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맥관계 기능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수온변화와 Epinephrine에 의한 자라의 심맥관계 및 신장기능의 변화 (Changes in Cardiovascular and Renal Functions by Temperature and Epinephrine in the Freshwater Turtle, Amyda Japonica)

  • 김선희;조경우;설경환;고규영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1권2호
    • /
    • pp.201-210
    • /
    • 1987
  • 수온변화에 따른 심맥관계 및 신장기능의 변화와 생체실험을 통한 온도에 의한 adrenoceptor의 변형을 알아보기 위해, 무마취 자라에서 $18^{\circ}C$에서 $25^{\circ}C$로 수온을 증가시 나타나는 혈압, 심박동수 및 신장기능의 변화를 관찰하고, epinephrine 1 ug/kg과 10 ug/kg을 상이한 온도에 노출된 자라의 정맥내 투여하여 나타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1) $18^{\circ}C$에서 $25^{\circ}C$로 수온을 증가시킴에 따라 심박동수는 현저히 증가하여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혈압 및 혈장 renin 활성도는 변화하지 않았다. 온도증가에 의해 뇨량, 사구체여과율 및 전해질 배설량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나 90분부터는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2) 수온 $18^{\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 epinephrine은 dose-dependent한 양상으로 혈압 및 심박동수를 증가시켰으며, 다량의 epinephrine 투여시 작용시간은 현저히 연장되어 있었다. $25^{\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는 epinephrine에 의한 혈압상승 효과 및 심박동수 증가는 나타났으나, dose dependency나 작용시간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3) 동량의 epinephrine에 의한 혈압 및 심박동수의 증가효과는 $18^{\circ}C$$25^{\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18^{\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 epinephrine의 작용시간 및 반감기가 현저히 연장되어 있었다. 4) Epinephrine 투여에 의해 뇨량, 사구체여과율 및 전해질 배설량의 증가를 관찰하였으며, 이는 dose-dependent 양상이었다. 그러나, 신장효과의 유의한 차이는 상이한 온도에 노출된 두 군에서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온도증가에 의한 이뇨 및 sodium 배설효과는 혈관이완에 의한 사구체여과율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상이한 온도에 노출된 자라에서 epinephrine 효과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던 것은 본 실험에서 가한 좁은 범위의 온도의 변화 내에서는 adrenoceptor의 변형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추론하였다. 그러나 저온에서의 epinephrine의 작용시간의 연장은 아마도 epinephrine의 파괴 효소의 활성도의 감소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집단동작훈련이 시설노인의 생리, 심리적 변수 및 관절운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oup Movement Training on Psychophysiological Variables and the Range of Motion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 서부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03-411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a group movement exercise program on psychophysiological variables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Methods: This research adopted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wenty elder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whereas twenty-two elders were as a control group. The group movement program consisted of 35 minutes of dance and three days a week for eight weeks. Resting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measured in a relaxed sitting position. The range of flexion and extension of joint was measured with a gonimeter. Lif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ere measured by self-report. Data were analyzed through $x^2$-test, t-test and ANCOVA using SPSS/WIN progra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sting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resting heart rate decreased significantly by the group movement training. The range of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shoulder and hip joint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score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creased remarkably by the group movement.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group movement training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psychophysiological variables and the range of motion for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 PDF

개에서 Medetomidine과 Midazolam 병용 투여 시 Glycopyrrolate가 심맥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ycopyrrolate on Cardiovascular System in Dogs Sedated with Medetomidine-Midazolam Combination)

  • 한대경;신범준;이재연;지현철;박지영;김명철;정성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7-323
    • /
    • 2009
  • 이 연구는 혈관 내로 medetomidine (20 ${\mu}g$/kg)을 투여하고, 근육 내로 midazolam (0.3 mg/kg)을 투여한 개에서 혈관 내로 glycopyrroate를 투여하였을 때 심혈관계와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임상적으로 건강한 16마리의 중성화 하지 않은 비글견 (BW: 평균 8.35 kg)이 사용되었다. 혈관 내로 medetomidine과 근육내로 midazolam을 투여하기 전에 glycopyrrolate를 5 ${\mu}g$/kg (Gly-5), 10 ${\mu}g$/kg (Gly-10), 또는 20 ${\mu}g$/kg (Gly-20)의 용량으로 혈관 내로 투여하고,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혈관 내로 투여하였다. 심박수, 혈압(수축기 동맥압, 이완기 동맥압, 평균 동맥압), 우심방 동맥압, 폐동맥압, 폐동맥 쐐기압, 호흡수, 일회호흡량,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을 환축감시기를 통해 직접 측정하였다. 심박출량을 측정하고, 계산공식으로 심박출계수, 일회심박출지수, 전신혈관 저항, 폐혈관 저항을 산출했다. 동맥혈을 채취하여 동맥혈 가스를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Medetomidine/midazolam병용 투여의 부작용으로 심혈관계에서 서맥이 나타나고, 심박출량 감소와 전신혈관저항, 우심방압, 폐동맥 쐐기압은 증가 현상을 보였다. 서맥은 glycopyrrolate를 투여한 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Gly-10, Gly-20군에서는 빈맥이 관찰되었다. 전반적으로 glycopyrrolate를 투여한 군에서는 혈압은 상승하였으나, Gly-5 군의 경우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심박출량 지수는 Gly-20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medetomidine/ midazolam병용 투여 10분과 20분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medetomidine/midazolam병용 투여는 빠르고 만족할 만한 진정을 보여주나, 현저한 심혈관 부작용이 관찰되고 혈관 내로 glycopyrrolate를 투여에 의해서도 큰 역전을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로 medetomidine/midazolam병용 투여는 심폐기능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건강한 개에서만 고려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실험적 고혈압 백서의 심맥관계 기능조절에 있어서 중추 Opiate System의 역할 (Role of Central opiate System in Control of Cardiovascular Function of Experimental Hypertensive Rats)

  • 김기원;곽용근;채준석;조규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3-131
    • /
    • 1987
  • Morphine을 비롯한 opioid peptide가 말초 또는 중추에 투여시 혈압하강과 심박동수감소를 보이며 opiate 수용체 길항제인 naloxone에 의해 길항됨이 관찰되었던바 근래 몇몇 보고들은 중추신경내에서 adrenergic및 opioidergic system이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 고혈압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2-kidney, 1-clip (2K1C) 방법으로 실험적 고혈압을 유발시킨 백서의 측뇌실내 clonidine또는 morphine의 심맥관계에 대한 효과와 각각의 차단제에 의한 영향 그리고 정상 및 고혈압상태 백서의 뇌내 ${\beta}-endorphin$의 함량과 specific opiate receptor binding을 정량하여 고혈압 유발에 따른 뇌내 opiate system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2K1C 고혈압 또는 sham-operated대조백서에서 측뇌실내 clonidine $(3-30\;{\mu}g/kg)$은 용량에 비례하여 혈압하강과 심박동수감소를 일으켰으며 clonidine의 혈압강하 효과는 2K1C고혈압 백서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clonidine의 혈압강하효과는 고혈압 백서에서 측뇌실내 yohimbine 또는 naloxone 전처리에 의해 약화되었고 대조군에서는 yohimbine ($30\;{\mu}g/kg$, i.v.t.)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naloxone ($50\;{\mu}g/kg$, i.v.t.)에 의해서는 영향 받지 않았다. clonidine과 마찬가지로 측뇌실내 morphine $(10-100\;{\mu}g/kg)$은 2K1C 고혈압 또는 sham-operated 대조백서에서 용량에 비례하여 혈압하강과 심박동수감소를 일으켰으며, morphine의 혈압강하효과는 2K1C 고혈압백서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대조군과 고혈압군에서 morphine의 혈압강하효과는 naloxone 전처리에 의해 현저히 약화되었으나 yohimbine에 의해서는 영향 받지 않았다. 2K1C 시술익일부터 투여한 clonidine은 2K1C 시술에 의한 혈압 상승을 억제하였으며 naloxone (2 mg/kg, i.p.)에 의해 반전되었다. 2K1C 시술에 의해 고혈압이 유발된 백서의 뇌내 ${\beta}-endorphin$ 함량은 sham-operated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고 (3H)-naloxone의 specific binding의 Bmax는 증가되었으나 Kd치는 변동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 성적은 뇌내 opiate계가 혈압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2K1C 고혈압백서의 고혈압상태 유지에 뇌내 opiate계의 기능저하가 일부관여하고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 PDF

개에서 Medetomidine, Medetomidine/tiletamine/zolazepam 합제, Medetomidine/tiletamine/zolazepam/tramadol 합제가 심장초음파 상 심장 수축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etomidine and Combination of Medetomidine/tiletamine/zolazepam and Medetomidine/tiletamine/zolazepam/tramadol on Echocardiographic Cardiac Contractility in Dogs)

  • 서상일;김태준;이은찬;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22-425
    • /
    • 2015
  • 이번 연구는 비글 개에서 medetomidine(D), medetomidine, tiletamine/zolazepam(DZ) 합제, medetomidine, tiletamine/zolazepam, tramadol(DZT) 합제를 이용한 진정/마취 후 심근 기능을 평가하였다. 10 마리의 건강한 성견 비글(체중 $8.6{\pm}1.0$ kg)를 이번 연구에 사용하였다. M-mode 심장초음파를 사용하여 심박수(HR), 구획단축률(%FS), 좌심실 박출기계수(%LVEF), 박출량(SV), 심박출량(CO), 수축기 좌심실 내강 직경 (LVIDs), 이완기 좌심실 내강 직경(LVIDd)을 마취 전, 그리고 마취 후 10분 간격으로 60분 동안 측정하였다. HR, %FS, %LVEF, SV, CO 는 D, DZ 합제, DZT 합제 로 진정된 동안 심각하게 감소하였다. 이번 실험에 사용된 마취 프로토콜은 사용 가능할 정도의 진정/마취가 이뤄졌지만, 심혈관계 압박의 정도가 심했고 지속적이었고, 따라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생체지수에 대한 모니터링이 동반되어야 한다. 본 마취 프로토콜은 심장질환을 가지고 있어서 심맥관계 억압의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서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