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험용 건물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초

사초용유채 ( Brassica napus Subsp. oleifera )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VII. 사초용 유채품종 Velox의 생산성 및 생육기간중의 영양가치의 변화 (Studies on Productivity and Nutrient Quality of Forage Rape (Brassica napus Subsp. oleifera) VII. Productivity of forage rape cv. Velox and its variation of nutrient quality during the growth period)

  • 안계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9-186
    • /
    • 1989
  • 사초용유채의 품종선별선급실험과 유채용유채와 사초용유채품종들 간에 있어서 생산성과 영양가치를 비교한 실험에서 사초용유채 도인품종중 우리나라 남부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품종으로 Velox가 사초생산성 및 영양가치면에서 가장 유망하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Velox를 공시하여 고립적배와 실행群落培 사이에 생산성과 영양가치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생육과정중의 영양가치의 변화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당 생산성에 있어서 생체중과 건물중의 개체간 변이가 매우 컸으나 고립적배가 군락적배보다 1%수준의 유의차로 우수하였다. 孤립적배에 있어서 생체중과 건물중의 구성은 분지에 크게 의존되었으며 군락적배에 있어서는 분치와 주경이 비슷한 영향을 주었다. 건물율은 고리적배와 군락적배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부위별로는 주경이 가장 높았다. 2. 粗蛋白質含量은 生育期間이 經過됨에 따라 점차 저하되었으며, 播種後 90일부터 120일까지에는 孤立적배가 群落적배보다 높은 반면 180일以後 개화기까지는 군락적배가 고립적배보다 높았다. NDF, ADF, cellulose 및 lignin등의 鐵維含量은 生育초기에는 낮은 水준이었으며 생育期間이 經過됨에 따라 점차 높아지면서 생育後期에는 孤立적배가 군락적배보다 높게 變化되었다. 3. In vitro 乾物소화率은 줄기나 잎 모두 生育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차 저하되었으며, 줄기는 군락적배가 고립적배보다 높았으나 잎은 고립적배와 군락적배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화산회토양에서 Arbuscular Mycorrhizae 에 의한 토마토의 인광석 이용 (Rock Phosphate with Mycorrhizae as P Source for Tomato Plant in Volcanic Ash Soil)

  • 정종배;문두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7-291
    • /
    • 1999
  • Mycorrhizae가 형성된 식물에서 인광석이 인산급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온실 실험을 수행하였다. 멸균된 제주 화산회토에 인광석과 용성인비를 100및 200 mg P/kg 수준으로 처리하고 토마토를 재배하였는데 토마토는 mycorrhizae 접종구와 비접종구를 두고 3개월간 재배한 후 식물생육과 인을 비롯한 무기영양소 흡수를 조사하였다. 용성인비 처리구에 비하여 인광석 처리구에서 생육이 현저히 저해되었는데 이는 인광석처리에 따른 토양중의 유효인산 부족 때문일 것이다. 용성인비와 인광석 200 mg P/kg 처리구에스는 mycorrhizae균의 접종에 따라 건물량이 증가하였다. Mycorrhizae 형성율과 토양중의 포자밀도는 인광석 처리구에서 낮았다. 식물체중의 인 함량은 용성인비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mycorrhizae 처리 효과는 없었다. N, K, Ca, Mg 등의 함량에서도 처리별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제주 화산회토양에서 $100{\sim}200\;mg\;P/kg$ 수준의 인광석 처리로는 mycorrhizae 형성 여부에 상관없이 적정 식물생육을 위한 인 공급이 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경계층 내에 위치한 각진 물체 주위의 와류 전산 해석 (Computational Analysis of Vortex Structures around Wall-Mounted Bluff Body in Boundary Layer)

  • 이주용;김현우;이승수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2회(2013년)
    • /
    • pp.354-359
    • /
    • 2013
  •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설계시 풍동 실험을 통한 풍환경의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환경 영향 평가법에서 정한 건축 사업 시행 시 수반되어야 할 자연환경, 생활환경 그리고 사회경제환경의 영향 평가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풍동 실험의 경우 여러 가지 현실적 제약조건으로 설계와 실험의 피드백 (Feedback)이 원활하지 못하며, 특히 대상 건축물이 공장과 같이 대기 오염원이 되는 경우 실험은 더욱 어려운 형편이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전산 유체 역학을 이용한 건축물의 풍압 해석에 의한 풍하중 추정이나 인접 지형-지물의 영향을 고려한 건축물 주위의 풍환경 평가가 있다. 전산 모사에 의해 풍동 실험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보다 상세한 정보를 확보함으로써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의 증대와 환경 피해 감소를 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복잡한 지형-지물이나 건축물 주위의 풍환경에 대한 전산 모사는 주로 두 가지의 기술적 어려움을 수반하게 되다. 그 중 하나는 고정 경계면을 이루는 형상의 복잡성으로 인해 기존에 많이 이용하고 있는 Body-fitted 격자계를 이용하는 경우, 격자 생성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울 뿐 만 아니라 생성된 격자가 주로 비정렬 (unstructured) 특성을 갖게 되어 수치해석 과정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며, 격자의 형상도 수치해석의 수렴성을 저하시키는 예가 많다. 다른 어려움으로 풍환경은 전형적인 난류 유동장으로서 난류의 전산 해석은 아직도 해결하지 못한 부분이 많다는 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지형-지물이나 건축물의 풍하중과 풍환경의 전산 모사 기술 확보를 위하여 수행중인 연구의 일환으로 물체 형상의 기하학적 복잡성의 극복을 위한 가상경계법 (Immersed Boundary Method)과 난류 유동장의 물리적 엄밀성을 높이기 위한 다와동 모사 (Large Eddy Simulation)을 이용한 물체 형상과 무관한 유동장 해석 기술 개발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먼저 최근에 유동 해석에 이용되는 방법인 가상경계법(IBM)은 물체를 포함한 전체 전산 영역을 직교 좌표계에 의해 이산화하고, 유동장내 존재하는 물체의 표면에서의 점착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지배 방정식에 적절한 외력을 추가로 고려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경계법을 이용하여 경계층에 위치한 건물 형상의 각진 물체 주위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 내부의 비정상 유속 및 압력에 대한 전산 해석을 수행하고, 풍상측 전면에 형성되는 경계층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육묘용 상토내의 폐암면 혼합비율이 메리골드 플러그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ending Rate of Waste Rockwool in Nursery Media on Growth of Marygold Plug Seedlings)

  • 전하준;황진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1
    • /
    • 2007
  • 수경재배의 폐암면 처리문제를 해결하고 수입의존도가 높은 육묘용 상토 자재의 개발로 육묘산엽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폐암면의 혼합비율을 달리한 플러그용 육묘상토를 조성하여 메리골드의 생육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시판 육묘상토를 대조구로 하고, 시판 육묘상토에 이용되는 코코피트 대신에 폐암면을 10, 30, 50%로 혼합하여 혼합상토를 조제하여 50공 트레이에 파종하고 생육조사를 실시하였다. 메리골드의 발아율은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초장, 엽수, 경경, 엽면적과 지상부 및 지하부의 건물중 및 생체중은 시판상토와 폐암면 50% 혼합 처리구에서 양호하였다. 그러나 폐암면 30 및 10% 혼합처리구에서는 시판상토에 비해서 생육이 낮았는데 그 결과에 대해서는 정확한 원인을 밝힐 수 없었다. 본 실험에서는 폐암면을 플러그용 육묘상토의 자재로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으며, 폐암면의 적정한 혼합비율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주열식 벽체용 중공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파일의 휨거동 평가 (Evaluation of Flexural Behavior of Hollow Prestressed Concrete Pile for Continuous Pile Wall)

  • 이영근;장민준;윤순종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0-27
    • /
    • 2014
  • 토목, 건축 현장에서 굴착부 배면의 지반 및 각종 구조물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법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특히 인접한 건물 및 도로 등으로 인해 배면에 여유 공간이 없는 경우, 지중 연속벽 공법, 주열식 흙막이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법들은 콘크리트를 현장타설로 시공하여 품질관리의 어려움이 있고 양생기간으로 인한 시공기간의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위의 공법들은 대부분 임시시설로 사용되고 영구 구조체인 옹벽은 별도로 시공된다. 이 연구에서는 위에서 지적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부재를 활용한 주열식 벽체용 중공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파일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파일의 휨에 대한 구조적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긴장력 도입 실험과, 휨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설계에 따른 충분한 긴장력이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차수용 옹벽 또는 안벽 구조물로서 사용한계로 판단되는 균열모멘트 또한 설계시 계산된 균열모멘트에 비하여 약 34% 정도의 여유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극한한계상태인 최대모멘트는 실험을 통해 얻은 균열모멘트에 대해 59.2%의 추가적이 사용성를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혼파초지에서 봄철 예취방법에 따른 목초의 생산성과 사료가치 비교연구 IV. 1차 이용시기와 재생기간이 목초의 건물생산성 , 경엽분포비율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 Studies on the Grass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as Affected by Cutting Management in Sprin (Studies on the Grass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as Affected by Cutting Management in Spring IV. Effects of the first harvesting times and regrowth periods on dry matter productivity, leaf : stem ratio and nutritive value of grasses.)

  • 이종경;서성;한영춘;이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20
    • /
    • 1990
  • 본 실험은 혼파초지에서 봄철 1차 이용시기와 1차 이용후 재생기간에 따른 목초의 일당 건물생산량, 경엽분포비율, 일반성분함량 및 세포벽 구성물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차 이용시기(주구)를 영양생장기(초장 25-30cm), 절간신장기(초장 40~50cm) 및 출수기(초장 60~70cm)로 하고 1차 이용후 재생기간(세구)을 20, 30 및 40일로 하여 1987년도와 1988년도 2개년에 걸쳐 실시하였다. 1차 이용시 일당생산량은 늦게 이용할수록 증가하나 2차 이용후부터는 감소하여 1차 이용을 빨리 하는 것이 좋았으며, 재생기간은 건물생산량 측면에서 20일은 너무 짧고 40일은 너무 길어 30일이 가장 유리하였다. 목초 경엽분포비율은 1차 이용을 일찍 할수록, 1차 이용후 재생기간을 짧게 할수록 잎의 비율은 증가하고 줄기의 비율은 감소하여 사료가치는 증진되었다. 목장의 사료가치(일반성분함량과 제포벽구성물질)도 1차 이용을 영양생장기로 일찍 할수록, 1차 이용후 재생기간을 짧게 할수록 증가하였다. 조사자질생산량은 1차이용을 늦게 할수록 증가되었으나 2차 이용시부터는 상살되었으며, 재생기간 30일에서 조사자질생산량은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서 초지에서 목초의 양호한 재생, 건물생산성, 수절생산성 및 사료가치 등을 고려해볼 때 봄철 1차 이용은 가급적 일찍하는 것이, 그리고 1차 이용후 재생기간은 1차 이용시기에 관계 없이 30일 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

화학비료와 액상분뇨 시용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토양의 NO3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emical Fertilizer and Liquid Manure Application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Feed Value of Corn for Silage and NO3 of Soil)

  • 이상무;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7-244
    • /
    • 2004
  • 본 실험은 석회, 돈분액비 및 화학비료의 시용에 따른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토양의 질산염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토양 전처리, 기비, 추비를 각각 달리처리한(C구: 화학비료 + 화학비료, T1; 석회 + 화학비료 + 화학비료, T2; 돈분액비 + 돈분액비, T3; 석회 + 돈분액비 + 돈분액비, T4; 돈분액비 + 화학비료) 5처리 3반복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특성(초장, 착수고, 암이삭 비율, 건물율)은 석회로 토양을 교정하고 기비와 추비를 돈분액비로 처리한 T3구가 가장 좋았던 반면, 토양교정 없이 기비 및 추비를 화학비료로만 처리한 대조구(C구)가 낮은 경향치를 보였다. 건물 및 TDN 수량에 있어서도 T3구가 각각 18,611 및 13,746kg/ha로서 가장 높은 생산량을 나타낸 반면 T1구는 13,529 및 9,541kg/ha로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NDF 및 ADF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생육 특성이 떨어지고 수량(건물 및 TDN)이 낮았던 T1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토양 성분중 질산염은 시용 비료에 따라 뚜렷한 경향치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50cm 토양에서는 전 처리구 모두 시험초기에 비하여 후기에 농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100cm 토양에서는 C, T1 및 T4구는 50cm구와 같은 경향을, T2구와 T3구는 후기에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냉동시스템 고장 진단 및 고장유형 분석을 위한 3단계 분류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3-step classification algorithm for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refrigeration system failures and their types)

  • 이강배;박성호;이희원;이승재;이승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1-37
    • /
    • 2021
  • 산업의 발전으로 도시화로 인해 건물의 규모가 커지면서, 건물의 공기 정화 및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의 필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냉동 시스템의 모니터링 기술의 발전으로 건물 내에 발생하는 전력 소모량을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상업용 건물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량 중 약 40%가 냉동 시스템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본 연구 냉동시스템 고장진단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해서 냉동시스템의 구조를 이해하고, 냉동 시스템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다양한 유형과 심각도를 가지는 고장 상황을 조기에 신속하게 탐지 분류하고자 하였다. 특히 분류가 어려운 고장 유형들의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3단계 진단 및 분류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다수의 실험과 초모수 (hyper parameter) 최적화 과정을 거쳐 각 단계에 적합한 분류 모형으로 SVM과 LGBM에 기반 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장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선행연구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냉매 관련 고장을 포함한 모든 고장 유형을 우수한 결과로 도출하였다.

전단머리 보강 CFT기둥-RC 무량판 접합부의 펀칭전단강도 (Punching Shear Strength of CFT Column to RC Flat Plate Connections Reinforced with Shearhead)

  • 김진원;이철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23-433
    • /
    • 2012
  • 본 논문은 전단머리를 갖는 CFT기둥-RC 무량판 접합부에 대한 실물대 실험연구를 요약한 것이다. CFT구조는 여러 가지 구조 및 시공 상의 장점으로 인하여 국내 건설현장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 한편 RC 무량판 구조는 층고절감 및 공기 단축 측면의 장점으로 국내의 지하주차장이나 주거용 건물에 필수적 구조시스템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두 구조시스템을 조합함으로써 공사기간의 획기적 단축 등 여러 시공 및 구조상의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CFT기둥-RC 무량판 접합부의 효율적인 디테일은 국내 외적으로 아직 충분히 연구된 바가 없어서 이 분야의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CFT기둥-RC 무량판 접합부의 구조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하여 접합상세를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CFT기둥-RC 무량판 접합상세의 펀칭강도는 ACI에서 규정한 RC 무량판 펀칭강도와 동등하거나 상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CFT기둥-RC 무량판의 펀칭전단강도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X-가새형 탄소섬유케이블을 이용한 중·저층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내진보강법 개발 (A Development of Seismic Rehabilitation Method of RC Buildings Strengthened with X-Bracing Using Carbon Fiber Composite Cable)

  • 이강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강재브레이스 내진보강법이 가지는 좌굴문제 등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중 저층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내진보강법을 개발하였다. Carbon Fiber Composite Cable (CFCC)을 이용하여 건축물 골조 외부에 X자 형태로 내진보강을 실시하고, 상부 및 하부 보 양 단부에 CFCC X-브레이싱을 고정하기 위해서 평판 및 돌출형 나사식 접합으로 내진보강을 실시하는 내진보강법으로서, 반복하중 실험을 통하여 내진보강 효과를 규명하였다. 실험체는 비교용 비보강 골조, 평판형 및 돌출형 CFCC X-브레이싱 내진보강 골조 실험체 총 3개를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CFCC 내진보강법은 강도증진형 내진보강법으로 드러났으며, 기존 강재브레이스 보강법 대비 중량증가가 거의 없으며, 재료자체가 압축에 대한 좌굴이 없으며, 경량이므로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고 중량 및 체적대비 우수한 강도가 발휘될 뿐만 아니라 특히, CFCC의 직경을 변경함으로서 내진보강 목적 (강도 보강량)에 대응하여 내진성능을 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