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부전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33초

말기 심부전 환자의 좌심실 개조수술 1례보고 (A Case Report of Left Ventricular Remodeling Surgery on End-Stage Dilated Cardiomyopatty)

  • 임창영;기주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613-616
    • /
    • 1997
  • 저자들은 말기 확장성 심부전을 앓아온 58세의 여자환자에게 좌심실 내경을 줄여주는 좌심실개조수술을 시행하여 좌심실기능의 향상을 보았기에 증례보고를 하고자 한다. 본 환자는 1996년 9월에 심부전으로 인한 호흡곤란(NYHA 기능 4도)과 사지부종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입원시 심초음파검사상 좌심실 구축률 15%, 좌 심실 말기이완기 내경이 80mm, 승모판 폐쇄부전 4도, 삼첨판 폐쇄부전 2도였고 심박출량이 1.5L/min였고 심 박출계수는 1.0 L/min/m2 있단 이 환자에게 전방유두근과 후방유두근 사이의 좌심실 측벽을 절제하고 승모 판과 삼첨판 성형술을 실시하는 좌심실개조수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심초음파검사와 혈역학적 평가결과, 좌 심실 구축력 35%, 좌심실 말기이완기내경 50m였고, 승모판 기능 및 삼첨판 기능은 완벽하였다. 심박출량은 2.3L/ms 였고 심박출계수는 2.3umi m2였고 환자의 mID기능은 1도였다.

  • PDF

이중 박동성 인공심폐기(Twin-Pulse Life Support, T-PLS)를 이용한 심폐순환보조 (Extracorporeal Life Support with a Twin-pulse Life Support (T-PLS) System)

  • 이동협;이장훈;정태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7호
    • /
    • pp.512-516
    • /
    • 2007
  • 기계적인 순환보조장치는 급성호흡부전이나 심부전에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방편의 하나이다. 현재 여러 가지 형태의 순환 보조장치가 있으며 Twin-Pulse Life Support (T-PLS) system은 박동형 펌퍼의 한 종류다. 3예의 심한 심폐기능부전 상태 환자에게 순환보조장치로 T-PLS system을 사용하였다. 적응증은 인공호흡기와 강심제를 최대한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호흡부전이나 심부전이었다. 감염에 의한 호흡부전환자가 2예, 심근염에 의한 심부전 환자가 1예였다. 각각 한 명의 호흡부전환자와 신부전 환자가 생존하였는데 보조장치의 사용시간은 각각 3일과 5일이었다. T-PLS system은 순환보조장치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발성 장기부전이 오기 전에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폐부종 및 신부전을 동반한 개와 고양이에서 체외초미세여과법을 이용한 치료 (Application of Extracorporeal Ultrafiltration Therapy Given to a Dog and a Cat with Pulmonary Edema and Renal Failure)

  • 박형진;변석영;최준혁;이종복;송근호;서경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4-38
    • /
    • 2016
  • 1년동안 ACVIM C단계의 심부전 및 IRIS 4단계의 신부전으로 관리 중이던 13세의 중성화 잡종견과 급성으로 발병한 신부전으로 인한 요독증과 이에 속발한 형태의 폐부종이 동반된12세의 중성화 암컷 잡종 고양이가 본원에 내원하였다. 본 환자들에 체외초미세여과법을 이용한 투석요법을 적용하여 폐부종, 요독증 및 이에 동반된 전해질 및 산염기 불균형 등이 개선되었다. 본 증례는 초미세여과법을 이용한 투석요법이 이뇨제 저항성 및 심한 전해질 불균형이 있는 심장신장증후군 환자와 이뇨제를 이용한 폐부종 치료 도중 급성으로 신장기능 이상이 발생한 환자 등에서 생명을 구하는 치료옵션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식회화된 심낭 고리에 의한 심부전즙 - 1예 보고 (Heart Failure by a Calcific Pericardial Ring -A case report -)

  • 홍성범;안병희;류상완;정인석;김상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9호
    • /
    • pp.648-651
    • /
    • 2005
  • 석회화된 수축성 심낭염은 만성 염증에 대한 비특이적 반응으로 여겨진다. 원인은 결핵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최근 결핵이 감소하면서 이러한 형태의 심낭염은 점점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 질환의 다른 원인으로는 방사선 치료, 류마티스성 질환, 유육종증, 그리고 외상 등이 있다. 결국 수축성심낭염은 원인이 무엇이든지간에 심장 이완기의 혈액 충만이 감소함으로써 심낭 압전에 이를 수 있다. 저자들은 최근 석회화된 심낭 고리에 의해 심부전을 일으킨 수축성 심낭염 환자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다음, 다뇨, 저나트륨성 고혈압, 심부전증을 보이는 윌름씨 종양 1례 (Wilms' tumor with polydipsia, polyuria, hyponatremic hypertension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 a case report)

  • 우철희;장지민;우찬욱;이기형;이광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호
    • /
    • pp.99-102
    • /
    • 2006
  • 윌름씨 종양은 주로 1-5세에 복부에 생기는 종양으로 약 25% 이상에서 고혈압을 동반하지만 심각한 고혈압에 의하여 심부전을 보이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3세된 여자 아이가 윌름씨 종양으로 인한 고레닌 혈증으로 다음, 다뇨, 저나트륨성 고혈압과 심부전을 보였으나 수술적으로 종양을 제거한 후 증상 호전을 보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심부전을 동반한 폐동맥 판막의 유두상 섬유탄력종 - 1예 보고 - (Papillary Fibroelastoma of Pulmonary Valve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 case report-)

  • 제갈재기;안병희;오상기;정인석;윤지형;김상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176-179
    • /
    • 2010
  • 유두상 섬유탄력종은 양성 심장 종양 중 두번째로 많이 발생하며, 주로 대동맥 판막이나 승모판막에 발생한다. 그러나, 폐동맥 판막에서 발생한 경우는 아주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심부전증 환자에서 판막 치환술로 치료된 폐동맥 판막의 유두상 섬유탄력종을 드문 증례로 보고하는 바이다.

심부전 환자의 사회적 지지와 부정적 정서상태가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Negative Emotional Status on Self-care Adherence in Symptomatic Patients with Heart Failure)

  • 양인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2-313
    • /
    • 2016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self-care adherence in symptomatic patients with heart failure (HF). Methods: Using a cross-sectional design, a convenience sample 209 outpatient clinic patients were recruited at two medical centers. Between October 2011 and August 2012,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Factors related to self-care adherence were examin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Mean age of participants was 67.71 years and a half of them (53.6%) were female. They showed relatively low self-care adherence with mean scores of $61.88{\pm}12.92$. Lower self-care adherence was reported in asking for low sodium items, weighing oneself, checking for ankle edema, and exercising for 30 minutes. The overall model significantly explained 23.9% of variance in self-care adherence. Among the predictors, education, New York Heart Association functional classification, and social suppor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nfluencing self-care adherence. The variable of negative emotional statu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social support could help self-care adherence among symptomatic patients with HF. Thus, programs targeting self-care adherence in this population should consider the strategies improving social support.

울혈성 심부전 환자의 자가관리 이행, 가족 지지 및 우울 (Self Care Compliance,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 이선희;안성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6-194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lf care compliance,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05 out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self care compliance,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0.0 program. Result: 1. The total score for Self care compliance was 78.34 out of a possible 120 and was significantly high for people in ages between 70-79 years and people who were not employed. Exercise compliance was significantly high in men and classifications I & II of the NYHA class. Compliance with smoking and alcohol cessation were significantly high in women. Medication compliance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group which had experience with hospitalization. Family support was 31.75 out of a possible 40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spouse status and religion. Depression was 30.18 out of a possible 64 and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group whose educational level was above college graduation or who were under 65 years of ag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nurses have to emphasize smoking and alcohol cessation for men, exercise for women and total self care compliance for patients under 65 years of age.

  • PDF

단일 문항 척도의 타당도 조사 - 심부전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중심으로 - (The Validity of a Single Item Scale -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Heart Failure Patients -)

  • 김용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90-49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a single item scale by comparing a single item scale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o subscopes of the multi-item scales in the Medical Outcome Study Short Form-36 (SF-36), and Minnesota Living with Heart Failure Questionnaire (MLHFQ). Method: The data from 103 patients with heart failure were analyzed. The statistics program SPSS 12.0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single item scale and subscopes of SF-36, for physical functioning (r= .42), role physical (r= .22), general health perception (r= .46), vitality (r= .40), social functioning (r= .20) and mental health (r= .51), but not for body pain (r= .12) and role emotional (r= .06). Physical (r= -.41), emotional (r= -.49) and total scores (r= -.49) of MLHFQ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ingle item scale. Conclusion: The single item scale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showed low to moderate correlation with multi-item scales. Even though the single item scale was correlated with several subscopes of multi-item scales, the correlation was not high, so we have to use caution when using the single item scale instead of multi-item sca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