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심실수

Search Result 363,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Detection of Ventricular Fibrillation using Time-Frequency Analysis (시간-주파수 공간 분석법을 이용한 심실세동의 자동 검출에 관한 연구)

  • 이승하;황성오;윤영로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0 no.6
    • /
    • pp.561-571
    • /
    • 1999
  • 심실세동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가장 치명적인 부정맥으로서, 심실세동의 발견즉시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못할 경우 환자는 급사한다. 심실세동을 정지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전기적 제세동이며 이는 환자의 심장 부위에 전기적 에너지를 가해 정상 심장 리듬을 되찾도록 하는 방법이다. 심실세동의 발생은 예측할 수 없고, 이를 진단하기 위한 심전도 교육을 모든 의료인에게 할 수 없으므로 심전도를 자동 분석하여 심실세동을 조기에 검출하는 자동 분석장치의 개발은 심실세동에 의한 급사를 줄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차간섭성분의 제거 능력이 뛰어나며 쉽게 구사할 수 있는 Choi-Williams distriguteion (CWD) 방법을 이용하여 급사를 초래할 수 있는 심실세동을 자동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두 그룹의 심실세동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검출 알고리즘은 심실세동의 시간 및 주파수 특성을 일곱가지 조건들에 대한 만족 여부를 이용하여 심실세동을 판정하였고, 실험의 민감도와 선택도는 각각 92.1%, 97 .2% 이다.

  • PDF

Effects of KCNQ1 S140G Mutation in Human Ventricular Fibrillation Mechanism

  • Jeong, Da-Un;Im, Gi-Mu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7.03a
    • /
    • pp.665-671
    • /
    • 2017
  • Iks 칼륨 전류에 관여하는 KCNQ1유전자의 S140G 돌연변이는 심방세동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돌연변이 유전자로, 심방세동과 S140G 돌연변이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S140G 돌연변이 유전자가 심방 세동 환자의 심실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선행연구를 비롯하여 심방과 심실의 활동전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KCNQ1 S140G 돌연변이 유전자의 심실세동에 대한 영향과 그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KCNQ1 S140G 돌연변이 유전자가 심실세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그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차원 세포 모델을 비롯하여 2차원 심실세동 반응과 3차원 전기 생리학 및 기계적 수축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3차원의 전기생리학 및 기계적 수축 시뮬레이션에서는 심실의 박출 활동을 확인하기 위한 정상 박동 시뮬레이션과 심실 세동 발생시의 심실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세동 시뮬레이션을 각각 진행하였다. 그 결과 KCNQ1 S140G 돌연변이로 인해 심실의 Iks가 증가되었으며, 그로 인해 심실의 활동 전위기간(APD)과 불응기(ERP)가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활동전위 지속 곡선(APDr)과 불응기 지속 곡선(ERPr)이 완만하게 나타났으며, 심근세포의 전도파장이 감소하였다. 3차원 정상 박동 시뮬레이션의 결과 표준형에서 보다 KCNQ1 S140G 돌연변이형에서 심실이 소모하는 ATP의 양과 박출계수가 감소하였다. 3차원 세동 시뮬레이션 결과 표준형에서는 심실세동이 종결되었으나, S140G 돌연변이 형에서는 심실세동이 종결되지않고 유지되었으며, 심실세동이 빠르게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KCNQ1 S140G 돌연변이로 인해 증가된 심실의 Iks는 심실의 박출 효율을 감소시키고 심실세동을 발생시키고 유지시키며, 부정맥 발생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

  • PDF

Ventricular Tachycardia Arrhythmia Detection Using R-R Interval (심전도 신호의 R-R 간격 정보를 이용한 심실빈맥 부정맥 검출)

  • Lee, Seong-Taek;Yoon, Tae-Ho;Shin, Seung-Won;Lee, Sun-Ju;Kim, Kyeong-Seop;Lee, Jeong-Wh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474-475
    • /
    • 2008
  • 심실 빈맥은 심실에서 비정상적인 전기자극 발생으로 인하여 심박수가 분당 $100{\sim}120$회를 초과하는 부정맥 증상을 일컫는다. 심실 빈맥이 발생하는 경우 심박출량이 감소하고, 폐에는 미처 나가지 못한 피가 고이는 경우도 발생하여 심부전증이 나타나거나 심실 세동으로 발전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매우 위험한 부정맥 중의 하나이므로 심실 빈맥 검출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R 간격 정보를 이용하여 심실 빈맥 부정맥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는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f Interventricular volume Pressure in a Totally Implantable Electromechanical Artificial heart (완전 이식형 전기기계식 인공심장 심실간 공간 압력 파형에 관한 연구)

  • Jo, Yung-Ho;Choi, Won-Woo;Park, Seong-Keun;Lee, Dong-Joon;Choi, Jae-Soon;Kim, Hee-Chan;Min, Byoung-Goo
    • Proceedings of the KOSOMBE Conference
    • /
    • v.1995 no.11
    • /
    • pp.222-226
    • /
    • 1995
  • 인공심장에서의 박출량제어는 전부하에 따른 심박출균형, 심실내 완전충만과 완전구출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심장 내부의 심실간 공간 압력파형을 심박출량의 제어에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심실간 공간의 압력파형을 심실 유입부와 유출부의 혈류량에 대한 정보, 이동작동기의 위치신호와 동기시켜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압력파형의 해석을 바탕으로, 심실간 공간의 음압 크기로 좌,우 심방압을 추정하고 작동기의 좌,우 수축기때 심실간 공간의 음압크기를 비슷하게 유지하도록 작동거리를 제어하면 좌우 심박출 균형을 이룰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심실의 완전충만과 완전구출의 실현을 위한 심실 충만 정도를 추정할 수 있게 하는 인자를 제시하였다.

  • PDF

Assessment of PVC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Arrhythmia by R-R Interval in ECG (심전도 R-R 간격 정보를 이용한 심실조기수축 부정맥 검출)

  • Yoon, Tae-Ho;Lee, Sun-Ju;Kim, Kyeong-Seop;Lee, Jeong-Whan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2 no.2
    • /
    • pp.15-21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lgorithm to assess the abnormal heart beats such as PVC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and its subsequent RUNs. Our Arrhythmic detection scheme is based on only the R-R Interval features extracted from ECG waveforms and MIT-BIH arrhythmia database is evaluated to validate the efficiency of our algorithm in terms of sensitivity, specificity, FPR(%) and FNR(%).

  • PDF

The Skinny on Wide QRS Complexes (심전도 증례 토론 - QRS군 확장의 내막(內幕) -)

  • Lee, Shin-Whi
    • The Journal of the Korean life insurance medical association
    • /
    • v.27 no.2
    • /
    • pp.61-65
    • /
    • 2008
  • 보험 청약자의 심전도에서 볼 수 있는 widened QRS 군은 심실내전도장애, 조기흥분증후군, 좌심비대, 심실성 조율, 고칼륨혈증, 심실성 율동 등으로 인해 나타난다. 임상정보와 기본적인 심전도 판독기술로 감별진단을 할 수 있다. 심실내 전도장애는 전형적인 심전도 소견을 확인한 후 보다 광범위한 전도계 질환과(또는) 심근을 침범하는 질환을 동반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심전도 소견이 있는지 자세히 검토하여 위험평가를 하도록 한다.

  • PDF

Membranous PTEE Monocusp Vlave on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막형 PTEE 단엽판막을 이용한 우심실 유출로 확장수술)

  • 박영환;홍유선;이현성;이종균;조범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4
    • /
    • pp.322-328
    • /
    • 2001
  • 배경: 우심실 유출로 재건술후에는 폐동맥판막부전이 우심실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이를 막기 위해 여러 재료로 판막을 제조하여 사용하는데 가피 형성이 적은 막형 ePTE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Goretex) 단엽판막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3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우심실유출로 재건술을 시행받고 수술 1일까지 우심실 압력을 측정할 수 있었던 47명중 막형 Goretex단엽판막을 사용한 환자(비교군) 19명, 사용하지 않은 환자(대조군) 28명에서 단엽판막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두 군간에는 나이, 체중 그리고 McGoon ratio 등에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이전의 수술은 대조군에서 19번, 비교군에서 22번을 시행하였다. 우심실 유출로에 대한 수술은 대조군에서 REV수술 2예, 우심실폐동맥 연결수술 8예, 우심실 유출로 재개건술 2예, 우심실 유출로에 대한 수술은 대조군에서 16예였으며, 비교군에서는 REV 수술 5예, Rastelli 씨 수술 6예, 재우심실 유출로 재건술 5예, 그리고 우심실 재건술 3예였다. 결과: 대동맥 차단 시간이나 총심폐순환시간에는 두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수술직후와 수술후 1일째 측정한 우심실 압력 및 좌심방압력의 차이도 두군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수술후 7일째 시행한 심에코도 결과 ejection fraction., 우심실/ 좌심실 압력비 , 그리고 우심실 유출로의 압력차, 강심제 투여일수, 호흡기 사용 기간 등에서도 두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흉관 삽입기간이 비교군에서 의미있게 짧았다. 추적 조사 기간 중 비교군 1예에서 사망을 하였으나. Goretex 단엽판막에 의한 것은 아니였으며 심초음파검사상 우심실 유출로 압력차이나 재수술은 두군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폐동맥 폐쇄부전은 비교군에서 의미 있게 낮은 것을 보이고 있다. 결론; 막형 Goretex 단엽판막의 조기성적은 우수하였으며 폐동맥 폐쇄분전의 정도를 적게 하는 효과를 보이나 앞으로 이들이 성장함에 따라 우심실 유출로에 폐쇄를 일으키는지는 계속적인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 PDF

Transcatheter Closure of a Residual Shunt after Surgical Repair of Traumatic Ventricular Septal Defect (외상성 심실중격결손 수술 후 잔존하는 심실중격결손에 대한 중재적 심도자술을 이용한 폐쇄)

  • Jeong, Hee Jeong;Lim, Han Hyuk;Yu, Jae Hyun;Lee, Jae Hwan;Kil, Hong Rya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8 no.10
    • /
    • pp.1143-1143
    • /
    • 2005
  • The traumatic 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is a rare but potentially life threatening complication of chest wall injury. The traumatic VSD occurs in up to 4.5% of penetrating cardiac trauma. Most of the patients are usually operated on because of heart failure and/or significant left-to-right shunt. The feasibility of surgical repair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may be affected by coexisting pulmonary, cerebral or other vascular injuries. Transcatheter closure of VSD is being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herapeutic modality to surgery in order to avoid the potential risk of cardiopulmonary bypass. We report a patient who underwent a successful transcatheter closure of VSD with an $Amplatzer^{(R)}$ VSD occluder. The patient had a residual VSD with significant left-to-right shunt after surgical repair of post-traumatic VSD using cardiopulmonary bypass.

Estimation of Stroke Volume Based on Air Pressure in Air Tube with Pneumatic Pulsatile Ventricular Assist Device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에서 공압관 내 공기압에 따른 박출량 추정)

  • Kang, Yu Min;Lee, Jin Hong;Her, Keun;Choi, Seong Woo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8 no.12
    • /
    • pp.971-974
    • /
    • 2014
  • A ventricular assist device (VAD) is used for bridge to heart transplantation and heart diseases. Knowing the status of a pneumatic pulsatile VAD when implanting it into the body is important: when the velocity of blood flow through the VAD is slow, a thrombus may occur, and thrombosis can be fatal to a patient. In order to determine the state of a VAD, various sensors need to be implanted. Because this introduces the risk of infection and difficulties with sensor management, we developed a method for estimating the state of a VAD indirectly via the pressure in an air tube that can be measured in vitro. We compared the measured values to in vitro experimental results. The estimated and measured values showed some errors, but the accuracy can be improved by refining the estimation process to minimize the risk of infection.

Effect of Simple VSD Repair on Doppler-Derived Right Ventricular Systolic Time Interval (심실중격결손 봉합이 우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에 미치는 영향)

  • 정태은;이영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2 no.2
    • /
    • pp.124-129
    • /
    • 1999
  • Background: Ventricular septal defect(VSD) that causes pulmonary hypertension increase right ventricular workload. Echocardiographic assessment of right ventricular systolic time interval (RVSTI) has been used to predict pulmonary artery pressure in various cardiopulmonary diseases.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infants with simple VSD to observe the alteration of the right ventricular workload through the changes of RVSTI after repair of VSD. Material and Method: We evaluated heart rate, the ratio of the left atrium/aortic root diameter (LA/Ao), right ventricular pre-ejection period(RVPEP), right ventricular ejection time(RVET), and its ratio(RVPEP/RVET) as a predictor of right ventricular workload in 12 children with simple VSD. These were measured three times at the preoperative period, at the 3 month and between 6 month and 1 year(average 9.5${\pm}$1.8month) after repair of VSD by M-mode & Doppler echocardiograph from the pulmonic valve echogram. Result: Heart rat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repair(137.1${\pm}$13.7 vs 114.4${\pm}$21.1 and 104.1${\pm}$10.2, p<0.01). LA/Ao ratio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repair(1.71${\pm}$0.32 vs 1.47${\pm}$0.33 and 1.39${\pm}$0.23, p<0.05). RVPEP/RVET were decreased after repair (0.38${\pm}$0.09 vs 0.32${\pm}$0.08 and 0.29${\pm}$0.09, p<0.01). Heart rate corrected RVPEP/RVE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after 6 months(0.32${\pm}$0.03 vs 0.30${\pm}$0.05 and 0.28${\pm}$0.06, p<0.05). Conclusion: We found elevated right ventricular workload was progressively decreased until more than 6 months after repair and the RVSTI may serve a useful guide in postoperative care for children with VS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