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미치과

검색결과 1,136건 처리시간 0.03초

치경부 심미수복재의 잇솔질 마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OTHBRUSH ABRASION OF CERVICAL RESTORATIVE MATERIALS)

  • 백병주;양정숙;이두철;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8-12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치경부의 심미수복에 이용되고 있는 7종의 재료를 시험재료로 선택한 다음 잇솔질이 이들 수복재료의 마모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전동식 마모시험기를 이용하여 잇솔질 하중 2.0N으로 100,000회의 잇솔질을 시행한 다음 각 시편의 평균 두께 감소와 표면조도를 측정하였고, 표면경도가 연마성 마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누프 경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누프 경도값은 F2000 군에서 79.7로 가장 높고 Heliomolar 군에서 20.0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Tukey 다중범위검증법에 의해서 각 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Compoglass 군과 Dyract AP 군을 제외 한 모든 군들 사이에서 상호간에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표면조도는 Improved Fuji II LC 군에서 가장 높고 UniFil F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Tukey 다중범위검증법에 의해서 각 군사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Improved Fuji II LC군, F2000 군과 UniFil F군 사이에서만 상호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표면조도와 마모도는 치약으로 유치용의 겔 형 페이스트인 Tom & Jerry를 사용한 경우보다 성인용의 페이스트인 Perio $A^+$를 사용한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p<0.05). 4. 연마면에서는 기질레진의 선택적인 마모에 의한 필러의 돌출로 인해 표면조도가 증가된 양상이 관찰되었다.

  • PDF

하악 전치부 상실로 인한 조음장애를 보이는 경도 지적장애 환아에서 탄성의치를 통한 조음능력의 향상 (Improvement of Articulation Disorder Using Flexible Partial Denture in Intellectural Disability Patient with Missing Lower Incisors)

  • 최해인;최병재;최형준;송제선;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06-313
    • /
    • 2013
  • 구강악안면의 여러 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정밀한 상호과정을 거쳐 말소리를 만들어낸다. 그 중 치아는 중요한 조음기관으로서 치아의 상실시 정상적인 발음을 하기 위해서는 혀와 턱의 위치 수정을 통한 적응이 필요하며, 적응 가능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적극적인 보철적, 교정적 치료를 요하게 된다. 소아의 다수 치아 상실은 조음에 어려움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부정교합, 악골발육 저하, 측두하악관절의 변위, 저작력 저하, 영양 불균형, 심미성 저하 등의 문제를 초래하기 때문에 반드시 상실부위의 회복이 필요하다. 아크릴릭 레진을 이용한 기존의 가철성 장치와 비교하여 Valplast$^{(R)}$ 탄성의치는 조직과 긴밀하기 접착되며 치은의 자연적인 색조를 투과시키는 얇고 강한 레진 유지부를 가져 심미성이 매우 높으며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등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특히 전체적인 두께가 얇고 부피가 작아 이물감이 적고 혀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발음의 회복에 장점을 가진다. 본 증례는 완전탈구된 하악 전치부로 인해 조음장애를 보였으나 Valplast$^{(R)}$ 탄성의치를 장착한 후 조음의 개선을 보인 경도 지적장애 환아에 관한 것으로 조음검사를 통해 하악 전치부의 상실이 조음에 미치는 영향에 보고하고자 한다.

각종 지대주 및 고정체 종류에 따른 골유착성 임플랜트의 응력 분포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분석적 연구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osseointegrated implant on stress distribution in different abutment designs and fixture diameters)

  • 권호범;김창회;김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99-721
    • /
    • 1996
  • 브로네마르크가 골유착성 임플랜트를 소개한 이래로, 현재 골유착성 임플랜트에 의한 치료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골유착성 임플랜트를 이용한 초기의 치료는 무치악 환자의 저작기능 회복에 중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현재는 환자와 시대의 요구에 따라서 심미성이 주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그래서 표준 지대주보다 더 심미적인 지대주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다양한 직경의 임플랜트 고정체에 관한 임상가들의 요구에 의해 직경 이 큰 고정체가 생산되기 시작했으며, 5mm의 직경을 갖는 고정체가 그 예이다. 골유착성 임플랜트를 사용하여 보철치료를 할 때, 골과 고정체의 계면은 보철물과 지대주에 가해지는 교합력을 인접골에 전달하게 되며, 이것은 계면에 생물학적인 반응을 야기할 수 있다. 임플랜트의 형태는 골흡수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고안되어야 하며, 임플랜트 자체가 교합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골유착성 임플랜트 시스템을 임상에 사용하려고 할 때 이것의 생역학적 분석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삼차원 유한요소분석적 방법을 사용하여 3.75mm직경을 갖는 고정체에 표준 지대주, 이세티콘 지대주, 마이러스콘 지대주를 연결한 모델과 5mm 직경을 갖는 고정체에 표준 지대주를 연결한 모델에 각각 수직하중, 경사하중, 수평하중을 가했을 때의 응력분포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든 모델에서 금나사의 경부, 금원주, 지대주에 응력의 집중이 일어났다. 2. 임플랜트 고정체에서는 고정체 상방 2/3, 그리고 지대주와 접촉하는 고정체 상면에서 응력의 집중이 관찰되었다. 3. 골에서는 상부 피질골에 응력의 집중이 관찰되었으며, 해면골에서는 두드러진 응력의 집중을 보인 부위는 없었으나 고정체의 근단부 주위 해면골에서의 응력값이 비교적 높았다. 4. 5mm 직경의 고정체를 사용하지 않은 모델 중에서, 표준 지대주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응력분산에 유리하였으며 마이러스콘 지대주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불리하였다. 5. 3가지 하중 조건하에서 수평하중과 경사하중의 경우가 수직하중의 경우보다 더 높은 응력값이 관찰되었다. 6. 응력값은 골에서보다 임플랜트 내부에서 훨씬 높았다.

  • PDF

전신적 질환자 및 예후가 불량한 환자에서 Valplast$^{(R)}$ 탄성 국소의치의 적용 (Valplast$^{(R)}$ flexible removable partial denture for a patient with medically compromised conditions : a clinical report)

  • 최봄;김성훈;이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95-300
    • /
    • 2009
  • 연구목적: 현대의학의 발달로 고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부분 무치악이나 완전 무치악 환자의 비율이 증가되고 있다. 고령 환자는 전신적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므로 보철 치료 시에도 전신적인 건강 상태 및 경제적 여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고령의 환자나 전신적 질환자에 있어 임플란트 등의 치료보다 가철성 국소의치가 선호되고 실제로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기존의 금속-아크릴 국소의치는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전치부에 금속 클래스프가 위치하여 비심미적이고 미중합 레진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으며 지대치에 가해지는 응력이 크며, 파절 시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지대치에 주조 금관의 제작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추가적인 고가의 보철비용을 부담하여야 하고 제작과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장기간의 치료와 여러 번의 내원이 필요하다. 반면, 최근 이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Valplast$^{(R)}$ 탄성 국소의치는 Nylon 재질로 생체친화성이 높고 심미적이고 가벼우며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 간단한 진료 과정과 짧은 제작기간 후 의치를 장착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장기간의 치료기간과 다수의 내원이 어려운 전신 질환자 및 예후가 불량한 환자에서 Valplast$^{(R)}$ 탄성국소의치를 적용한 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결과 및 결론: 증례에서 환자들은 만성 질환, 암 등의 전신적, 소모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개구 제한 또는 예후가 불량한 잔존 지대치 등 통상적인 보철치료가 힘든 경우였다. 이러한 환자들에게 기존의 금속-아크릴 국소의치는 신체적으로나 경제적인 이유로 적용이 어려워 대신 추가적인 보철물의 제작이 필요없고, 제작과정이 간단한 Valplast$^{(R)}$ 탄성 국소의치를 적용하였다. 환자들은 평균 1-2회의 주기적 체크를 했고 현재까지 동통이나 파절 등의 불편감이 없이 잘 사용하고 있다. 여러 증례에서 기존의 가철성 의치의 단점을 보완하는 탄성의치를 이용하여 만족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엇갈린 교합에서 implant와 magnetic attachment를 이용한 국소의치 증례 (Implant supported removable dental prosthesis with magnetic attachment in crossed occlusion: A case report)

  • 이유진;이성복;이석원;박수정;안수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53-60
    • /
    • 2017
  •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구강 기능의 회복을 위한 보철 계획을 수립할 때, 잔존하는 치아에 따라 다양한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대합이 상실된 소수의 잔존치가 불안정한 교합을 야기하는 엇갈린 교합의 경우, 대합 되는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교합지지를 회복할 수 있다. 이 증례에서는 발치 후 엇갈린 교합이 된 환자에서 의치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악 잔존치에 대응하는 하악 무치악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자석유지장치(magnetic attachment)를 연결하는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상악 전치의 돌출과 하악 입술 지지도가 부족한 것을 개선하고 싶어한 환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상악 전치부 보철적 수복 및 하악 의치를 통해 심미적 안모를 회복하였다. 5개월 정기검진 결과, 환자는 저작 기능 및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하였고 의치의 안정성 또한 잘 유지되고 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의도적 재식술을 이용한 치관-치근 파절된 미성숙영구치의 치험례 (INTENTIONAL REPLANTATION OF CROWN-ROOT FRACTURED TOOTH WITH OPEN APEX)

  • 류정아;이제호;최병재;손흥규;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67-272
    • /
    • 2004
  • 본 증례에서는 치아외상으로 치관-치근 파절된 미성숙 영구치의 치료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7세 환아의 상악 좌측 중절 치의 치아 파절선이 치은연하로 치아장축을 따라 치아전체의 1/2까지 연장되어 있었다. 수직적 치관-치근 파절된 치아에서 그 예후는 불량하며 발치가 일반적인 처치이나 성장기 아동에서 상악중절치의 발치는 치조골 흡수, 심미적 문제, 발음문제 등 여러 합병증을 초래한다. 치은연하로 치관-치근 파절된 치아의 치료 방법으로 치은연상만 수복하는 방법과 치은판막을 형성하여 수복하여 주는 방법, 교정력을 이용하여 정출시키는 방법과 수술로써 발치하여 정출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치아를 의도적으로 발치한 후 접착용 레진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리된 치아 파절편을 부착한 후 재식하였다. 1년 동안 관찰한 결과 현재 특이한 임상적 증상은 없으며 심미적으로도 만족할 만하다. 접착용 레진 시스템의 개발과 함께 본 술식은 외상을 많이 받는 혼합 치열기 아동에서 치관-치근 파절된 미성숙 영구치의 한 치료법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성장기 어린이에서 상악 중절치 조기 상실 후 치조골 소실 (ALVEOLAR BONE LOSS AFTER THE EARLY LOSS OF UPPER CENTRAL INCISOR IN GROWING CHILDREN)

  • 나혜진;송제선;이제호;최형준;김성오;손흥규;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1-57
    • /
    • 2012
  • 어린이는 8-10세 경에 외상을 자주 받으며 구강 내에서는 상악 절치부가 호발하는 부위이다.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절치가 상실되면 어린이에게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상악 절치를 유지해야 하지만 조기 상실되는 경우가 있다. 상악절치의 조기 상실로 인한 합병증으로는 심미적 문제나 치조골의 수직적 높이와 수평적 너비의 감소, 인접치의 경사, 악궁 장경 감소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치조골이 소실되면 보철적 수복 시에 기능성과 안정성, 심미적인 면에 영향을 준다. 이 증례는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중절치가 조기 상실된 9세 여아와 6세 남아에서 각각 5년 5개월, 3년 7개월 후의 치조골소실 정도를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와 진단 모형 상에서 관찰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치관-치근 파절된 치아의 의도적 재식술 치험례 (INTENTIONAL REPLANTATION OF THE CROWN-ROOT FRACTURED TOOTH: A CASE REPORT)

  • 김수경;안승태;최성철;김광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81-386
    • /
    • 2010
  • 수직적으로 치관-치근 파절된 전치부에서 파절은 치근을 따라 다양한 부위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그 깊이에 따라 치료 방법이 결정된다. 파절선이 치관부에 근접한 경우 치은 판막을 형성하여 파절 부위를 노출시키거나 교정적 또는 외과적으로 치아를 정출시키는 방법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파절선의 위치가 깊은 경우 그 예후는 불량하며 치근의 1/3 이상을 넘어선 경우에는 발치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성장기 아동에서 상악 중절치의 발치는 심미적 문제, 치조골 흡수, 발음 문제 등 여러 합병증을 초래하게 되므로 성장기 동안 치아를 보존하는 것을 최우선의 목표로 한다. 그러므로 수직 치관-치근 파절된 전치부 치아의 치료 시 발치 대신 복합레진으로 파절선을 수복한 후 재식하는 의도적 재식술을 대안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중절치의 치관-치근 파절이 치근 1/2 정도로 깊게 발생한 혼합치열기 환아에서 해당치아를 의도적으로 발치하고 복합레진으로 파절 부위를 수복한 후 재식하였다. 이후 2년 동안 관찰한 결과 특이한 임상적 증상 없이 유지되고 있으며 심미적으로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방법은 술식에 민감하며 장기적 예후에 대한 보고는 부족하지만, 치아를 보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한국성인 정상교합자와 부정교합자의 연조직 측모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비교연구 (A CEPHALOMETRIC COMPARATIVE STUDY ON SOFT TISSUE PROFILE BETWEEN NORMAL OCCLUSION AND MALOCCLUSION IN KOREAN ADULTS)

  • 강홍구;윤태호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3-36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artic1e is to compare soft tissue profiles between Korean adults with normal occ1usion and malocclusin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subjects of this cephalometric study were 40 males with normal occlusion(Group 1), 27 females with normal occlusion(Group 2), 28 adults with Angle's Class II malocclusion(Group 3) and 41 adults with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Group 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People with Angle's Class II malocclusion had tendency to have more labial tipping of lower teeth than people with normal occ1usion. Through NOA angle measurement, it was determined that people with Angle's Class II malocclusion had more protruding midface than people with normal occlusion and people with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had retruding midface. 2) Through Powell's esthetic triangle analysis, it was determined that people with Angle's Class II malocclusion had retruding chin and protruding nose.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eople with normal occlusion and maloclusion could be identified by measuring soft tissue profile angle basis of S-NS plane.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ith normal occlusion and malocclusion by measuring Facial convexity angle(Significance level 99%). 5)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each landmark basis of N-Pog plane, People with Angle's Class II malocclusion were identified as having more protruding midfac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eople with normal occlusion and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6) By measuring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face, it was determined that the lower facial height was higher than the upper facial height in all groups, particularly in group with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7) By measuring the lips basis of E-line and S-line, it was determined that people with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had more, protruding lower lips than people with normal occlusion, while people with normal occlusion, while people with Angle's Class II malocclusion had more protruding upper lips.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uperior sulcus and inferior sulcus basis of H-line, people with Angle's Class II malocclusion had thicker upper lips than the other's.

  • PDF

심미보철(審美補綴) 제작(製作)에 관계(關係)되는 심미적(審美的) 요소(要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Investigation about Esthetic Appreciation for the Esthetic Prosthesis)

  • 정인성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5-115
    • /
    • 1996
  • The esthetic factor for the esthetic prosthesis were studied on 300 persons. The praaticipants were 150 students registered under the Deparment of Dental Laboratoy Technology, Jisan Junior College at the present day of June, 1995 and their mot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persons with 28 teeth in their oralcatity was highest(P<0.01). They complained that they have only 28 teeth bacaues of the loss(deficiency) fo teeth due to their impacted teeth and dental caries. 2. The presons with feelings of dissatisfaction were large in number(P<0.01). They were dissatisfied with an abnormal tooth form(33.5%), tooth position(31.7%), tooth color(31.1%), and tooth size(3.7%) in order(P<0.01). 3. In their facial form, the most numerous were men with square form and women with ovoid form(P<0.01). Among the whloe number fo facial forms it appeared to decresae in the order of ovoied(41.8%), square(32.7%), square+tapered(20.5%), and tapered form(5%)(P<0.01). In a profile form, the most numerous were men with A form and women with B. Among the whole participants the most numerous were persons with B form and persons with A and C form were next in oder of numbers(P<0.01). 4. In discoloration of teeth, the most numerous were persons who have no discoloration. 5. In the esthetic recovery of anterior prosthesis the color matching of proximal teeth was not correct, but the outline of proximal teeth was to be reproduced correctly. 6. In the diastema of teeth, the number of persons who have no diastema was higher than that of persons who have a disatema(P<0.01) Among the persons who have diastema the most numerous were persons who have a diastema, and next were 2, 4, 3 and 5 diastemas in order. 7. In a meeting point of the midline of the body and the tooth the number of person hanving a meeting point was higher than that of persons who did not fit each other(P<0.01). The bias direction of midline teeth appeared to be affected by chewing direction, prosthesis location, and posterior location. 8. The length and width of teeth in the tooth size were suitable(P<0.01). The number of persons who have central teeth longer than lateral teeth was high(P<0.0). 9. In the results of smile analysis, the line form connected with incisal edge of upper canine were parallel(P<0.01). When smile the location fo upper lips should be in accord with the central area of teeth(P<0.01) and lower lip should be atteched to the edge of anterior teeth in order to be esthetic. 10. Among the number of upper teeth we can see the most numerous were 8 teeth and next were 10, 6 and 12 in ord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