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해역 검증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실해역 운항 데이터를 활용한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의 효과 검증

  • Jeong, Se-Yong;An, Gyeong-Su;Yang, Jin-Ho;Jo, Chun-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66-68
    • /
    • 2015
  •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은 실해역 속도 성능 예측방법에서의 선택 근거확보와 정확도 평가를 위한 효과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이 같은 성능검증에 있어서 동일한 선박에 대한 다양한 대안 항로에서의 동시성능계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효과를 직접 비교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의 효과 검증을 위한 간접적인 절차를 제안하였고, 시스템의 내부 분석코드를 이용하여 효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그 절차는 1) 계산의 근거 인기상 정보의 정확성 검증, 2) 실제 항로에서의 성능예측계산의 신뢰성 확인, 3) 신뢰성이 확보된 계산방법을 이용한 최적항로선택, 4) 실제 항로와 최적항로의 연료 효율성 비교의 4단계로 이루어진다. 대상 선박은 폴라리스쉬핑의 솔라돌핀호(208k BC)이며 실선 운항 데이터는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을 통하여 직접 계측하였다. 그 결과 호주-한국 항차에서 최적항로를 항해할 경우 약 6.0%의 연료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Introduction to research on experiments in real sea areas of autonomous Ship (자율운항 선박 실해역 실험 연구 소개)

  • Jin-Soo Kim;Nam-Kyun Im;Donggyun Kim;SungJo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58-260
    • /
    • 2023
  • 목포해양대학교와 삼성중공업은 2021년 공동 연구를 통하여 '실습선 기반 원격/자율 운항 선박 시스템 개발 및 검증'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목포해양대학교 실습선인 세계로호를 활용하여 삼성중공업의 자율운항 선박 시스템(Autonomous Navigation System)인 SAS의 Test Bed 시연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여 2022년 자율운항 선박(MASS) 기술 요소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반 SAS(Samsung Autonomous Ship) System 검증 및 '운항 노선에 대한 설정을 통한 선박 자율운항 검증'을 위한 실선·실해역 실험을 통해 이를 시연 및 검증을 시행하였다. 특히 의미 있는 것은 자율운항선박 실선 테스트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험요소 분석을 위해 한국선급과 HAZID Workship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국내최초 자율운항실험용 기국 승인 및 선급임시검사 완료 후 실험이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실습선 기반 자율운항 선박 실해역 실험 연구를 소개하고 그 결과를 운항자 입장에서 분석하여 향후 보완하여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Simulation and Sea Trial test for MASS (자율운항선박 시뮬레이션 및 실해역 실험 분석)

  • Donggyun Kim;Jin-Soo Kim;Nam-Kyun 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3-264
    • /
    • 2023
  • 본 연구는 자율운항선박의 실제 해상에서의 성능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SAS(Samsung Autonomous System)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은 Imazu 조우 모델을 기반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 조우 선박은 2-4척으로 정면, 횡단, 추월 등이 뒤섞인 상황을 가정하였다. 결과 분석은 6가지 항목(속력, Heading, Rate of Turn, Collison Risk Index, DCPA, TCPA, Closest Distance, XTD(Cross-Track Distance))을 분석하였다. 2 차례의 실해역 실험을 진행하였다. 목포-제주도 구간에서 실해역 실험을 진행 후 목포-이어도-독도 항로에서 실해역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해역 실험 결과 Imazu 모델 기반 시뮬레이션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 PDF

A development of the dynamic positioning(DP) system and model testing for performance estimation on katamaran type unmanned surface vehicle(USV) at open sea (무인쌍동선의 실해역 DP 성능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모형시험 검증 기법 개발)

  • Hyung-Do Song;Seok-Kyu Cho;Nam-Sun S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88-188
    • /
    • 2022
  • 선박의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인 무인 운용체계는 근래에 많은 관심을 받고 연구되어 왔다. 특히 무인수상선과 무인수중체의(USV-AUV)의 복합 운용 분야는 그 동안 어려움이 있었던 심해저 탐사 및 특수 임무 활용에 용이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쌍동선 형태인 무인수상선이 모선이 되고 무인수중체가 결합하여 충전하고 다시 진수하여 원거리 및 심해저 조건에서 무인수중체가 운용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일부인 USV-AUV의 docking을 위한 DP 시스템을 개발하고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공학수조에서 모형시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실제 제작된 무인쌍동선과 추진 시스템을 활용하여 모형시험을 통해 검증한 DP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화성 제부도 앞바다에서 실선 DP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실 해역에서의 DP 시스템 테스트는 정확한 환경 조건의 계측 및 구현이 어려워 모형시험과 같은 정량적인 평가는 어렵지만, 정성적으로 DP 시스템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Navigational Supporting System by using Ships' Collision Risk (선박 충돌위험도를 이용한 안전운항지원 시스템 검증 연구)

  • Son, Nam-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185-186
    • /
    • 2014
  • 전자해도 및 레이더와 같은 첨단운항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으나, 선박간의 충돌사고는 줄어들고 있지 않고 있으며 전체 사고의 30%를 차지하는 선박충돌사고의 80% 이상이 운항자의 실수에 의해 발생되고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지능적인 운항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박 충돌위험도 식별 정보를 활용하여 운항자에게 안전운항정보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존에 항해레이더에서는 운항자가 특정 선박을 지정하여야만 선박충돌여유거리 및 선박충돌여유시간 등의 충돌예방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신규로 개발된 시스템에서는 선박들 중에 충돌위험이 높은 선박들을 자동으로 식별하여 충돌예상선박들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충돌 전에 미리 사고를 예방하고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개발된 시스템은 선박에 탑재하여, 실해역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 충돌 위험도 기반의 안전운항 지원 시스템의 특징과 실해역 시험결과에 대해 소개한다.

  • PDF

비면허대역용 선박중심직접통신(MX-S2X) 개발현황 및 향후계획

  • 김혜진;김병기;김원용;김부영;심우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149-151
    • /
    • 2023
  • MX-S2X(선박중심직접통신)은 선박을 중심으로 한 D2D 통신을 통해 육상·선박·시설의 유기적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해양 분야의 4차 산업혁명에서 해상 통신 기술 인프라로서의 핵심 역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된다.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 무설설비 다각화 및 통신연계 기술개발 '의 1단계 3차년도에서는 2차년도에 제작한 MX-S2X 1차 시제품에 대한 기능을 보완하고 ISM 대역의 소출력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DSSS을 적용하여 2차 시제품을 구현/제작하고 실제 해상환경에서 성능을 검증한다. 본 논문에서는 MX-S2X 2차 시제품에 대한 1, 2차 실해역 시험결과 및 향후 계획에 대해 공유한다.

  • PDF

Heading Control of URI-T, an Underwater Cable Burying ROV: Theory and Sea Trial Verification (URI-T, 해저 케이블 매설용 ROV의 선수각 제어 및 실해역 검증)

  • Cho, Gun Rae;Kang, Hyungjoo;Lee, Mun-Jik;Li, Ji-Hong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3 no.2
    • /
    • pp.178-188
    • /
    • 2019
  • When burying underwater cables using robots, heading control is one of the key functions for the robots to improve task efficiency. This paper addresses the heading control issue for URI-T, an ROV for underwater construction tasks, including the burial and maintenance of cables or small diameter pipelines. Through modeling and identifying the heading motion of URI-T, the dynamic characteristics and input limitation are analyz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results, a PD type controller with appropriate input treatment is designed for the heading control of URI-T. The performance of the heading controller was verified in water tank experiments.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controller was also evaluated through the sea trial of URI-T at the East Sea, with a water depth of 500 m.

Implementation and field test for autonomous navigation of manta UUV (만타형 무인 잠수정의 개발과 실해역 성능시험)

  • Ko, Sung-Hyub;Kim, Dong-Hee;Kim, Joon-You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7 no.6
    • /
    • pp.644-652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and field experiments of Manta-type Unmanned Underwater Vehicle (UUV). Various simulations for Manta UUV are performed by using the nonlinear 6-DOF motion of equations. Through this simulation we verified the motion performances of Manta UUV. To acquire the blueprint of Manta UUV, it was designed with the simulation results. The Manta UUV uses a Doppler Velocity Log (DVL), gyrocompass, GPS, pressure sensor and other minor sensors, applied to measure the motion, position and path of Manta UUV. For its propulsion and changing a direction in the underwater, one vertical fin and four horizontal fins are installed at the hull of UUV. The Manta UUV system was verified with motion and autonomous navigation test at field.

DSP Implementation and Open Sea Test of Underwater Image Transmission System Using QPSK Scheme (QPSK 방식을 이용한 수중영상 정보전송 시스템의 DSP구현 및 실해역 실험 연구)

  • 박종원;고학림;이덕환;최영철;김시문;김승근;임용곤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2
    • /
    • pp.117-124
    • /
    • 2004
  • In this paper, we have been implemented the QPSK-based underwater transmission systems using DSP in order to transmit the underwater image data. We have adopted a BDPA (Block Data Parallel Architecture) to control multiple DSPs used in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in order to transmit the image data in real-time. We also have developed GUI software in order to drive and to debug the implemanted system in real-time. We have executed open sea tests in order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implemented system at East Sea near Kosung in Kangwon-Do. As a result of these experiment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10 kbps image data can be received without errors at 30m and 80m depth points, 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is up to 20m.

실해역 측정 디지털 이미지 정보를 활용한 해무 강도 측정 알고리즘 및 성능 검증에 관한 연구

  • 황신혁;박세용;송영남;김승규;임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177-179
    • /
    • 2023
  • 항로표지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으로 해무 강도를 측정한다. 영상 이미지를 Dark Channel 값으로 바꾼 후에 특정 문턱값을 기준으로 전체 영상에서 해무가 존재하지 않은 픽셀 개수의 비율을 통해서 해무 강도를 추정하여 날씨로 인한 항로 표지 안전사고를 해결하는 것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