebsteins Anomaly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 in the Infant)

  • 유지훈;박표원;성기익;박계현;이영탁;전태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2호
    • /
    • pp.890-893
    • /
    • 2002
  • Ebstein기형은 드문 선천성 심기형 중 하나초 삼첨판엽중 중격엽과 후엽이 판막균으로부터 하향 전위되어 신방화 심실을 형성하는 질환이다. 대부분 환자에서 나이가 들어가면서 삼첨판 폐쇄부전, 청색증, 우심실 기능저하 등의 증상이 생긴다 또한 드물게 심실중격결손, 승보판의 이상, 대혈관 전위등을 동반한다. 본원에서는 Ebstein기형, 실실중격결손, 이 중 승모판이 동반된 8개월된 남아에 대해 심방화된 심실의 주름성형술과 이차건삭 제거 및 유두근 절개, 하향 전위된 판막엽을 판막륜쪽으로 재부착, 자가 심낭 펠트를 이용한 판막윤 성형술을 이용하여 성공적으포 수술하였다. 수술 후 환아는 심장크기가 줄어들었고 심초음파상 삼첨판 폐쇄부전은 거의 없었다 현재 환아는 별다른 투약없이 건강하게 자라고 있다.

심실중격결손 봉합이 우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mple VSD Repair on Doppler-Derived Right Ventricular Systolic Time Interval)

  • 정태은;이영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24-129
    • /
    • 1999
  • 배경: 심실 중격 결손으로 인한 좌우 단락은 폐정맥 환류의 증가로 인한 좌심방 및 좌심실의 비대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폐동맥압이나 폐혈관 저항을 증가 시키므로 우심실의 후부하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폐동맥 고혈압을 추정하는 하나의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우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의 변화를 추적하여 우심실 부하의 변화 정도를 확인하고, 이를 심실 중격 결손 환아의 술 후 관리 지침에 반영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다른 심기형이나 증후군을 동반하지 않은 단순형 심실중격결손으로 진단받고, 봉합술을 전후하여 어떠한 전신 질환이나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12명을 대상으로, M-mode 및Doppler 심초음파도를 이용하여 봉합술 전, 술후 3개월 그리고 술후 6개월에서 1년 사이(평균9.5$\pm$1.8개월)의 심박수, 좌심방/대동맥 내경비(LA/Ao), 우심실 박출 전기(right ventricular pre-ejection period : RVPEP)와 우심실 박출 기간(right ventricular ejection time : RVET)을 구하여 그 비(RVPEP/RVET)의 변화를 알아 보았다. 결과:심박수는 술후 실시한 두 차례의 검사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137.1$\pm$13.7 vs 114.4$\pm$21.1 and 104.1$\pm$10.2, p<0.01). 좌심방/대동맥 내경비는 술후 실시한 두 차례의 검사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1.71$\pm$0.32 vs 1.47$\pm$0.33 and 1.390.23, p<0.05). RVPEP/RVET는 술후 두 차례의 검사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0.38$\pm$0.09 vs 0.32$\pm$0.08 and 0.29$\pm$0.09, p<0.01) 각각을 심박수로 교정한 RVPEP/RVET는 술후 3개월에는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으나 술후 6개월에서 1년 사이에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0.32$\pm$0.03 vs 0.30$\pm$0.05 and 0.28$\pm$0.06, p<0.05). 결론: 심실중격결손으로 인한 좌우 단락은 폐동맥압의 증가를 유발하여 우심실의 후부하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우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의 변화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우심실의 과부하 상태가 수술적 교정 직후부터 정상으로 회복되기 시작하나, 단순형 심실중격결손이라 할지라도 술후 6개월 이상까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기관절개구가 있는 환아에서 심실중격결손증의 치험-1례보고- (Closure of VSD in a Patient with Tracheostoma-A case report-)

  • 김상익;박철현;박국양;오상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3호
    • /
    • pp.246-251
    • /
    • 2001
  • 심장 탈장은 심낭을 열고 전폐절제술을 시행 후 드물게 발생되는 합병증으로 수술이 끝날때나 수술직후 발생된, 44세 남자환자에서 심낭을 열고 좌측 폐를 전절제술 후 심낭 결손부위를 인공조직으로 봉합하였다. 수술이 종료될 때 심장탈장이 발생되어 개흉에 의한 응급 복원을 시행하였으나 심한 저 산소성 뇌 손상이 발생되었다.

  • PDF

AESOP을 이용한 좌측 최소개흉술하 동맥하형 심실중격 결손증 교정술 - 1예 보고 - (Repair of the Subarterial Type of VSD via a Left Minithoracotomy with using AESOP - A case report -)

  • 문덕환;이재원;조현진;제형곤;정성호;주석중;송현;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630-632
    • /
    • 2008
  • AESOP (Automated Endoscope System for Optimal Positioning)을 이용한 최소 침습적 심장 수술은 고식적인 정중흉골 절개술을 이용한 심장 수술에 비하여 수술 상처가 작고, 수술 후 환자의 회복이 빠르며, 입원 기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장점이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26세 여자 환자에서 좌측 최소 개흉술을 이용한 동맥하형 심실중격 결손증의 교정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심실중격결손 교정술 전후의 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 (Ventricular Systolic Time Interval)의 변화 (Effect of Surgical Closur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on Ventricular Systolic Time Intervals)

  • 이현경;이영환;이장훈;김도형;백종현;이동협;이정철;한승세;정태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7호
    • /
    • pp.511-516
    • /
    • 2002
  • 배경: 단순 심실중격결손증의 수술적 교정이 심실 수행능력의 지표로 사용되는 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을 측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아는 비제한성 심실중격결손을 가진 30명으로 수술 당시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5$\pm$3.2개월이었다. 심초음파를 이용한 추적 평가 항목은 좌심방/대동맥 내경비, 좌심실 구축율, 좌심실 수축기 시간간격 및 우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을 조사하였다. 심초음파는 술 전과 술 후(술 후 첫 번째: 수술 후 2주이내, 술 후 두 번째: 수술 후 4~6개월, 술 후 세 번째: 수술 후 1~2년)에 실시하였다. 결과: 좌심방/대동맥 비는 수술 직후 감소하였으나(1.74$\pm$0.37 to 1.36$\pm$0.24*, 1.32$\pm$0.22*, and 1.27$\pm$0.19*, p<0.01:술 전과 비교), 좌심실 구축률은 추적 기간 동안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65.1$\pm$7.0 to 62.3$\pm$$\pm$9.5, 62.8$\pm$5.7, and 64.1$\pm$6.9 단위 %). 좌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LVPEP/LVET)은 술 후 두 번째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유의한 감소 추세를 보였다(0.46$\pm$0.13 to 0.46$\pm$0.11, 0.37$\pm$0.08*, and 0.34$\pm$0.07*, p<0.01:술 전과 비교). 우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RVPEP/RVET)은 술 후 1년이 경과 한 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0.33$\pm$0.08 to 0.32$\pm$0.08, 0.31$\pm$0.07, and 0.27$\pm$0.05*, p<0.01:술 전과 비교). 결론: 심실중격결손증 수술 후 심실의 수축기 시간 간격은 술 후 1년 후까지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 기간동안에는 추적관찰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폐동맥 협착과 심실 중격 결손을 동반한 대혈관 전위에서 시행한 반회전 동맥간 전환술 (Half-turned Truncal Switch Operation for Transposition of Great Arteries,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Pulmonic Stenosis)

  • 임홍국;황성욱;이철;김종환;김준석;이창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45-149
    • /
    • 2006
  • 폐동맥 협착과 심실 중격 결손을 동반한 대혈관 전위를 갖는 환자들에 대한 수술은 Rastelli 수술법이나 Lecornpte 수술법이 전통적으로 시행되어 왔으나, 심실 내 터널에 의한 뒤틀린 좌심실 유출로와 부자연스러운 우심실 유출로에 의해 장기 성적은 만족스럽지 않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저자들은 이 기형으로 진단된 3세 환아(체중 9.6 kg)에서 반회전 동맥간 전환술(half-turned truncal switch operation)을 시행하였다. 술 후 심초음파 검사에서 좌심실유출로와 우심실유출로가 곧고 넓게 형성되어 향후 좋은 장기 결과가 기대된다.

심실중격결손증 및 동맥관개존증을 동반한 선천성 교정형 대혈관전위증 1례 보고 (Congenitally Corrected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associated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Patent Ductus Arteriosus - One case report -)

  • 장동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0권4호
    • /
    • pp.786-792
    • /
    • 1987
  • Congenitally corrected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is a congenital cardiac anomaly with ventriculoarterial discordant connection and atrioventricular discordant connection. This report describes a 17 year old male patient who had congenitally corrected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associated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patent ductus arteriosus, underwent patch closure of the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suture clos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and was discharged on 9th day after surgery with good cond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