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부전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36초

심근 성형술 1례 보고 (First Successful Dynamic Cardiomyoplasty in Korea)

  • 박국양;박철현;현성열;김주이;권진형;최인석;이현재;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4호
    • /
    • pp.393-397
    • /
    • 1998
  • 25세된 말기 심부전 환자에게 한국에서는 최초로 광배근을 이용한 심근 성형술이 성공적으로 실시되었다. 환자는 약 심근수축력이 30%인 상태로 94년과 96년에 한차례씩 심부전으로 입원한 적이 있으며 수술직전 임상상태는 NYHA functional class III 였다. 간조직 검사상 만성 활동성 간염으로 판명되었으며 환자는 간염 항원이 양성으로 심장이식대상에서 제외되었다. 1996년 7월 30일 좌측 광배근을 이용하여 심근 성형술을 실시하였다. 측와위로 광배근을 박리한후 자극전극을 설치하였으며 흉골 정중 절개로 심장을 노출한 후 광배근으로 심장을 감싸주고 심근 전극을 설치한 후 좌상부 복부에 심장근육자극기를 설치하였다. 총 수술시간은 약 7시간 30분이 소요되었으며 환자는 수술후 일시적인 심방 조동(atrial flutter)을 보여 심도자실에서 동율동으로 환원시킨 것외에는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다. 환자는 수술후 6주째 자극기의 빈도가 1:4인 상태에서 퇴원하였으며 통원치료중 1:1로 근육훈련을 마친 후 현재는 수술후 6개월째 자극빈도가 1:4인 상태에서 외래 추적중이다. 심초음파상 수축력의 차이는 없으나 환자의 임상 활동은 수술전보다 양호해진 상태이다.

  • PDF

심부목굽힘근 운동이 만성 목통증 환자의 통증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ep neck flexor exercise on pain and neck disability index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 이규창;이동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331-4337
    • /
    • 2010
  • 본 연구는 만성 목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심부목굽힘근 운동을 적용하여 통증, 목장애지수, 그리고 심부목굽힘근의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목통증 환자 37명을 무작위로 도구를 이용한 중재와 심부목굽힘근 운동을 시행하는 실험군과 도구를 이용한 중재만을 실시하는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모든 중재는 12주 동안 주 3회 실시하였다. 실험 전, 6주 후, 그리고 12주 후에 통증을 평가하기 위한 VAS, 기능을 평가하는 목 장애지수, 그리고 심부목굽힘근의 지구력을 측정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두 군 간의 차이를 검증을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심부목굽힘근 운동이 적용된 실험군에서 통증과 목장애지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5), 심부목굽힘근의 지구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심부목굽힘근 운동이 만성 목통증 환자에게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심부목굽힘근 운동은 통증과 기능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만성 목통증 환자의 삶의 질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재활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일차 심장 이식 후 발생한 Cardiac Allograft Vasculopathy의 치료로서의 심장 재이식 - 1예 보고 - (Heart Retransplantation in a Patient with Cardiac Allograft Vasculopathy after Primary Heart Transplantation? - A case report -)

  • 심만식;성기익;김욱성;이영탁;전은석;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73-76
    • /
    • 2010
  • Cardiac allograft vasculopathy (CAV)는 심장 이식 환자의 장기 생존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합병증으로서 원위부 혈관의 미만성 병변을 가지는 것이 특징으로 재관류요법을 적용하기 어렵고 성적이 좋지 않다. CAV에 대한 치료로서 심장 재이식은 급성거부반응으로 재이식을 하는 경우보다 예후가 좋고 일차 심장이식 후의 결과와 비슷한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28세 남자 환자로 8년 전에 확장성 심근증으로 일차 심장이식을 받은 뒤 만성 거부 반응으로 CAV가 발생하여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을 시행하였으나 재협착과 심부전의 반복으로 더 이상의 재관류요법이 어려운 환자에게 심장 재이식을 하여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신생아기에 발견된 단독 심실 비치밀화증 1예에서 관찰된 NT pro-BNP의 변화 (Changes in 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in a neonate with symptomatic isolated left ventricular noncompaction)

  • 송지현;김여향;김천수;이상락;권태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호
    • /
    • pp.129-132
    • /
    • 2009
  • 저자들은 청색증과 끙끙거림, 심비대로 전원되어 심장 초음파 검사에서 좌심실에 발생한 단독 심실 비치밀화증을 가진 신생아 1예를 경험하였다. 환자에서 측정한 NT pro-BNP는 높았고, 수유 곤란과 빈호흡을 동반한 심부전 증상이 있었다. 심부전증에 대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주기적으로 시행한 NT pro-BNP가 더 높아지면서 환자에게서 급성 심정지가 발생하였고, 심폐소생술 이후 NT pro-BNP가 다시 낮아지면서 심부전 등의 증상은 호전을 보였다. 심초음파 검사와 함께 NT pro-BNP를 주기적으로 검사해 보는 것이 병의 경과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요크셔테리어 개에서 심장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된 심장내 종괴 2 증례 (Echocardiographic Diagnosis of Intracardiac Masses in Yorkshire Terrier Dogs : 2 Cases)

  • 한동현;김현지;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83-487
    • /
    • 2012
  • 심장에 발생하는 원발성 그리고 전이성 종양은 개에서는 흔치 않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심장초음파적 진단을 이용하여 요크셔테리어 2마리에서 발생한 심장내 종괴를 확인하였다. 첫째 증례에서의 종괴는 상행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중증도의 대동맥 역류와 좌심실의 확장을 유발하고 있었다. 이 증례의 환자등급은 ISACHC II 등급의 심부전으로 분류되었다. 환자에 대한 심장처방으로는 furosemide, enalapril, pimobendan 그리고 경구적인 화학요법으로는 lomustine가 처방되었다. 둘째 증례에서의 종괴는 좌심방의 2/3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좌심방의 확연한 확장과 심각한 이첨판 역류 (~5 m/s) 를 유발하고 있었으나, 환자의 심부전 등급은 ISACHC Ib 등급으로 심각한 울혈성 심부전은 나타나지 않았다. 종괴의 성상은 cardiac myxoma로 추정되었으나, 조직생검검사는 보호자의 거절로 인하여 수행되지 않았다. 환자에 대한 심장처방으로는 ramipril, clopidogrel 그리고 기관지 확장제는 aminophylline이 처방되었다. 본 증례의 두 환자들은 여전히 생존해 있으며, 정기적인 검진을 받고 있다.

의료서비스의 과정적 질과 잠재적으로 예방 가능한 재입원율과의 관계 (Does Process Quality of Inpatient Care Serve as a Guide to Reduce Potentially Preventable Readmission (PPR)?)

  • 최재영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7-106
    • /
    • 2018
  • Purpose: 본 연구는 미국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에 위치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급성심근경색증, 심부전, 폐렴을 주진단으로 받은 메디케어 입원환자들에게 제공된 의료서비스의 과정적 질과 잠재적으로 예방이 가능한 30일 이내 위험 보정 재입원율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Methods: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잠재적으로 예방이 가능한 30일 이내 위험 보정 질환별 재입원율이며 3M PPR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재입원의 예방 가능 여부를 결정하였다. 미연방 의료 비용 및 이용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 미국병원협회의 병원조사 자료, 미연방 보건복지부소속 메디케어 및 메디케이드 서비스 센터의 병원비교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위계적 구조를 고려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indings: 의료서비스의 과정적 품질과 퇴원 후 30일 이내 잠재적 예방 가능 위험도 보정 재입원율과의 관계는 질환별로 차이를 보였다. 폐렴의 경우 의료서비스의 과정적 질은 30일 이내 잠재적 예방 가능 보정 재입원율과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였으나, 급성심근경색증과 심부전의 경우 대체로 유의한 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다. Practical Implications: 잠재적으로 예방 가능한 급성심근경색증, 심부전 재입원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의료기관에서 가이드라인으로 따를 수 있는 더욱 다양한 근거 중심의 과정적 질 지표의 개발에 대한 정부와 보건의료계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첨판 패쇄부전증에 이환된 개에서 NT-proBNP농도, 비만, 당 관련 인자 및 지방 관련인자간에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NT-proBNP and Obesity, Glucose and Lipid Profiles in Dogs with Chronic Mitral Valve Insufficiency)

  • 이승곤;남효승;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1-276
    • /
    • 2012
  • 사람에 연구에 따르면 심부전 진단에 널리 사용되는 NT-proBNP농도는 비만, 비만 관련인자들과 밀접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관관계는 아직까지 수의분야에서는 입증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정도의 이첨판 패쇄부전증(CMVI)에 이환된 73마리 개 집단에서 NT-proBNP와 비만 및 비만 관련인자들간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다. 절식시 혈당 농도, 지방관련 인자(i.e., total triglycerides [TG], total cholesterol [TC],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fructosamine, insulin 및 NT-proBNP 농도를 측정하였다. Insulin/glucose ratio 역시 계산하였다. NT-proBNP 농도는 CMVI에 의한 심부전의 정도에 따라 농도변화가 관찰되었으며, body condition scores (BCS), insulin 및 fructosamine 농도와도 관련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비만과 혈중 NT-proBNP농도 간에 상관관계 역시 확인되었다. 또한 NT-proBNP농도는 비만과 관련 있는 인자인 fructosamine과 insulin농도와도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개에서 NT-proBNP농도와 비만 정도와 상관관계를 입증한 첫 보고이다.

강화된 걷기운동 중재가 심부전 환자의 호흡곤란과 피로증상, 일상생활 기능상태, 보행능력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inforced Walking Exercise on Dyspnea-fatigue Symptoms, Daily Activities, Walking Abil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Heart Failure Patients)

  • 진혜경;이해정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66-27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reinforced walking exercise on dyspnea-fatigue symptoms, daily activities, walking abil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heart failur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 The participants (experimental group=16, control group=25)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Kyeong-nam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September, 2015. The reinforced walking exercise included goal setting and feedback (telephone and text message) provided for 12 weeks. Dyspnea-Fatigue Index, Korean Activity Scale/Index (KASI), six-minute walking distance (6MWD) and HRQoL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isher's exact test, $x^2$ test, and Kolmogrove-Smirnov test. Results: Prior to the interven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research variables between two groups. The exercise compli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100% (walking for 50 minutes per day, 5 times per week). The experimental group had improved dyspnea-fatigue symptoms (t=8.63, p<.001), daily activities (t=-4.92, p<.001), longer 6MWD (t=-5.66, p<.001), and increased HRQoL (t=-9.05, p<.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inforced walking exercise could be a cost-effective intervention in heart failure patient, which could enhance patients' outcomes, such as improving dyspnea-fatigue symptoms, daily activities, walk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잡종 개에서 이첨판 폐쇄 부전증이 합병된 난원공 개존증 (Patent Foramen Ovale Complicated with Chronic Mitral Valvular Insufficiency in A Mixed Dog)

  • 이동국;한숙희;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68-472
    • /
    • 2013
  • 12연령의 암컷 잡종개 (체중 6.2 kg)가 심한 복부 팽만, 지속적 기침 그리고 운동 불내성을 주증으로 진료 의뢰 되었다. 진단상에 복수, 경정맥 노장, 심한 좌우 심첨부 수축기 잡음 (4/6 단계), 후대정맥 확장을 동반한 전반적 심비대와 좌심방 확장이 관찰되었다. 심장 초음파에서는 퇴행성 이첨판막 그리고 삼첨판막 심내막증과 양심실성 울혈성 심부전이 관찰되었다. 좌우단락의 난원공 개존증 또한 있었다. 좌심실 수축능은 용적 과부하의 정도와 관계되어 떨어져 있었다. 진단적 결과에 기초하여, 본 증례는 ISACHC IIIa 심부전의 이첨판막과 삼첨판막 심내막증이 합병된 난원공 개존증으로 진단되었다. 이 개는 푸로세마이드 (2 mg/kg, q12hr, PO), 피모벤단 (0.3 mg/kg, q12hr, PO)와 스피로노락톤 (1 mg/kg, q12hr)으로 치료되었다. 임상 증상들은 약물 치료 후에 점차적으로 개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