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심도영상

Search Result 16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mage Enhancement Using Adaptive Region-based Histogram Equalization for Multiple Color-Filter Aperture System (다중 컬러필터 조리개 시스템을 위한 적응적 히스토그램 평활화를 이용한 영상 개선)

  • Lee, Eun-Sung;Kang, Won-Seok;Kim, Sang-Jin;Paik, Joon-Ki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8 no.2
    • /
    • pp.65-73
    • /
    • 2011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digital multifocusing approach using adaptive region-based histogram equalization for the multiple color-filter aperture (MCA) system with insufficient amount of incoming light. From the image acquired by the MCA system, we can estimate the depth information of objects at different distances by measuring the amount of misalignment among the RGB color planes. The estimated depth information is used to obtain multifocused images together with the process of the region-of-interests (ROIs) classification, registration, and fusion. However, the MCA system results in the low-exposure problem because of the limited size of the apertures. For overcoming this problem, we propose adaptive region-based histogram equalization.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algorithm is proved to be able to obtain in-focused images under the low light level environment.

Drought Severity Analysis Using VCI and SVI in the Fall of 2008 (VCI와 SVI를 이용한 2008년 가을가뭄 심도분석)

  • Park, Jung-Sool;Kim, Ky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70-1574
    • /
    • 2009
  • 2008년 여름 우리나라는 예년과 달리 홍수기에 북상하는 태풍이나 8월말에서 9월초까지 발생하던 장마전선의 영향을 받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홍수기 이후에도 중국에서 다가오는 동서고압대의 지속적인 영향으로 9월 중순 최고기온을 경신하면서, 강수가 없는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었다.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8월말 이후 심화된 가뭄은 9월 중순에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며 도서지역의 부분적인 제한급수가 실시되거나 밭 작물 재배에 피해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기반의 식생지수를 이용하여 2008년 가을가뭄의 시공간적 변화와 행정구역별, 권역별 가뭄 우심지역을 판별하였다. 또한, 가뭄정보를 제공하는 가뭄모니터링 시스템의 가뭄지수와 가뭄의 변화와 심도 등을 비교하였다. 위성영상자료는 MODIS NDVI를 이용하여 제작한 VCI와 SVI를 이용하였으며, 수자원공사의 '가뭄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주 단위의 가뭄지수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통합수자원평가계획 시스템개발'에서 제공하는 월 단위의 가뭄지수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행정구역상으로는 전라남 북도와 경상남도 지역이, 권역별로는 섬진 영산강 권역에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식생지수 기반의 가뭄발생지역 판별 결과와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와 PDSI의 가뭄분포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The Utilization of MODIS LST Imagery for Droughts Monitoring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MODIS LST 영상자료의 활용)

  • Yoo, Ji-Young;Choi, Min-Ha;Kim, Tae-Wo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104-104
    • /
    • 2010
  • 지난 2008년 가을부터 시작되어 2009년 봄까지 발생했던 전국적인 극한 가뭄을 계기로 가뭄모니터링의 필요성은 증대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MODIS 위성영상 자료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MODIS 영상은 임의의 지역의 시 공간적 특성을 관찰할 수 있는 해상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MODIS에서 제공하는 MOD11(LST: Land Surface Temperature)은 가뭄 발생의 판별에는 유효하나 가뭄 심도와 지속기간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강우량 및 가뭄지수와의 비교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D11(LST) 위성자료와 EDI(Effective Drought Index) 가뭄지수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한반도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MODIS 위성영상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 PDF

Anatomy of Current Issues on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내용기반 영상검색 시스템의 분석 및 발전 방안)

  • Singh, Kulwinder;Ma, Ming;Park, DongWon;An, Syungo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6 no.4
    • /
    • pp.31-36
    • /
    • 2003
  • In the past few years, enormous improvements have been obtained in the field of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CBIR). This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survey on the current CBIR systems and some of their challenging technical aspects, which stand as an obstacle on its way to become successful. Furthermore, we have focused on the current state of semantic image retrieval and also we have suggested future promising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 PDF

Evaluation of Active Layer Depth using Dynamic Cone Penetrometer (동적 콘 관입기를 이용한 활동층 심도평가)

  • Hong, Won-Taek;Kang, Seonghun;Park, Keunbo;Lee, Jong-Sub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7 no.1
    • /
    • pp.49-54
    • /
    • 2016
  • An active layer distributed on surface of an extreme cold region causes a frost heave by repeating the freezing and thawing according to the seasonal temperature change. Since the height of frost heave is greatly affected by the thickness of active layer, an accurate evaluation of the thickness of active layer is necessary for the saf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infrastructure in the extreme cold region. In this study, dynamic cone penetrometer, which is miniaturized in-situ penetration device, is applied for the evaluation of active layer depth distribution. As the application tests, two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s were conducted on the study sites located in Solomon and Alaska. In addition, ground temperature variations were obtained. As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tests, the depth of interface between the active layer and the permafrost was evaluated from the difference in dynamic cone penetration indexes of the active layer and the permafrost, and a layer was detected around the interface considered as an ice lens layer. Also, the interface depths between the above zero and the below zero temperature determined from the ground temperature variations correspond with the interface depths evaluated from the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dynamic cone penetrometer may be a useful tool for the evaluation of the active layer in the extreme cold region.

A Study of Susceptibility Decomposition in MRI (자기 공명 영상 시스템에서 자화율 분해 영상법에 관한 연구)

  • 노용만;홍인기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16 no.4
    • /
    • pp.395-402
    • /
    • 1995
  • The intravoxel spin phases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usually vary due to susceptibility differences of materials to be imaged. The phase variation in the voxel results in a reduction of the signal intensity. This signal intensity reduction is known as the susceptibility effect in MRI and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In this paper, a new spectral decomposition technique Is proposed and the signal change due to the susceptibility effect can be analyzed. A pulse sequence for the spectral decomposition of the susceptibility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susceptibility imaging of venous blood possessing paramagnetic properties. The computer simulations and their corresponding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using both a phantom and human volunteers are reported. Key words : susceptibility effect in MRI : spectral decomposition of susceptibility effect.

  • PDF

A Study on Enhanced Algorithms for Detecting Defects of Glasses (유리 결함 검사를 위한 개선된 알고리즘 연구)

  • Han Chang-Ho;Park Seong-Soo;Oh Choon-Suk;Ryu You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190-192
    • /
    • 2006
  • 본 논문은 유리의 결함 검사를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포 측정에 대한 정의와 기포의 형상을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비젼 시스템을 이용한 검사자동화 시스템에 적용하여 테스트를 하였다. 기포 형상에는 두가지 타입으로 원형 타입과 긴형상 타입으로 구분되며, 이 두가지 타입에 따라 측정 결과 표시 방법이 다르다. 이미지 획득 및 전저리에서는 ccd 카메라를 사용하여 획득한 영상과 결함을 찾기 위해 영상을 이진화를 했으며, 얻어진 이진영상은 chain code 알고리즘을 통해 결함의 면적, 둘레 길이 및 위치등의 정보를 추출한다. 실제 물리적 크기를 정확히 얻기 위해 카메라의 보정을 했다. 광학계의 심도에 비하여 패널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하나의 영상으로는 기포의 양질의 영상획득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높이를 변화시켜가며 획득한 영상으로 불량형상을 찾아내고, 측정하기 적합한 영상을 획득하는 화상처리 알고리즘도 제안한다. 조명은 기존에 사용한 백라이트 명시야 조명을 사용하였다. 시스템의 결함 검출율은 거의 90%이상의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chine Learning System for Fine Dust Anomaly Detection based on Big Data (빅데이터 기반 미세먼지 이상 탐지 머신러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Jae-Won Lee;Chi-Ho L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4 no.1
    • /
    • pp.55-58
    • /
    • 202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ig data-based fine dust anomaly detection machine learning system. The proposed is system that classifies the fine dust air quality index through meteorological information composed of fine dust and big data. This system classifies fine dust through the design of an anomaly detection algorithm according to the outliers for each air quality index classification categories based on machine learning. Depth data of the image collected from the camera collects images according to the level of fine dust, and then creates a fine dust visibility mask. And, with a learning-based fingerprinting technique through a mono depth estimation algorithm, the fine dust level is derived by inferring the visibility distance of fine dust collected from the monoscope camera. For experimentation and analysis of this method, after creating learning data by matching the fine dust level data and CCTV image data by region and time, a model is created and tested in a real environment.

Metamorphosis Hierarchical Motion Vector Estimation Algorithm (변형계층적 모션벡터 추정알고리즘)

  • Kim Jeong-Woong;Yang Hae-So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709-712
    • /
    • 2006
  • 다양한 종류의 컴퓨터가 사람, 사물, 환경 속에 내재되어 있고, 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필요한 곳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이 기종 기기간 다양한 데이터 교환을 요구한다. 더욱이 원활한 영상 데이터의 처리, 전송, 모니터링 기술은 핵심적 요소가 아닐 수 없다. 공간 및 시간적인 해상도, 컬러의 표현 그리고 화질의 측정방법 등 고전적 영상 처리 연구 분야뿐만 아니라 국한된 대역폭을 갖는 홈네트워크의 전송체계에서 전송률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홈네트워크 상황에서 콘텐츠의 중심이 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과 처리 그리고 제어를 위하여 새로운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각도, 거리등 다양한 환경에서 전송되어지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영상데이터들은 축소, 확대, 이동, 보정 등 전처리 후 제안된 변형계층 모션벡터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압축 처리, 전송된다. 기존 모션벡터 추정 알고리즘의 장점을 계승하고 단점을 보완한 변형계층 알고리즘은 비정형, 소형 매크로 블록을 이용하여 휘도의 편차가 큰 영상의 효율적 움직임 추정에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변형계층 알고리즘과 이를 이용해 구현된 영상시스템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

Grid Angle Optimization and Grid Artifact Reduction in Digital Radiography Images Based on the Modulation Model (디지털 방사선 영상에서 그리드 각도의 최적화와 변조 모델에 기초한 그리드 왜곡의 제거)

  • Kim, Dong-Si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8 no.3
    • /
    • pp.30-41
    • /
    • 2011
  • In order to obtain more clear x-ray images, an antiscatter grid, which can absorb the scattered rays, is employed. In the high-resolution direct digital radiography, however, the artifacts due to the grid are visible. In this paper, within the methods of obtaining x-ray digital images by employing the rotated grids for the facility of grid artifact reduction, the previous work, where the frequencies of the artifact components on the boundary, is further analyzed and extended, and a min-max optimization for a given grid density is proposed. For practical grid densities, appropriate grid angles are provided and a grid artifact reduction algorithm is proposed for the appropriate grid angles. The proposed algorithm is tested for real x-ray digital images with a comparison, and can remove the grid artifacts while maintaining the resolution of the original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