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측치

검색결과 981건 처리시간 0.024초

파랑에 의한 수표면 부유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rface Drift Velocity in Water Waves)

  • 김태인;최한규;권혁재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29-339
    • /
    • 1995
  • 파 운동에 의한 수표면 부유속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Stokes 2차 파이론, Stokes 5차 파이론 및 Longuet-Higgins(1953)의 전도해 등에 의한 이론치를 2차원 조파수조에서 실측한 실험치와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간 상대수심의 범위는 0.04

  • PDF

ASF 예측치와 실측치 비교 (Comparison of Predicted and Measured ASF)

  • 신미영;황상욱;유동희;박찬식;이창복;이상정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5-180
    • /
    • 2010
  • 대부분의 응용분야에서 GNSS가 주 측위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방해전파에 대한 취약성으로 인해 최근에 몇몇 국가에서 eLoran 시스템을 GNSS 백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eLoran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기존 Loran 시스템에서 설비의 업그레이드, 데이터 채널 사용, dLoran 사이트 추가 구성, 전파 지연오차 보상을 통한 성능 향상이 필요하다. eLoran 신호를 이용한 측위 시에 정확도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오차요소는 육지를 통해 전파될 때 겪는 부가적인 지연요소인 ASF이다. ASF는 지상파 신호가 전파시에 가변적인 고도, 유전율, 도전율 특성을 갖는 육지를 통과하며 발생하는 지연요소이다. 따라서 지상파를 이용한 항법 시에 ASF에 대한 보상모델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몬테쓰 모델 (Monteath's Model)을 사용하여 ASF 예측치를 모델링하고, Loran 신호를 이용한 실측을 통해 ASF 실측치를 측정한 후, ASF 예측치와 실측치를 비교하고 특성을 도출하였다. 실험대상 지역은 대전 KRISS와 포항 근방이며, GRI 9930 체인 중 주국인 포항 송신국의 신호를 사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ASF 실측치의 반복성을 확인하고, ASF 예측치와 실측치 간에 일정한 추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점오염해석과 연계한 낙동강에서의 동적 수질모의 (Dynamic Water Quality Simulation Considering Nonpoint Sources in Nakdong River)

  • 한건연;최현구;김지성;윤영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33-437
    • /
    • 2007
  • 최근 환경부에서는 낙동강 유역의 오염총량관리제도의 시행에 따라 이제까지의 배출구 수질기준으로부터 총량수질기준을 통한 수질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오염총량관리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주요지천 및 폐수처리장에서의 수질개선 및 비점오염원 관리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낙동강 유역에 적합한 최적 수질해석 모델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수질모델의 가장 큰 목적은 유역으로부터 발생한 오염물이 하천으로 유입되었을 때 하천 수질 및 생태계의 수학적 표현을 통해 장래의 수질을 예측하고, 예측된 결과에 따라 합리적인 수질관리대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낙동강은 대표적인 수지상 하천망의 형태로서 댐 방류량 및 지류유입량은 본류 수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질해석의 기본이 되는 수리계산에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된다. 또한 대구, 구미, 왜관, 김천 등에서의 오염부하가 금호강, 남강 등의 주요 지류를 통하여 본류부로 유입되고 있으며, 하류부 칠서, 원동, 매리, 물금 등에서는 대량의 하천수를 취수하여 부산, 울산, 마산, 창원 지역 등의 생활 및 공업용수의 원수로 사용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댐 방류량, 낙동강 하구언의 수위조절, 지류 유입량, 비점원 유입량 등 계산영역 경계에서의 비정상상태의 수리조건과 수질관리 계획에 의해 일률적으로 오염이 부하되는 정상상태의 수질조건이 공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에 적합한 동적 수질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치모형은 갈수저수조건 및 불규칙한 하도단면을 반영하고, 동적 상태의 댐 방류량, 낙동강 하구언의 수위조절 영향, 지류 유입량 등 다양한 하천조건에서 발생하는 동적 흐름을 안정적으로 해석하여 낙동강 수질해석의 신뢰도를 향상시킴으로서 낙동강에 유입된 오염물질이 수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동적수질해석에 의한 모의결과는 유량의 경우 상류부분은 모의치와 실측치가 잘 일치하지만, 중류 이후 지류의 유입이 많아지면서 지류의 변화를 정확히 입력하지 못해 모의치와 실측치의 차이가 발생한다. BOD의 경우는 수질이 양호한 상류지역은 모의치와 실측치가 잘 일치하지만, 오염원의 유입이 많은 중류지역부터는 실측치와 차이를 나타내다가 하류지역에서 다시 비교적 일치함을 알 수 있다. TN의 경우는 전반적으로 실측치보다 높게 모의되었고, TP는 전반적으로 실측치와 비교하여 잘 모의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동적 수리해석모형 및 동적 수질해석모형은 낙동강 유역에 대해 유량 및 수질 등의 실제 하천의 경향에 비교적 잘 반영하므로 오염물총량규제에 따른 합리적인 하천 수질관리대책을 수립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토양온도(土壤溫度)의 변화예측(變化豫測) (Estimation for Daily Mean 10cm Soil Temperature)

  • 박창서;정석재;현근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9-293
    • /
    • 1993
  • 수학적(數學的) 방법(方法)을 이용하여 일평균토심(日平均土深)10cm온도(溫度) 추정(推定)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수원기상태(水原氣象台)에서 조사(調査)된 토양온도(土壤溫度)(1982~1988) 자료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월평균토심(月平均土深)10cm온도(溫度)는 1월에 최저온도(最低溫度) 8월에 최고온도(最高溫度)를 나타내었으며, 1500GMT에서 가장 큰 폭(幅)을 지닌 년변이(年變異)를 보였으며 그리고 0900GMT에서 저온(低溫) 1500GMT에서 고온(高溫)을 나타내었음. 2. 토심(土深)10cm온도(溫度)의 하강(下降) 및 상승(上昇)은 연변이(年變異)를 나타내었으며, 토심(土深)10cm온도(溫度)는 큰 변이성(變異性)을 나타내었음. 3. 수원지방(水原地方)의 순평균토심(旬平均土深)10cm온도(溫度)에 대한 날짜수(數)(D)의 회귀식(回歸式)은 다음과 같다. ($r=0.997^{**}$) Y= 13.05-6.58sin($2{\pi}D$.365) -12.45cos($2{\pi}D$/365) 4. 수원지방(水原地方)의 순평균토심(旬平均土深)10cm온도(溫度)의 실측치(實測値)에 대한 추정식(推定植)의 회귀식(回歸式)은 다음과 같다($r=0.994^{**}$, 표준오차(標準誤差)=$0.75^{\circ}C$) Y=-0.188+0.984X 5. 일평균토심(日平均土深)10cm온도(溫度) 추정치(推定値)의 75%는 실측치(實測値)와 ${\pm}20^{\circ}C$ 오차(誤差)가 있었음 6. 1~5월 까지의 추정치(推定値)는 실측치(實測値)보다 높았으며, 6~12월 까지의 추정치(推定値)는 실측치(實測値)보다 낮았음.

  • PDF

하천유역의 유사량 산정 및 하상변동 예측을 위한 영향인자의 평가분석 (Estimation of Sediment Transport and Influence Factor for the Prediction of Riverbed Changes)

  • 윤세의;이종태;정재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5호
    • /
    • pp.561-57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1) 운동과 이론에 기초한 강우, 유출 특성을 파악하고, (2) 강우 및 유수에 의해서 발생하는 침식, 퇴적량을 산정하는 모형을 연구하며, (3) 유사량 산정식, 유역의 불할 수 등이 하상변동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4) 평창강 유역에서 하도자료, 강우, 유츨량, 유사량 등을 실측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운동파 방정식을 평창강 유역에 적용하여 유출해석을 실시한 결과, 첨두 유량의 발생시간은 다소 빠르게 계산되었으나 전체적인 수문곡선의 형태 및 크기에 있어서는 비교적 실측치에 접근하고 있었다. 유사량 곡선은 유출수문곡선에 따라 변화되며, 실측치와 계산치는 비교적 일치하고 있어서 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역의 분할 소유역 개수를 증가하여 유출량 및 유사량을 계산하는 것이 실측치에 더욱 접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6개의 유사량 산정공식 중 지표면에서는 Yalin 식을, 하도에서는 Acker-White 식을 적용하여 계산한 결과치가 실측치에 가장 가까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나트륨 실측치와 식품교환표 및 식품성분표를 이용한 추정치의 비교 (Differences Between Analyzed and Estimated Sodium Contents of Food Composition Table or Food Exchange List)

  • 권용주;이무용;김지영;권광일;김소진;신희준;박성수;이은주;박혜경;박용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35-541
    • /
    • 2010
  • 나트륨의 과잉섭취가 고혈압의 주요한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한국인의 성인 하루 평균 소금 섭취량은 영양 섭취기준보다 3배 이상 높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교환표를 이용하여 14일간의 식단을 작성하고 조리된 음식의 나트륨 함량을 실제로 측정한 후 식품교환표와 식품성분표에서 계산된 나트륨 추정치와 비교하여, 각각 방법의 정확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하루 식단의 나트륨 함량에서 식품교환표로 계산한 추정치는 실측치와 유의한 차이가 났으나, 식품성분표는 실측치와 유사하였다. 음식별 절대값의 비교에서는 식품교환표로 계산한 나트륨 추정치와 식품성분표로 계산한 나트륨 추정치가 모두 실측치와 유의한 차이가 났다. 음식군별 절대값 비교에서는 양념류의 나트륨 함량이 많은 주요리, 부식, 국물요리에서 상당히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 식품교환표로 계산한 추정치, 식품성분표로 계산한 추정치, 실측치간의 차이가 큰 음식들이 모두 주요리, 부식, 국물요리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단순히 하루 식단의 나트륨 함량 비교에서 식품교환표에 비해 식품성분표의 나트륨 함량이 더 정확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음식별 또는 음식군별로 추정치와 실측치간의 차이를 절대값으로 비교한 결과, 식품교환표와 식품성분표의 나트륨 함량 모두 실측치와 차이가 컸다. 특히 나트륨 과잉 섭취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되는 양념류의 차이로 장류, 김치 등의 사용이 많은 한국음식에서 식품교환표와 식품성분표를 이용한 추정치와 실측치의 차이가 컸다. 따라서 고혈압 및 신장질환 환자를 위한 저염식단작성시 식품교환표나 식품성분표를 사용할 때 실제 소금량과의 차이를 고려해야한다.

CDMQC Model을 이용(利用)한 울산지역(蔚山地域)의 대기질(大氣質) 예측(豫測)과 실측치(實測値)와의 비교연구(比較研究) (Air Quality Prediction by CDMQC and Its Validation in the Ulsan Industrial Complex)

  • 신응배;이광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77-90
    • /
    • 1981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울산지역(蔚山地域)을 대상(對象)으로 CDMQC 모델을 이용(利用)하여 대기질(大氣質)을 예측(豫測)하였으며 아울러 동일대상지역(同一對象地域)에서 실측(實測)을 시행(施行)하므로써 전산(電算)모델을 이용(利用)한 예측치(豫測値)와 실측치간(實測値間)의 비교검토(比較檢討)를 실시하였다. 모델링결과(結果) 가장 오염(汚染)이 심한 지역(地域)은 부곡동(夫谷洞)과 여천동지역(呂川洞地域)으로 연평균(年平均) $SO_2$의 모델링치(値)는 52ppb 및 47ppb였으며, 실측치(實測値)는 44ppb 및 46ppb를 나타냈다. 또한 실측치(實測値)와 모델링치(値)와의 비교(比較)에서 ${\chi}^2$ 검증법(檢證法)에 의한 신뢰성(信賴性)은 90.02%로 두 자료간(資料間)에 속성(屬性)이 있음을 나타냈으며 상관계수(相關係數)(r)는 0.827로서 높은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어 CDMQC 모델은 울산지역(蔚山地域)의 대기질예측(大氣質豫測)을 위하여 적합(適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낙동강유역에서의 EFDC 모형에 의한 수질해석 적용성 평가 (Assessment of Water Quality Ananlysis using EFDC Model in Nakdong River Basin)

  • 최현구;박세진;노홍식;한건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42-142
    • /
    • 2012
  • 지금까지 국내 연구에서 EFDC 모형의 활용은 WASP 모형과 연계하여 저수지 수리해석에 주로 이용되었으며, 하천의 수리해석에서도 많이 활용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FDC 모형의 Full 버전을 이용하여 하천 수질모델링을 수행하고 적용성과 수질해석의 재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의 8일 간격 실측자료를 사용하기 위하여 대상구간을 낙동강 본류 C에서 낙동강 본류 K까지를 선정하였고, 2차원 수리해석과 수질해석을 수행하였다. 수리해석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량을 실측자료와 비교하였으며, 수질인자는 수온, COD, TOC, DO, TN, TP에 대해 모의하였으며, 모형에서 직접 계산되지 않는 BOD는 COD와 환산을 통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산정하여 실측자료와 비교하였다. EFDC 모형의 하천에서의 수질해석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의 결과와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여 수리 수질해석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EFDC를 이용한 수리 및 수질 모델링의 모의의 예측결과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나, BOD의 경우 다른 인자들의 모의결과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COD나 TOC와 관련된 BOD의 환산에 대한 연구의 부족으로 인한 결과로 보이며, 향후 보다 향상된 기법을 이용한다면 이러한 문제는 개선될 것으로 판단된다. 검증을 위한 실측치로 8일 간격 실측치를 이용하였는데 이 자료의 경우 8일 간격이므로 실제로 결측치가 많이 발생을 하고, 또한 유량이 많이 발생하는 홍수기시에는 관측을 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실제로 자료의 변동이 큰 경우에는 모의 결과가 실측치의 경향을 잘 쫓아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모의결과 신뢰도 향상을 위해 일간격의 실측치를 확보하거나 또는 결측치를 보완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선행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하천유량의 모의발생을 위한 Monte Carlo 방법과 Autoregressive 방법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Monte Carlo and Autoregressive Methods for the Synthetic Generation of river Flows)

  • 윤용남;이은태
    • 물과 미래
    • /
    • 제18권4호
    • /
    • pp.335-345
    • /
    • 1985
  • 추계학적 이론을 근거로 하는 하천유량의 모의발생 모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는 한정된 짧은 기간동안의 유량 실측치의 통계학적 특성을 재현시키는 일련의 장기적 유량자료를 인위적으로 발생시켜 수자원 시스템의 거동예측이나 조작기준을 보다 완벽하게 설정하기 위한 풍부한 인력 자료를 제공하자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유량의 모의발생에 주로 사용되는 Monte Carlo 모형을 연유량 자료를 구성하는 월별 하천유량의 발생에 적용 가능한가를 연구 검토하였다. 비교검토의 목적으로 실측된 월별 유량의 적정분포형을 설정한 후 Monte Carlo 방법에 의해 발생된 월별량과Autoregressive 모형중의 하나인 Thomas-Fiering의 다계절 모형에 의해 발생된 월류량의 통계학적 특성치의 실측치의 특성치와 비교하였다. 한편, 월유량 발생자료의 합성에 의한 연류량 자료의 특성치가 실측 월류량의 합성에 의한 월류량 특성치를 얼마나 잘 재현시키는가를 검사하기 위해 Monte Carlo 및 Thomas-Fiering 모형에 의해 발생시킨 연류량의 통계학적 특성치를 실측류량의 통계특성치와 비교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