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심리측정

Search Result 1,061,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Measure Possibility of Psychological Temper (심리적 흥분의 측정가능성)

  • Cha, Min Kyu;Kwack, Dae G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315-316
    • /
    • 2015
  • 이 논문에서는 생체정보를 활용하여 심리적 흥분의 측정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지능형 전자발찌의 도입에 있어서 생체정보와 감정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위험상황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부착자의 감정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은 하나의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자율신경계와 감정은 밀접한 관게가 있으며 교감신경은 신체적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하므로 심박을 통해서 감정의 변화, 즉, 심리적 흥분을 측정하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 PDF

운전시 부작업이 수행도와 심리적 작업부하에 미치는 영향

  • 윤상영;이근희;김정룡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277-28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운전 중에 빈번히 나타나는 부작업을 모의 운전 실험하에서 선정하여 그때의 운전 수행 도와 운전자의 심리적 작업부하에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운전의 수행도는 브레이크 작동시의 시간의 적절성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도로교통안전협회에 설치되어있는 운전기능검사기기를 사용하였다. 또한 운전자의 심리적 작업부하를 측정하기 위해 심리적 작업부하 측정 방법의 하나인 NASA- TLX를 사용하였다. 다양한 운전 상황을 설정하기 위해도로의 형태를 골목길과 일반도로로 나누었으며, 부작업의 종류는 전화 걸기, 라디오 조작, 대화로 선정하였다. 실험에는 17명의 피실험자가 참가하였고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SAS)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 운전시 전화 걸기와 라디오 조작의 경우가 다른 부작업에 비해 운전 수행도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 저하시키는 것이 조사되었다. 부작업에따라서 3 . approx. 22%의 수행도의 저하가 나타났으며, 42 .approx. 59%의 심리적 작업부하의 증가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부작업이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수행도의 감소와 심리적 작업부하의 증가를 유발시키는 것이 정량적으로 입증되었다. 차후 보다 실제상황에 가가운 모의 실험과 다양한 수행도 측정지수를 사용한 연구 를 통해 운전시 부작업이 사고에 미치는 영향이 검증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Beneficial Effect of Forest Landscape on Relieving Stress Based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Measures (심리적.생리적 측정에 근거한 산림경관의 스트레스 완화효과)

  • Kyoung, Y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1 no.2
    • /
    • pp.70-8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경관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생리측정(피부 돌출치와 심장박동시간)과 심리측정 (ZIPER 설문지)을 통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가설은 두 가지로 첫 번째 가설에서는 산림경관을 본 사람들의 스트레스 측정치가 인공경관을 본 사람들의 측정치보다 낮을 것이라고 예측되었다. 두 번째 가설에서는 산림경관을 본 사람들의 스트레스 해소가 인공경관을 본 사람들보다 보다 빠르고 완전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실험에는 대학 학부학생 70명이 참여하였으며, 실험에 이용된 산림 및 인공경관은 예비설문을 거쳐 선정되었다. 실험결과를 보면 첫 번째 가설은 피부 돌출치와 긍정적인 심리요인 그리고 부정적인 심리요인에서 채택되었다. 두 번째 가설 중 스트레스 해소속도에 대한 가설은 피부 돌출치와 심장박동시간에서 모두 채택되었으나, 스트레스 해소의 완전성에 대한 가설은 피부 돌출치에서만 채택되었다. 비록 심장박동시간과 집중/호기심 요인에서 연구가설이 채택되지 못했지만 전반적으로 산림경관과 인공경관을 비교할 때 산림경관의 스트레스 완화효과가 더 크고 빠르고 완전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산림경관의 효과를 두 가지 측정(생리적, 심리적)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는 점과 국외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음으로써 이러한 효과가 지역에 관계없이 공통적임을 밝혔다는 점이다. 본 연구결과는 산림이 인간의 건강과 복지에 긍정적이라는 점을 입증함으로써 산림의 조성과 보존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발전적인 후속연구를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인공경관과 일반시민들의 참여, 그리고 인지능력의 병행이 필요하다.

The Effect of Perceived Risks and Performance regarding Psychic Distance (심리적거리가 지각된 위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Hwang, Hwa-cheol
    •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 /
    • v.7 no.2
    • /
    • pp.63-87
    • /
    • 2009
  • The conclusions shown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Despite the similarity of the objective distance caused by the geographic distance and cultural similarities. it is found that the psychic distance factor still exists. Secondly, a new affective factor of psychic distance has been noted. As to the shaping method, even though culture and psychic distance involve homeogenic factors, psychic distance is more complex in that it is affected not only by cultural changes but also by other affective factors. Culture is a very significant factor, which can have an effect on forming psychic distance, but it is short of being a measurement variable for measuring psychic distance. Thirdly, psychic distance can have a direct effect on customers' buying response. If it is just a belief shared among the people of a nation, it can't become an important notion.

  • PDF

Analysis of Optimal and Pleasant Driving Condition using Physiological Signals (생리신호 측정을 통한 심리적 적정 운전상태 분석)

  • 김정룡;황민철;박지수;윤상영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7 no.3
    • /
    • pp.27-35
    • /
    • 2004
  • This study has investigated a psychological status of optimal and pleasant driving condition by measuring various physiological signals using SCR(skin conductance response), PPG(peripheral plethysmograph), SKT(skin temperature) and HR(heart rate). The physiological response was measured during various simulated driving conditions. We developed a hardware and algorithm to measure and analyze the physiological response. The physiological signals has reflected the level of driver's tension or relaxation as well as the heart rate. The emotional responses of drivers were also measured and analyzed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used to design a system to enhance the driver's emotional satisfaction as well as to monitor the driver's safety and health condition.

  • PDF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science of sensibility (감성과학의 심리학적 측면)

  • 정찬섭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19-24
    • /
    • 1998
  • 감성과학의 성립요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감성의 개념정의, 구성개념과 기저 차원, 측정문제를 고찰해 보았다. 감성은 심리학에서는 아직 잘 정제되어 있지 않은 개념으로서 그것을 과학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조작적으로 정의가능한 구성 개념들로 분해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논의되었다. 감성의 측정에 대해서는 정서의 측정 방법들이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다양한 측정 기법들을 소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Foot Bath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족욕이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Lee, Yeon-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238-240
    • /
    • 2011
  • 본 연구는 뉴로 하모니 M 뇌파기기를 사용하여 스트레스가 있다고 측정된 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주니퍼, 라벤더, 레몬의 에센셜오일을 이용한 족욕을 10분씩 주2회 총 8회 적용하였다.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스트레스 15문항, 심리적 스트레스 15문항의 2개의 영역으로 실험 전, 후의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체적, 심리적인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에센셜오일을 이용한 주기적인 족욕방법은 간편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스트레스 완화 중재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ositive Psychology Experience Inventory in Mathematics (수학 학습과 관련한 고등학생들의 긍정심리분석 및 측정도구 개발)

  • Hong, Jin-Kon;Kim, Tae-Kuk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2 no.1
    • /
    • pp.69-99
    • /
    • 2012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highly-reliable inventory for measuring and analyzi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experience in math learning. A measurement result provides meaningful information on the strength of students. Elements of positive psychological experience in math learning were extracted by the extensive research on the literature. The result was verified through the open survey. Through this process, the first preliminary questionnaire of 106 items was released, and was revised into the second one of 66 items through a continuous investigation on reliability and validity. Finally, a measurement inventory with 65 questions for testing 'positive psychological experience in math learning' was established.

  • PDF

작업부하에대한 심리/환경적 영향 평가기법 개발: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 박창순;조영진;김정룡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40-4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현장 작업자 개인이 느끼는 심리/환경적 부하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척도는 현장의 중간관리자들이 간단한 기구와 직접 관찰을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심리적 작업부하 측정은 기존 연구와 현장 작업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타당도가 높다고 인정되는 심리부하 측정 요소를 결정하였고, 문헌과 모의 검사를 통하여 부 담감이나 편의(bias)를 줄일 수 있도록 문항수 및 어휘를 선택하였으며, 각각의 설문은 다양한 문체 중 가장 신뢰도가 높은 형태를 선정하였다. 환경적 작업부하 측정은 문헌 조사를 통하여 측정을 위한 요소를 결덩하였고, KS 규격을 기존으로 새로운 환경부하 측정 지침서를 개발하였고, 현장 예비조사가 실시되었다. 또한, 환경부하 측정결과를 지수화하기 위한 수리적 모델과, 심리적척도와의 통합을 위 한 수리적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설문 문항과 환경조사방법은 작업장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실 제로 그 효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이제까지 소홀히 여겨왔던 작업자의 심리적/환경적 부 하를 정량적으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정량화한 심리/환경 부하 척도는 이제 까지 주로 조사되었던 생체역학적/생리적 부담도와 더불어 종합적인 작업부하 평가에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척도에 의한 결과는 현장 근로자들의 근로여건 개선을 위하여 노/사/ 정부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방차원의 안전관리에도 응용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한다.구로 신체의 종합적인 만족도, 선호를 취급하고 있을 뿐 신체각 부위의 만족 도나 선호에 관한 자세한 고찰을 하고 있지 않으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체형과의 비교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 신체 측정치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적입지로 분석되었다.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 PDF

History of Evaluation of sound and noise in passenger cars (승용차의 내부소음평가에 대한 연구사고찰)

  • Schick, August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2
    • /
    • pp.133-147
    • /
    • 1998
  • 이 글은 영구의 자동차내부 소음연구와 보버르트(Bobbert)의 첫 번재 독일어로 쓰인 연구를 다루고 있다. 승용차내부소음은 높은 적외파음향(infra sound)으로 특징지어 진다. 그런 까닭으로 그러한 종류의 소음을 A-평가계측(A-rated measurement)으로 그 영향을 파알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자동차음향공학은 특히 인공청각(artificial head)기술의 발전, 소리의 합성적 제조 및 다양한 자동차 내부 음색(timbre)에 대한 일본연구가들 (하쉬모토, 쿠와노, 남바)에 의해 상당산 성취를 경험하였다. 위의 연구들은 무엇보다도 의미분별기법(Semantic Differentials)과 다차원측정방법(Multidimen-sional Scaling)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한 기법의 사용은 심리측정방법을 심리음향학(Psycho-acoustics), 특히 츠뷔커학파(Zwicker school)의 심리음향학 방법론과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