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측조사보고서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Measured Runoff Data (실측 유량을 이용한 한반도 기후변화 영향 평가)

  • Minkuk Kim;Engyu Wang;Chanwoo Kim;Seungkyeom Kim;Dongsuk Gwon;Seokgeu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54-354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전 지구적인 기후 특성이 변화하고 있으며, 기후 특성의 변화는 수문순환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IPCC (Intergor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6차 기후변화 평가 보고서(2022)에 의하면 AR5 (Assessment Report 5)와 비교해 AR6 (Assessment Report 6)에서는 높은 신뢰도로 기후변화 영향의 범위 및 규모는 보다 확대되었으며, 단기적인 리스크로 극한기후 현상의 빈도와 강도 및 기간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중장기적인 리스크로 하천 유량의 규모와 관련한 극한 현상의 변화에 따라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위와 같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 기후변화 관련 연구로는 ArcSWAT 모형을 활용한 RCP4.5, RCP8.5 시나리오 기반 미래 유출량 추정에 관한 연구와, SWAT, IHACRES, GR4J 모형을 이용한 용담댐 유역의 미래기간 유출량 변화 모의, SWAT과 VIC 모형을 활용한 미래 저유량 예측 시 관측 자료와 비교해 모형이 가지는 불확실성 평가 등 기후변화 영향을 평가 및 예측하기 위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하지만, 최근 연구의 주요 동향은 유출 모형을 활용한 미래 유출량 모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관측 자료를 통한 기후변화 평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5대 수계(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 섬진강) 유량 관측소의 실측 유량을 활용해 과거기간의 기후변화에 따른 유출특성의 변화와, 미래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활용한 미래기간 유출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인자로 연 유출량, 1일 최대 유출량, 상위 90%에 해당하는 유출량, 하위 10%에 해당하는 유출량 등을 연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도별 총 유출량의 큰 변화는 없지만, 홍수 기간의 첨두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갈수 기간 또한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는 양극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Flood Inundation Analysis of Cheongye-stream by The Historical Records (역사기록을 이용한 청계천의 홍수범람해석)

  • Yun, Gyeong-Ho;Kim, Hyeon-Jun;Jang,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08-1812
    • /
    • 2010
  • 과거에 발생한 극한홍수에 대해 역사기록 혹은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경향성을 연구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수행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시추 자료 분석에 의한 연구는 과거에도 극한홍수가 발생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일기와 같은 개인적인 기록물에도 이런 재해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의 역사기록은 측우기의 앞선 발명과 맞물려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어려운 매우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삼국사기를 비롯하여 고려사에는 그 시대에 발생하였던 주요 홍수에 대해서는 정성적인 기술이 되어 있으며, 특히 조선왕조실록에는 조선왕조가 개국된 이래로 500년간 발생한 홍수와 피해지역 및 피해규모를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과거 청계천에서 관측된 측우기 기록을 이용하여 홍수수문분석을 수행한 후 과거 청계천의 극한홍수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홍수량 산정결과를 토대로 HEC-RAS를 이용하여 과거 청계천에 대하여 각 홍수사상별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홍수위를 과거 역사기록상의 피해기록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수치고도모형(DEM)의 이용으로 공간적 피해규모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모형의 입력 자료로는 하도구간 및 하천단면, 조도계수, 하상경사, 상 하류단 경계조건 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과거 청계천에 대한 하천 단면자료 및 조도계수 등이 필요하나 대상지점의 과거 실측자료가 없는 바 청계천 개수계획평면종단도(1936년, 경성부), 준천사실(1760년), 동국여지비고(1870년), 조선지형도집성(1921년), 경성지적도(1912년), 청계천 유물 발굴조사보고서(2006년) 등의 고문헌을 통하여 청계천 본류 구간에 대하여 단면 입력자료를 구성하였다. 또한 실제 청계천의 주변부 피해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청계천의 지류구간에 대해서도 금천교 발굴조사보고서(2003년), 영천교 발굴조사보고서(2003년) 등의 자료와 함께 근대까지의 기록물들을 활용하여 단면 입력자료를 추정하였다.

  • PDF

Analysis and Application of CCHE2D on Channel-Bed Elevation Changes Downstream from Yong-Ju Multi-purpose Dam in Korea (댐건설로 인한 댐하류 하상변동 CCHE2D모형 분석.적용(영주댐하류 내성천 회룡포 구간 중심으로))

  • Kim, June-Ho;Park, Jae-Young;Kim, Jong-G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42-342
    • /
    • 2011
  • 댐의 건설로 인해 자연적인 물의 흐름이 댐 운영에 의하여 조절되기 때문에 유사의 연속성 및 유량의 변화에 따른 지형 환경적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영향분석을 위한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내성천 영주댐 건설 예정지로부터 48.4km 하류인 회룡포 구간에서 하상변동이 예상됨에 따라 현장 조사를 수행하고, 장래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수치모델을 수행하였다. 수리학적 변화량은 금회 수립중인 하천정비계획의 계획 홍수량인 댐건설 전 4,040cms, 댐건설 후 2,934cms로 구분하고, 유사변화량은 영주댐 실시설계 보고서결과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한편 2001년과 2010년의 실측종단변화를 검토한 결과, 회룡포 구간에서 0.5m~1.7m의 퇴적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치모델 및 실측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 단기호우사상에 대해 댐 건설 후 회룡포 구간의 사주퇴적능력은 -0.05m로 감소되어 그 영향은 비교적 미미할 것으로 분석 되었고, 대부분의 변화는 주수로에서 -0.5~0.5m로 변화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상 변동의 양상은 실측한 10년간의 종단변화와 같은 경향성을 보이며, 횡단번호 No.15 이후로 0.5m이상 퇴적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댐건설로 인한 하천 하상변화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하천공사 나 수리구조물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조사를 통하여 하상변동양상을 관측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urvey and Archaeological Research on the Shàngdu(上都) Site in Yuán(元) Ruins (원상도(元上都)의 조사와 건축유적의 고고학 연구)

  • Wei, Jia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5 no.3
    • /
    • pp.28-59
    • /
    • 2012
  • The $Sh{\grave{a}}ngdu$ site in the Yuan Dynasty of China, a capital city located in the northern steppe area characterised by the nomadic life, has received great attentions from a number of travellers,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Several famous European travellers described vividly the city structure and civil life of $Sh{\grave{a}}ngdu$ from the Yuan Dynasty onwards. Since the begging of the modern era, a number of foreign expeditionists and historians explored $Sh{\grave{a}}ngdu$ and published research reports. From the 20th century, mainly Chinese and Japanese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carried out the relatively detailed historical researches and archaeological surveys to the $Sh{\grave{a}}ngdu$ site; and published books, articles and excavation reports. More detailed and scientific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mappings and excavations have been conducted since 1990s. This paper aims to progress basic discussion to the city structures of the $Sh{\grave{a}}ngdu$ site based on the previously conducted researches by expeditionists, geographers and archaeologists and the full scale investigation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since the late 20th century.

A Study on Parameters-Calibration for the Tank Model (탱크모형의 매개변수 검정에 관한 연구)

  • Seo, Yeong-J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4
    • /
    • pp.327-334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ibrate the parameters of tank model for the derivation of a design flood hydrograph at a certain river basin outlet. The selected stations are Gongju and Naju station which are located in the Keum and the Youngsan river basin, respectively. The results of parameters calibration for tank model are represented a little different values comparing with the proposed values at Gongju station through the verification of flood hydrograph in modeling procedure but the values of tank parameters at Naju station are fitted well for the derivation of flood hydrograph using the proposed design parameters of tank model.

  • PDF

An Study on Cognition and Investigation of Silla Tumuli in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일제강점기의 신라고분조사연구에 대한 검토)

  • Cha, Soon Chul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39
    • /
    • pp.95-130
    • /
    • 2006
  • Japanese government college researchers, including Sekino Tadashi(關野貞), have conducted research studies and collected data, on overall Korean cultural relics as well as Silla tumuli(新羅古墳) in the early modern times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They were supported by the Meichi government in the early stage of research, by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nd by their related organizations after Korea was coIonialized to carry out investigations on Korean antiquities, fine arts, architecture, anthropology, folklore, and so on. The objective for which they prosecuted inquiries into Korean cultural relics, including Silla tumuli, may be attributed to the purport to find out such data as needed for the theoretical foundation to justify their colonialization of Korea. Such a reason often showed locally biased or distorted views. Investigations and surveys had been incessantly carried out by those Japanese scholars who took a keen interest in Korean tumuli and excavated relics since 1886. 'Korea Architecture Survey Reports' conducted in 1904 by Sekino in Korea gives a brief introduction of the contents of Korean tumuli, including the Five Royal Mausoleums(五陵). And in 1906 Imanishi Ryu(今西龍) launched for the first time an excavation survey on Buksan Tumulus(北山古墳) in Sogeumgangsan(小金剛山) and on 'Namchong(南塚)' in Hwangnam-dong,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 of a basic understanding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積石木槨墳) and stone chambers with tunnel entrance(橫穴式石室墳). The ground plan and cross section of stone chambers made in 1909 at his excavation survey of seokchimchong(石枕塚) by Yazui Seiyichi(谷井第一) who majored in architecture made a drawing in excavation survey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which numerical expressions are sharply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sketched ones. And even in the following excavation surveys this kind of drawing continued. Imanishi and Yazui elucidated that wooden chambers with stone mound chronologically differs from the stone chambers with tunnel entranc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surveys of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Silla tumuli, the forms and size of tomb entrance, excavated relics, and so forth. The government-general put in force 'the Historic Spots and Relics Preservation Rules' and 'the Historic Spots Survey Council Regulations' in 1916, establishing 'Historic Spots Survey Council and Museum Conference. When museums initiated their activities, they exhibited those relics excavated from tumuli and conducted surveys of relics with the permission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 gold crown tomb(金冠塚) was excavated and surveyed in 1921 and a seobong tomb(瑞鳳塚) in 1927. Concomitantly with this large siz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attracted strong public attention. Furthermore, a variety of surveys of spots throughout the country were carried out but publication of tumuli had not yet been realized. Recently some researchers's endeavors led to publish unpublished reports. However, the reason why reports of such significant tumuli as seobong tomb had not yet been published may be ascribed to the critical point in those days. The Gyeongju Tumuli Distribution Chart made by Nomori Ken(野守健) on the basis of the land register in the late 1920s seems of much significance in that it specifies the size and locations of 155 tumuli and shows the overall shape of tumuli groups within the city, as used in today's distribution chart. In the 1930s Arimitsu Kyoichi(有光敎一) and Saito Tadashi(齋藤忠) identified through excavation surveys of many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and stone chambers with tunnel entrance, that there were several forms of tombs in a tomb system. In particular, his excavation survey experience of thos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which were exposed in complicated and overlapped forms show features more developed than that of preceding excavation surveys and reports publication, and so on. The result of having reviewed the contents of many historic spots surveyed at that time. Therefore this reexamination is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project in arranging the history of archaeology in Korea.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in Kyungan Stream Basin (경안천 유역의 유사유출량 산정)

  • Lee, Min-Hyung;Lee, Chung-Dae;Oh, Kuk-Ryul;Jeong, S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28-528
    • /
    • 2012
  • 최근 집중호우에 따른 강우강도의 증가로 유역에서 토양침식량 뿐만 아니라, 하천유사량(fluvial sediment)의 규모를 증대시켜 많은 유사 관련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하천유사량의 유출 증가로 인해 홍수시에 유사가 하도와 저수지내로 유입됨에 따라 통수단면적과 저수지용량을 감소시켜 이수나 치수 기능을 방해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정확한 유사유출량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국내에서 유사유출량을 산정하는데 있어 국내 실정에 맞는 유사유출량 산정기법이 요구되나 유사측정지점 및 측정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국외에서 개발된 모형이나 경험식 등을 통해 추정하는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추정에 의한 방법은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실무자들로 하여금 침사지, 저수지 및 댐 등의 설계시에 유출되어지는 유사유출량을 파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팔당호로 유입되는 경안천 유역의 실측 유사량자료를 바탕으로 유량-총유사량 관계식을 제시하여 보다 정확한 유사유출량을 산정하여 실무자들에게 신뢰성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사유출량 산정 절차로는 경안천 유역에 설치되어 있는 경안수위관측소에서 3년간(2008년 ~ 2010년) 실측된 유사량자료를 바탕으로 기존의 총유사량 산정식 Ackers-White(1973), Engelund-Hansen(1967), Einstein(1950)등을 이용하여 산정한 총유사량과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설 결과를 토대로 경안천 유역에 적합한 총유사량 산정식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총유사량 산정식으로 산정한 총유사량과 국통해양부 유량조사보고서(2010, 2011)에 제시된 수위-유량관계곡 선식으로 산출한 유량자료와의 회기분석을 통해 유량-총유사량 관계식을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유량-총유사량 관계식을 적용하여 연간 유사유출량을 산정하였다.

  • PDF

A Study on Lateral Displacement of Caisson Constructed on Improved Ground (개량 지반에 설치된 케이슨의 측방변위에 대한 연구)

  • Kim, Myunghak;Lee, Sangwook;Yoon, Minseung;Han, By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2 no.4
    • /
    • pp.33-41
    • /
    • 2011
  • In case of building up port facilities on soft ground, unsymmetrical surcharge of embankment, which make the excess pore water pressure to increase, causes to occur lateral displacement due to plasticity of soil. A study on lateral displacement and settlement of the caisson, which is installed on improved ground, was accomplished. The field measurement data and calculated values obtained from FEM program of Plaxi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numerical analysis, the properties of soils, constructions stage and time were considered. Lateral displacement was measured at the point of inclinometers installed in front of caisson. Settlement was measured at the center of extra embankment behind of caisson. Comparison of measured and calculated for lateral displacement showed that the calculated value was greater than the measured, and increasing trend was different. The calculated value showed step increasing as step extra embankment applied, whereas the measured gradually was increased. For settlement of embankment, the amount of both measured and calculated were similar, but the trend was different like that of lateral movement.

A Prediction Model of Transverse Bed Slope in Meandering Rivers (사행하천(蛇行河川)의 횡방향(橫方向) 하상경사(河床傾斜)의 예측모형(豫測模型))

  • Hong, Chang Sun;Chung, Yong Ta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1 no.4
    • /
    • pp.81-89
    • /
    • 1991
  • An interesting property of meandering river patterns is that they slowly deform, as bank erosion on one side of a channel and deposition on the other side result in the location of the channel. In this study we used a sine-generated meander pattern proposed by Langbein and Leopold(1966) to develop a solution of a linear, second-order differential equation of transverse bed slope(bed topography) proposed by Odgaard(1986). A new model for transverse bed slope(bed topography), that accounts for the phase lag and the influence of the width to depth aspect ratio, wa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compared with results of field measurements.

  • PDF